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Distribution and Highly Density Area Pattern of One-Person Household : Pusan Metropolitan's Case

1인가구 분포 및 밀집지역 유형 분석 : 부산광역시 사례

  • 최열 (부산대학교 도시공학과) ;
  • 신종훈 (부산대학교 도시계획학과) ;
  • 박원전 (부산대학교 도시공학과)
  • Received : 2012.06.01
  • Accepted : 2012.08.24
  • Published : 2012.11.15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the pattern of compacted area and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in one-person household. Through ArcGis, we collect the basic data and classify the compact area in accordance with the pattern employing Ward method out of cluster analysis. The main results are found as follows; First, the station sphere type is located around Seomyun and Nampo-dong, which are the main CBD( Central Business District) This type must be essentially considered in residential plan for one-person household location. Second, the district oriented type is located around the subway and it has relatively better residential facilities and environments. Third, it is found that the younger worker including students resided in one room and villa in the type around university. Forth, the foreign workers and domestic workers in small and medium factory resided in the factory centered type which is far from the station sphere. Lastly, it is dormitory type which is isolated from the CBD, and insteadly amenable and well natural environment area, but students and workers in this area where there are lacking life-related facilities and aside from accessibilities feel uncomfortable.

최근 우리나라의 인구 가구구조는 급격히 변화하고 있으며 점차 대도시에서는 1인 가구의 변화양상이 뚜렷해진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부산시 1인가구 분포 특성 및 밀집지역의 패턴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무엇보다 ArcGis를 활용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서는 군집분석 중 와드(Ward)연결법을 통해 유형별 밀집지역을 분류해보고 이어서 그 지역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역세권형을 살펴보면 주로 도심지인 서면과 남포동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유형은 향후 1인가구를 위한 주거계획에서 중요시되어야 하는 지역이라고 판단된다. 둘째, 지구중심지형을 살펴보면 주로 지하철역과 인접하여 있으며 상대적으로 양호한 주거시설과 환경을 갖추고 있다. 셋째, 대학인접지형을 살펴보면 주로 대학생을 비롯하여 젊은 직장인이 원룸 빌라 등에 거주하고 있다. 이 지역은 소규모의 근린생활시설이 분포되어 있으며 월세비율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 넷째, 공장인접지형을 살펴보면 각종 공장이 밀집된 지역으로 내 외국인 근로자들이 많이 거주하고 있으며 역세권과는 거리가 있는 지역이다. 마지막으로 기숙사형을 살펴보면 도심지와는 거리가 있는 지역에 위치하고 있고 쾌적한 자연환경을 자랑하는 곳이다. 주로 가족과 떨어져 있는 학생과 직장인들이 거주하며 생활편익시설의 부족과 교통접근성이 떨어져 불편을 겪고 있는 지역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재형(2008) 서울시 1인가구의 거주지선택 요인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김혜영.선보영.진미정.사공은희(2007) 비혼 1인가구의 가족 의식 및 생활실태조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3. 배화옥(1993) 우리나라 단독가구실태에 관한 소고, 한국인구학회지, 한국인구학회 16(2), pp125-139.
  4. 변미리.신상영.조권중(2008) 서울시 1인가구 증가와 도시정책 수요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5. 이창효.이승일(2010) 서울시 1인가구의 밀집지역 분석과 주거환경평가, 서울도시연구, 제11권 제2호, pp. 69-84.
  6. 최열(1999) 도시 내 주거이동 결정요인과 희망 주거지역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34권 제5호, pp. 19-30.
  7. 허현경(1998) 1-2인 가구를 위한 주택특성과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황미리(2004) 1인가구 주택계획을 위한 거주자 주요구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9. Faesen, W. B. (2002) Present and Preferred housing of one-person households in the Netherlands, Journal of Housing and Built Environment, Vol. 17, No. 3, pp. 337-250. https://doi.org/10.1023/A:1020221800785
  10. Glanville, K., Maconachie, M., Sutton, C., and Chandler, J. (2005) Solo living in Devon. Plymouth: School of Sociology, Politics and Law.
  11. Hall, R. and Ogden, P. (2003) Living alone in inner London: trends among the population of working age. Environment and planning A, Vol. 35, pp. 871-888. https://doi.org/10.1068/a3549
  12. Harvey, J. and Houston, D. (2005) Research into the single room rent regulations, London: DWP.
  13. Kharicha, K., Iliffe, S., Harari, D., Swift, C., Gillmann, G., and Stuck, A. (2007) Health risk appraisal in older people 1: Are order people living in single person households an 'at-risk' group? British Journal of General Practice, Vol. 57, pp. 271-276.
  14. Wasoff, F. and Jamieson, L. (2005) Solo living across the adult life course. In: McKie, L. and Cunningham-Burly, S. (eds) Families in society: boundaries and relationships. Bristol: Policy Press.
  15. Wulff, M. (2001) Growth and Change in One Person Households: Implications for the Housing Market, Urban Policy and Research, Vol. 19, No. 4, pp. 467-490. https://doi.org/10.1080/081111401087278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