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ssessment on the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a Multi-dimensional Model in Response to Measurement Resolution and Spatial Interpolation Methods

지형자료의 해상도와 공간보간기법에 따른 다차원 수리모형의 유출 특성 평가

  • 안정민 (한국수자원공사 물관리센터) ;
  • 박인혁 (한국수자원공사 물관리센터)
  • Received : 2011.12.19
  • Accepted : 2012.02.23
  • Published : 2012.03.31

Abstract

Due to the increasing demand to utilize water fronts and water resource effectively, a multi-dimensional model that provides detailed hydraulic characteristics is required in order to improve the decision making process. An EFDC model is a kind of multi-dimension model, and it requires detailed 3D (3-dimensional) terrain in order to simulate the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stream flow. In the case of 3D terrain creation, especially river reaches, measurement resolution and spatial interpolation methods affect the detailed 3D topography which uses input data for EFDC simulation. Such results make hydraulic characteristics to be varied. This study aims to examine EFDC simulation results depending on the 3D topographies derived by separate measurement resolution and spatial interpolation methods. The study area is at the confluence of the Nakdong and Kuemho Rivers and the event rain implemented was Typhoon Ewiniar in 2006. As a result, in the case of the area-elevation curve, the difference by means of the interpolation methods was significant when applying the same measurement resolution, except at 160m resolution. Furthermore, when the measurement resolution was 80m or above, the difference in a cross-section was occurred. Meanwhile, the water level changes between interpolation methods were insignificant by the measurement resolution except when the Kriging method was used for the 160m measurement data. Velocity changes emerged according to the interpolation methods when measurement resolution was 80m or above and the Kriging method resulted in a velocity that had a considerable gap in relation to the results from other methods at a measurement resolution of 160m.

