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rchaeomagnetic Dating of a Layer of Baked Earth on Daegu Buinsa Site

대구 부인사 유적 소토층의 고고지자기 연대

  • Sung, Hyong Mi (Department of Cultural Properties E&C, Dongyang University)
  • 성형미 (동양대학교 문화재발굴보존학과)
  • Received : 2012.04.25
  • Accepted : 2012.08.24
  • Published : 2012.09.20

Abstract

Issues of chronology on archaeological remains or relics have been a storm-center of controversy when various archaeological researches have been done. Sometimes there is a limit for figuring out issues of chronology by archaeological research. In that case, the field of natural science is often needed to work out issues of chronology. Among various subjects in natural science, archaeomagnetism plays an important role in dating archaeological remains for baked earth bearing relics. In particular, archaeomagnetism is of use for sites where directly excavated dating proxy is unavailable. Terrestrial magnetism changes along with the passage of time and leaves trace by many kinds of residual magnetization which could be called fossil of terrestrial magnetism. Archaeomagnetic dating method is used to assign a date to the archaeological remains in which baked earth is found by measuring the changes of terrestrial magnetism through the thermal remanent magnetization retained in baked earth. This study aims to constrain the age of fire at Buinsa, Daege, Korea using 27 samples that were collected from a layer of baked earth. Buinsa is famous for the place where kept the first edition of Tripitaka Koreana, which was lost in fire at the second invasion of mongolia. In addition, there is a record that there was revolt around this region in A.D.1203. According to archaeomagnetic dating, ages of A.D.1150~1200 and A.D.1130~1210 were assigned for the two building sites in Buinsa, respectively. To this end,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layer of baked earth on the two building sites in Buinsa recorded the vestige of fire caused by revolt.

유적이나 유물에 대한 편년 문제는 고고학의 다양한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 항상 논쟁의 중심에 있으며 고고학적 연구만으로는 한계가 있어 자연과학적 연구 분야의 도움을 자주 받는다. 그 중에서도 소토를 통해 연대를 측정하는 고고지자기 연대측정법이 다양한 소토유구의 연대를 결정하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유물이 출토되지 않아서 고고학적 편년 자체가 어려운 가마나 주거지 등의 각종 소토유구에 대해서는 특히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다. 지자기는 시간의 경과와 더불어 변동하는데 지자기의 화석이라 할 수 있는 각종 잔류자화를 통해 그 흔적을 남겨두고 있다. 고고지자기 연대측정법은 소토의 열잔류자화를 통해 과거의 지자기 변동을 측정하여 소토가 출토되는 고고유적의 연대를 알아내는 연대측정법이다. 본고에서는 대구 부인사 유적에서 조사된 건물지의 화재에 의한 소토층으로부터 채취한 27점의 소토 시료를 통해 부인사 유적에서 화재가 있었던 시기를 알아보았다. 대구 부인사는 초조대장경판이 보관된 곳으로 유명하며 몽골의 2차 침입 때(1232년)에 불타서 없어진 것으로 알려져 있고, 그 외에도 이 근처에서 고려시대에 민란이 있었던 기록(1203년)이 남아 있다. 건물지 2곳에 대한 고고지자기 측정결과에서 각각 A.D.1150~1200년과 A.D.1130~1210년의 연대를 구할 수가 있었는데, 이로 볼 때 대구 부인사 유적에서 조사된 건물지의 소토층은 민란에 의한 화재흔적에 가까운 것으로 추정된다.

Keywords

References

  1. 財團法人 佛敎文化財硏究所, "대구 부인사 추정경판고지 유적 발굴조사 약보고서". (2010).
  2. Hirooka, K., "Archaeomagnetic study for the past 2,000 years in Southwest Japan". Mem. Fac. Sci. Kyoto Univ., Ser. Geol. Mineral., 38, p167-207, (1971).
  3. 廣岡公夫, "考古地磁氣および第四紀古地磁氣硏究の最近の動向". 第四紀硏究, 15, p200-203, (1977).
  4. 廣岡公夫, "考古地磁氣による年代推定とその問題點". 考古學硏究, 28, p69-78, (1981).
  5. 廣岡公夫, "古代手工業生産遺跡の自然科學的考察-考古地磁氣學.古地磁氣學の立場から-". 北陸古代手工業生産史硏究會編, (1989).
  6. 廣岡公夫, "北陸における考古地磁氣硏究". 北陸中世土器硏究會編, (1997).
  7. 廣岡公夫, 藤澤良祐, "東海地方の地磁氣永年變化曲線". 考古地磁氣の地域差とその年代推定への應用. 平成7年度-平成9年度科學硏究費補助金(基盤硏究C)硏究成果報告書․ 廣岡公夫編, (1998).
  8. 성형미, "韓國考古學 編年硏究를 위한 考古地磁氣學의 基本原理 및 適用". 韓國考古學報, 55, p24-28, (2005).
  9. Fisher, R. A., "Dispersion on a sphere". Proceedings of Royal Society of London, Series A, vol. 217, (1953).

Cited by

  1. Archaeomagnetic Dating of Baked Earth Samples of Samheung-ri Kilns in Gangjin Region vol.31, pp.1, 2015, https://doi.org/10.12654/JCS.2015.31.1.04
  2. Archaeomagnetic Study on Roof Tile Kilns of Goryeo Period in Gyeonggi Region vol.32, pp.1, 2016, https://doi.org/10.12654/JCS.2016.32.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