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Language use in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acceptance of multiculturalism: A case study of Korea

한국 다문화 가정의 언어사용과 다문화 수용 양상

  • 고혜정 (관동대학교 일어일문학과)
  • Received : 2012.10.04
  • Accepted : 2012.11.10
  • Published : 2012.11.30

Abstract

I researched the acceptance attitude to the multiculturalism of Korean peopl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society through two Korean films, and . And I researched the language form in the multicultural families in the way conducting the survey targeting international marriage immigrant women. The content and conclusion in shortly are as in the following. (1) The acceptance attitude to the multiculturalism of Korean people is somewhat positive in such a case having no interests among themselves. (2) It depends upon the society and the culture for the foreigners to come into contact and learn the language easily. It means well-adapted to the certain society for the foreign workers to use status-language such as slang and jargon in the society. And this is the good example to show u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anguage and certain society. (3) The language form of the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is mainly Korean, but two languages are used in order to communicate well with monolingual. This is called 'bilingualism', and according to the result of my research I think it is 'listening comprehension type bilingualism'. From this time forward it is urgently needed to develop the contents in relation to multiculturalism and the 'bilingualism' education program for multicultural families instead of the education of Korean being limited to communication itself in order to improve adaptiveness to multiculturalism in Korean society.

본 연구에서는 한국 영화 <방가?방가!>, <완득이>를 통해서 얻은 외국인에 대한 한국인의 다문화 수용 양상과 언어와 사회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한국 다문화 가정 속의 언어형태에 대해서 결혼이주민 여성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했다. 그 내용과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한국인의 다문화 수용 양상은 서로 간의 이해관계가 없는 경우 다소 긍정적이라는 점. (2) 외국인이 쉽게 언어를 접하고 습득할 수 있는 방법은 그 사회와 문화에 있다는점. 외국인 근로자들이 사회 속에서 속어나 은어와 같은 위상 (位相) 언어를 사용하고 있다는 점은 언어와 특정 사회의 관계를 보여 주는 단적인 예라고 볼 수 있다. (3) 한국 다문화 가정 속의 언어형태는 주로 한국어로 사용되지만, "1 언어사용자(monolingual)"와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 두 개의 언어를 동시에 사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것을 "2 언어 사용(bilingualism)"이라고 하는데, 본 연구 결과에서는 "청해형 2 언어 사용"의 언어형태를 보이고 있다고 판단된다. 앞으로는 국제화 시대에 향후 한국 사회도 다문화 수용성 개선을 위해서는 다문화 관련 콘텐츠 개발과 의사소통에 국한 시키는 한국어 교육이 아닌 다문화 가정을 위한 "2 언어 사용(bilingualism)"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하다고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