Remote Sensing Applications for Malaria Research : Emerging Agenda of Medical Geography

원격탐사 자료를 이용한 말라리아 연구 : 보건지리학적 과제와 전망

  • Park, Sunyurp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 박선엽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 Received : 2012.10.25
  • Accepted : 2012.11.22
  • Published : 2012.11.30

Abstract

Malaria infection is sensitively influenced by regional meteorological conditions along with global climate change. Remote sensing techniques have become an important tool for extraction of climatic and environmental factors, including rainfall, temperature, surface water, soil moisture, and land use, which are directly linked to the habitat qualities of malaria mosquitoes. Improvement of sensor fidelity with higher spatial and spectral resolution, new multinational sensor development, and decreased data cost have nurtured diverse remote sensing applications in malaria research. In 1984, eradication of endemic malaria was declared in Korea, but reemergence of malaria was reported in mid-1990s. Considering constant changes in malaria cases since 2000, the epidemiological management of the disease needs careful monitoring. Geographically, northmost counties neighboring North Korea have been ranked high in the number of malaria cases. High infection rates in these areas drew special attention and led to a hypothesis that malaria dispersion in these border counties might be caused by north-origin, malaria-bearing adult mosquitoes. Habitat conditions of malaria mosquitoes are important parameters for prediction of the vector abundance. However, it should be realized that malaria infection and transmission is a complex mechanism, where non-environmental factors, including human behavior, demographic structure, landscape structure, and spatial relationships between human residence and the vector habitats, are also significant considerations in the framework of medical geography.

지구온난화로 대표되는 전반적인 기후변화 속에서도 지역적인 기상조건에 따라 말라리아 감염 사례의 증감이 비교적 민감하게 영향 받는 것으로 사료된다. 말라리아를 매개하는 모기의 서식환경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기후환경적인 인자, 즉 강수, 기온, 지표수 분포, 토양수분, 토지이용에 대한 광범위한 관측과 추정에 원격탐사 자료의 적용이 매우 중요한 수단이 되었다. 다국적 원격탐사 센서의 개발이 이어지고 있고, 공간 및 분광해상도 면에서 기술적인 진화를 보이고 있으며, 자료 획득에 필요한 비용도 크게 줄어드는 등 말라리아를 비롯한 모기매개 감염병 연구에 원격탐사 기법의 적용이 크게 각광받을 전망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1980년대에 퇴치되었던 것으로 보고된 말라리아는 1990년대 중반부터 크게 증가하여 2000년 이후 증감을 거듭하고 있어 보건관리의 주요 대상으로 떠올랐다. 감염자수로 볼 때, 휴전선 인근 지역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말라리아 보균 모기의 북방 유입설 등 지리적인 특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말라리아 매개모기의 환경적인 서식조건은 모기 개체수 규모를 추정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말라리아 감염과 전파는 환경조건 외에도 인간의 활동, 인구구성, 경관의 구조, 거주지와 매개모기 서식처간의 공간적 관계 등 매우 복합적인 보건지리학적 메카니즘의 산물이라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