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veningness, Sleep Patterns, Daytime Sleepiness and Fatigue in Korean Male Adolescents

남자 고등학생들의 아침-저녁형 수면 양상과 주간 졸음, 피로도와의 관련성

  • 강시현 (국립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 유한익 (서울우리아이정신과의원) ;
  • 정석훈 (서울아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 김창윤 (서울아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Received : 2012.11.08
  • Accepted : 2012.12.06
  • Published : 2012.12.31

Abstract

Objectives: Individuals differ in their biological rhythm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morningness-eveningness and sleep patterns, daytime sleepiness and fatigue in Korean male adolescents. Methods: Participants were 501 eleventh grade male students ($16.9{\pm}0.2$ years of age) in one male high school in Seoul. Each student completed the Korean translation of composite scale (KtCS), Epworth sleepiness scale (ESS), Fatigue Severity Scale (FSS) and a questionnaire about their sleep schedule. Results: The evening group had shorter weekday sleep time than the intermediate (p<0.001) or morning group (p=0.029). The evening group had more daytime napping (16.8%, p<0.001), high rate of caffeine use (58.8%, p<0.001) and snoring (18.5%, p=0.037). The evening group showed more daytime sleepiness (8.7, SD=3.2, p<0.001) and severe fatigue (4.4, SD=1.2, p<0.001) than the intermediate or morning group. Conclusion: Adolescents with eveningness have higher problems in weekday sleep, daytime sleepiness and fatigue. An intervention program for sleep problem in these adolescents should be considered.

목 적: 일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일주기 리듬을 아침-중간-저녁형으로 구분하여, 각 유형 간에 야간 수면 패턴의 차이를 살펴보고, 주간 졸림 및 피로 정도를 비교해 보았다. 방 법: 일 남자 고등학교 2학년 전체 학생 501명을 대상으로 자가설문조사를 하였다. 아침-저녁형 평가를 위한 한국어판 조합척도(Korean translation of composite scale : KtCS), 주중 기상 시 어려움(difficulty awakening), 주중 기상 시 졸린 정도(morning drowsiness), 주간 졸림 척도(Epworth sleepiness scale, ESS), 피로 정도 척도(Fatigue severity scale, FSS)를 이용하였다. 결 과: 저녁형(5시간 36분, SD=63.3분)이 중간형(6시간 11분, SD=61.8분, p<0.001)이나 아침형(6시간 23분, SD=61.8분, p=0.029)에 비해서 주중 평균 수면시간이 유의하게 짧았다. 저녁형은 주중에 매일 낮잠을 자는 비율(16.8%, p<0.001), 카페인 섭취 비율(58.8%, p<0.001), 코골이 비율(18.5%, p=0.037)이 유의하게 높았다. 저녁형은 주간 졸림 정도(8.7, SD=3.2, p<0.001)와 피로도(4.4, SD=1.2, p<0.001)에서 중간형이나 아침형보다 더 높은 점수를 보였다. 결 론: 저녁형 학생들은 주중에 수면패턴이 불규칙하고, 가장 심한 수면 부족을 겪고 있으며, 낮잠 빈도가 높았다. 저녁형은 주간 졸림 정도가 더 심하고, 심한 주관적인 피로감을 보고하였다. 수면 유형 평가 및 동반 수면 질환 여부 검사 등 학생들의 수면 양상에 대한 적절한 관심과 교육,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