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Development of an Evaluation System for Traffic Calming Schemes

교통정온화사업 평가체계 개발에 관한 연구

  • 박완용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
  • 원제무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 Received : 2012.04.25
  • Accepted : 2012.05.29
  • Published : 2012.07.15

Abstract

In the study, evaluation indicators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applying traffic calming schemes were developed, and it was intended to analyze the importance of indicators that should most considered in evaluation traffic calming scheme through AHP analysis on the basis of it. The result of the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The result of evaluation indicators may be summarized by dividing into residential area and commercial area. In category, the safety is shown to be more important than other indicators in the analysis when evaluation (residential area is 0.514 and commercial area is 0.439). Importance of evaluation indicators was analyzed in order Average Vehicle Speed, Traffic Accident Severity, and Pedestrian Separation. Residential areas to help keep the safety of pedestrians 'Average Vehicle Speed' as the major indices were derived. In commercial areas were analyzed as an important indicator Pedestrian Separation. Because there are so many pedestrians. When applying the effect of Traffic Calming, residential is greater than the commercial area.

본 연구는 교통정온화(Traffic Calming)기법 적용시 고려되어야 할 평가지표들을 개발하고 이를 토대로 교통정온화 기법 평가시 주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지표들을 AHP분석을 통하여 그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대한 결과를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주거지역과 상업지역 모두 교통정온화의 대분류의 가중치는 주거지역, 상업지역 모두 안전측면을 가장 중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주거지역과 상업지역 모두 공통으로 자동차 평균주행속도, 보차분리정도, 교통사고 심각도 순으로 도출되었다. 주거지역에서는 제한속도 보다 낮은 속도라 해도 주택가에서는 전반적인 평균속도가 보행약자의 안전을 지킬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되기 때문에 '자동차 평균 주행속도'가 주요한 지표로 도출되었으며, 상업지역에서는 특성상 많은 보행량 때문에 '보차분리정도'의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지표를 사례지에 적용해본 결과 교통정온화는 주거지역에 적용하였을 경우, 그 효과는 상업지역에 적용하였을 때 보다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교통정온화 기법을 적용시 또는 정온화기법의 평가 시에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권희경(2002) 교통정온화 기법의 효과분석,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김영관(2011) 산업용지 수요자 선호요인분석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용석, 조원범(2009) 교통정온화 구역 설계, 대한토목학회 정기학술대회, 대한토목학회, Vol. 2009 No. 10, pp. 299-302.
  4. 김윤환, 한상욱, 박병호(2007) 지구계획에서의 교통정온화 기법도입방향, 건설기술연구소 논문집, 건설기술연구소, Vol. 26 No. 2, pp. 25-40.
  5. 김종식(2002) Traffic Calming기법의 Speed Hump에 대한 차량속도 변이 및 효과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서울특별시(1995) 교통특별대책 교통백서.
  7. 서혜선, 양경숙, 김나영, 김희영, 김미경(2009) SPSS (PASW) 회귀분석, SPSS 아카데미 시리즈.
  8. 오준서, 오승훈, 이병생(2006) Traffic Calming 기법의 국내적용을 위한 기초적 연구,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Vol. 2,6 No. 4D, pp. 553-557.
  9. 원제무, 이수일(2007) SPSS를 활용한 그림으로 쉽게 배우는 통계분석, 박영사.
  10. 지우석(2004) 신도시 건설에 따른 교통정온화체계 구축방안,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정보지,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2004-07호, pp. 87-104.
  11. Catharinus F. Jaarsma and Frank van Langevelde (2006) Effects of scale and efficiency of rural traffic calming on safety, accessibility and wildlife,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D, Vol. 16, pp. 486-491
  12. Francesco Galante, Filomena Mauriello, Alfonso Montella, Mariano Pernetti, Massimo Aria, and Antonio D'Ambrosio (2010) Traffic calming along rural highways crossing small urban communities: Driving simulator experiment,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Vol. 42, pp. 1585-1594. https://doi.org/10.1016/j.aap.2010.03.017
  13. Lars Leden, Per-Erik Wikstrom, Per Garder, and Peter Rosander (2006) Safety and accessibility effects of code modifications and traffic calming of an arterial road,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Vol. 38, pp. 455-46112. https://doi.org/10.1016/j.aap.2005.11.002
  14. Peter Hidas, Kolita Weerasekera, and Michael Dunne (1998) Negative effects of mid-block speed control devices and their importance in the overall impact of traffic calming on the environment,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D, Vol. 3, pp. 41-50. https://doi.org/10.1016/S1361-9209(97)00011-4
  15. Sheila Sarkar (1995) Evaluation of Different Types of Vehicle-Pedestrian Separations,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