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nalysis Model for Maritime Security Management

해상보안관리 분석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1.10.24
  • Accepted : 2012.01.10
  • Published : 2012.02.28

Abstract

Maritime security incidents by pirates and by terrorists increase, but maritime incidents investigation models are limited to figure out the maritime security incidents. This paper provides the analysis model for maritime security incidents. To develop this analysis model, this categorizes five threat factors, the ship, the cargo type, port system, human factor, information flow system, makes the risk assessment matrix to quantify the risk related to threat factors and classifies four priority categories of risk assessment matrix. Also, this model makes from the frameworks which include a variety of security initiatives implementing in stakeholder levels like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ndividual governments, shipping companies, and the ship. Therefore, this paper develops the Analysis for Maritime Security Management model based on various security initiatives responding to the stakeholder levels of maritime security management and top-bottom/bottom-up decision trees, and shows the validity through verifying the real maritime security incident of M/V Petro Ranger.

해적과 테러공격에 의한 해상보안사고는 해상운송이 발생한 이후에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해양사고 조사방법으로 해상보안사고를 조사하고 문제점을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해상보안관리를 위한 분석모델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분석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해상운송에서 해상보안관리 위협대상을 선박, 화물의 종류, 항만시스템, 인적요소, 정보흐름으로 구분하고, 이에 대한 위험평가기준을 마련하여 해상보안사고 발생가능성 4등급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해상보안관리 관련 이해관계자를 단계별로 구분하여, 국제기구, 각국정부, 해운회사, 선박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각종 보안제도들의 동향을 통해 분석모델의 기본틀을 마련하였다. 해상보안관리 관련 단계주체별 이해관계자들이 시행하고 있는 각종 보안제도를 상향식 및 하향식의 의사결정 및 이행방식을 토대로 하여 해상보안관리 분석모델을 개발하였으며, 실제 Petro Ranger호에서 발생한 해상보안사고 사례를 적용하여 유효성을 입증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상수(2004), 선박충돌사고의 조사모델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87-125.
  2. 나송진, 김상수, 박진수, 정재용(2003), "한국의 해양사고 조사모델의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27 권 제4호, pp.367-373. https://doi.org/10.5394/KINPR.2003.27.4.367
  3. 최석윤, 이윤철, 홍성화, 조동오(2007), "해상테러행위에 대한 법적책임과 대응방안", 한국해법학회지 제29권 제2 호, pp.331-378.
  4. 최영석(2011), "해적행위 대응과 해상운송로 확보", 계간 해양수산 제1권, pp152-171.
  5. 최재선, 목진용, 황진회, 고현정, 김민수(2007), 국가 물류 보안체제 확립빙안 연구II, 한국해양수산개발원, pp50-73.
  6. Maximo Q.Mejia. Jr.(2008), Law and Ergonomics in Maritime Security, WMU, pp.41-55.
  7. Michael E.M.(2009), Safety-related organizational learning and risk construction in shipping companies, WMU, pp.24-62.
  8. Paul W. Parfomak, John Frittelli(2007), Maritime security : Potential terrorist attacks and protection priorities, pp.8-27.
  9. ICC IMB(2011), Piracy and armed robbery against ships, Annual report, pp.5-18.
  10.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2008), Casualty investigation code: code of the international standards and recommended practices for a safety investigation into a marine casualty or marine incidents, IMO.
  11. IMO Resolution A.637(16)(1989), Co-operation in maritime casualty investigations, IMO.
  12. IMO Resolution A.884(21)(1999), Amendments to the code for the investigation of marine casualties and incidents resolution A.849(20), IMO

Cited by

  1. The Economic Impact of Maritime Piracy in the Gulf of Aden: challenges and implications vol.39, pp.5, 2015, https://doi.org/10.5394/KINPR.2015.39.5.4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