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stablishment of Collaborative Governance for North Korean Refugees' Settlement Support Service

북한 이탈 주민 정착지원을 위한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

  • Received : 2011.12.20
  • Accepted : 2012.01.05
  • Published : 2012.02.28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collaborative governance for North Korean Refugees' settlement support service. Three major actors were identified. At the central government level, there is no control center to coordinate various functions. This study suggested three roles for central government in collborative governance, which are policy planning based on public value, allocating financial resources to implementing organizations, and program evaluation for securing public accountability. The rloes of local government are establishing communication channels between implementing participants, maintenancing good relations, and coordination. Finally, the role of private actors is developing high quality service programs, connecting local resources for settlement service.

본 연구는 탈북자 정착지원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참여주체인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민간단체의 구체적 역할을 논의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중앙정부는 현재 통일부, 행정안전부, 고용노동부,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등 다양한 차원에서 수행되고 있는 기능에 대한 정책조정 기능이 취약하므로 총괄 부서를 지명하고 정책기획, 예산확보 및 배정, 사후평가 및 책임성확보를 담당해야 한다. 지방자치단체는 실질적 서비스를 전달하기 위한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담당하기 위해서 의사소통 체널을 확보하고 관계망을 형성하며 다양한 주체들의 집행업무를 조정하는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민간단체는 전문성을 바탕으로 서비스 개발하고 지역의 자원을 발굴하며 밀착서비스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석승, 탈북자 관련단체의 문제점과 바람직한 역할 모색, 서울:자유기업원. 2011.
  2. 김정렬, "거버넌스와 국가행정", 한국행정학회 2001 동계학술대회발표논문집.
  3. 김창기, 정재욱,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성공적 정착을 위한 공공과 민간의 Governance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3호, pp.262-269.
  4. 박윤숙,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을 위한 지방자 치단체와 민간단체의 역할과 과제", 기로에선 탈북자 정착지원정책: 주무부처 조정, 지차체, 민간이양 가능한가?, 북한인권시민연합, 경인발전연구원 정책심포지엄 발표자료, 2007. 12.10.
  5. 박정란, "탈북자 정착지원 현황과 과제: 취업지원 개선방안을 중심으로",남북통일시대에 대비한 탈북자의 역할-탈북자정책 현황과 금후 과제를 중심으로 북한민주화위원회 정책세미나, 2008.
  6. 박현식, "사회복지조직간 네트워크 구축의 장애 요인 연구", 사회복지정책, 제25권, 2006.
  7. 서창록, "북한이탈주민 지원정책의 굿 거버넌스 탐색: 취업정책을 중심으로", 동서연구, 제22권, 제1호, 2010.
  8. 오수열, 김주삼, "새터민을 위한 정부와 지역사회 의 역할", 대한정치학회보, 제13집, 제3호, 2006.
  9. 유해숙, "로컬 거버넌스 형성을 위한 전략",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17권, 제4호, 2006.
  10. 윤기관, 통일정책으로서의 북한이탈주민정책, 서울:궁미디어, 2010.
  11. 윤인진, "탈북자의 적응실태와 정착지원의 거버 넌스 패러다임", 기로에선 탈북자 정착지원정책: 주무부처 조정, 지차체, 민간이양 가능한가?, 북한인권시민연합, 경인발전연구원 정책심포지엄 발표자료, 2007.12.10.
  12. 은재호, 오수길, 한국의 협력적 거버넌스, 서울: 대영문화사, 2009.
  13. 이금순, "북한이탈주민 문제해결 거버넌스 실태 조사", 한반도 평화번영 거버넌스 실태조사(하), 서울: 통일연구원, 2004.
  14. 이명석, 배재현, 양세진, "협력적 거버넌스와 정부의 역할-사회적 기업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제18권, 제4호, 2009.
  15. 이주호, 배정환, "지방자치단체의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제도 개선 연구-충청북도 내 북한이탈 주민 지원실태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7호, pp.335-353.
  16. 장임숙, 전영평, "탈북자 인권 운동과 정책대응 방식 평가", 국가정책연구, 제23권, 제1호.
  17. 전상천, " 중앙주도형 정책과 사회적 지지망의 취약성", 기로에선 탈북자 정착지원정책: 주무부 처 조정, 지차체, 민간이양 가능한가?, 북한인권시민연합, 경인발전연구원 정책심포지엄 발표 자료, 2007.12.10.
  18. 정광호, 김민영, 금현섭, "탈북자 지원정책의 새로운 이해-문제정의의 관점에서", 한국정책학회보, 제9권, 제1호, 2010.
  19. 정주신, "노무현 정권의 탈북자 정책 평가", 서석사회과학논총, 제1권, 제2호, 2008.
  20. 조용승, "2만명 넘은 탈북자들의 애환", 한국논단, 2011.2.
  21. 허준영, "탈북자지원체계와 직업통합정책", 정책 지식 포럼, 2010, 11.15 발표자료.
  22. S. Goldsmith and W. Eggers, Governing by Network: The New Shape of Public Sector, Washington D.C.: Brookings Institution Press. 2004.
  23. Goldsmith, S. and D. Kettle, Unlocking the Power of Networks: Key to High-Performance Government, Washington D.C.: Brookings Institution Press, 2009.
  24. L. Salamon, The Tools of Government: A Guide to the New Governance,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25. H. Sullivan and C. Skelcher, Working Across Boundaries: Collaboration in Public Services, NY: Palgrove, 2002.
  26. G. Tiesman and E. Klijn, "Partnership Arrangements: Governmental Rhetoric or Governance Scheme?,"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Vol.62, No.2, pp.197-205, 2002. https://doi.org/10.1111/0033-3352.001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