수변공간 및 수자원에 대한 효율적 활용 요구가 증대됨에 따라 하천의 수리적인 특성을 보다 정밀하게 모의하고 이를 활용한 의사결정이 필요하다. EFDC 모형은 이러한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한 다차원 수리모형으로 3차원 정밀지형을 활용하여 수체의 수리적인 특성을 분석할 수 있다. 그러나 EFDC 모형의 입력자료로 활용되는 3차원 정밀지형의 경우, 측량간격과 지형보간기법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게 되며 3차원 정밀지형의 변화에 따라 대상 수체의 수리적인 특성이 영향을 받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른 측량간격 및 지형보간기법에 따라 도출된 3차원 정밀지형이 EFDC 모형의 모의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연구 대상지역은 낙동강 금호강 유입구간이며, 검토 사상은 2006년 강우사상에 대한 수치모의를 수행하고, 면적-고도 곡선, 수위 및 유속의 모의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동일한 측량 간격에서는 지형보간기법에 따른 면적고도곡선의 차이는 크지 않았으나, 측량 간격이 160m에서 모든 보간기법에서 차이가 발생하였고 측량간격이 80m 이상이 되면 하상단면의 변화가 발생하였다. 또한, 수위의 경우에 Kriging을 제외한 나머지 기법은 해상도에 따른 차이가 크지 않았고, Kriging은 160m 측량간격에서 다른 기법에 비해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유속의 경우, 80m 측량간격이상에서 각 보간기법별 차이가 나타나기 시작했으며 160m 측량간격에서 Kriging은 다른 보간기법과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형식, 장재호, 안종호, 김익재, 2011, 유역 모형과 하천 모형의 연계를 통한 낙동강 본류 흐름 예측,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4권, 7호, pp.577-590.
  2. 국립환경과학원, 2010, 하상변동 예측과 준설량 및 주기 산정연구 -금강유역 중심으로-.
  3. 국토해양부, 2006, 한국수문조사연보.
  4. 권기욱, 이종달, 2006, 프랙탈 기법을 이용한 지형 보간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6 권, 5D호, pp.895-907.
  5. 김선주, 서동일, 안기홍, 2011, 저수지 수온성층 해석능력 제고를 위한 적정 EFDC 매개변수 선정,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4권, 9호, pp.741-751.
  6. 김진혁, 박건형, 김기철, 서경석, 2011, 대산항 해역의 부유사 확산 수치모사, 대한환경공학회지, 대한환경공학회, 제33권, 1호, pp.16-24.
  7. 이근상, 고덕구, 김우구, 2004, 수치지형도를 활용한 홍수지도 제작용 지형자료의 효과적인 구축방법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한국지리정보학회, 제7권, 1호, pp. 52-61.
  8. 최내인, 2009, 하천지형 생성을 위한 GIS기반의 공간보간기법 연구,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9. 허영택, 류경식, 차기욱, 2010, 이동경계조건을 고려한 직교곡선격자 생성 기법 소개, 대한토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p.2654.
  10. 허영택, 박진혁, 2009, EFDC 모형의 낙동강 하류부 수리해석 적용성 평가,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 42권, 4호, pp.309-317.
  11. 한국수자원공사, 2009a, 낙동강살리기사업 22공구(달성.고령지구) 실시설계보고서.
  12. 한국수자원공사, 2009b, 낙동강살리기사업 23공구(달성.고령지구) 실시설계보고서.
  13. Blumberg, A. F., Mellor, G. L., 1987, A Description of a Three-Dimensional Coastal Ocean Circulation Model. In Three-Dimensional Coastal Ocean Models, Coastal and Estuarine Science, American Geophysical Union, Volume. 4, pp.1-19.
  14. Gotway, C.A., Ferguson, R.B., Hergert, G.W., Peterson, T.A., 1996. Comparison of Kriging and Inverse-Distance Methods for Mapping Parameters.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n Journal, Vol.60, pp.1237-1247. https://doi.org/10.2136/sssaj1996.03615995006000040040x
  15. Jin Li, Andrew D. Heap, 2011, A Review of Comparative Studies of Spatial Interpolation Methods in Environmental Science : Performance and Impact Factors, Ecological Informatics, Vol.6, pp.228-241. https://doi.org/10.1016/j.ecoinf.2010.12.003
  16. Schloeder, C.A., Zimmerman, N.E., Jacobs, M.J., 2001. Comparison of Methods for Interpolating Soil Properties using Limited Data.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n Journal Vol.65, pp.470-479. https://doi.org/10.2136/sssaj2001.652470x
  17. Smagorinsky, J., 1963, General Circulation Experiments with the Primitive Equation, I. The basic experiment, Monthly Weather Review, Vol.91, pp.99-164. https://doi.org/10.1175/1520-0493(1963)091<0099:GCEWTP>2.3.CO;2
  18. Venkatesh Merwade, Aaron Cook, Julie Coonrod, 2008, Gis Techniques for Creating River Terrain Models for Hydrodynamic Modeling and Flood Inundation Mapping, Environmental Modeling & Software, Vol.23, pp.1300-1311. https://doi.org/10.1016/j.envsoft.2008.03.005
  19. V. Akcelik, B. Jaramaz, O. Ghattas., 2001, Nearly Orthogonal Two-Dimensional Grid Generation with Aspect Ratio Control. J. Comput. Phys. Vol. 171(2), pp.805-821. https://doi.org/10.1006/jcph.2001.6811

Cited by

  1. Analysis of Flow and Bed Change on Hydraulic Structure using CCHE2D : Focusing on Changnyong-Haman vol.46, pp.7, 2013, https://doi.org/10.3741/JKWRA.2013.46.7.707
  2. 다차원 모형을 이용한 하천흐름 연계모의 vol.33, pp.1, 2012, https://doi.org/10.12652/ksce.2013.33.1.137
  3. 낙동강수계 하천 흐름연계분석 시스템 개발 및 적용 vol.16, pp.4, 2014, https://doi.org/10.17663/jwr.2014.16.4.389
  4. 수리구조물에 의한 흐름 및 하상변동 연구- 강정고령보를 중심으로 - vol.19, pp.2, 2012, https://doi.org/10.17663/jwr.2017.19.2.181
  5. 비등방성을 고려한 사행하천의 유속 공간보간기법 개발 vol.50, pp.7, 2012, https://doi.org/10.3741/jkwra.2017.50.7.455
  6. UAV와 Echo Sounder 취득 자료의 비교를 통한 저수지 하상의 공간 보간별 정확도 분석 vol.23, pp.3, 2012, https://doi.org/10.11108/kagis.2020.23.3.0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