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pplication of LiDAR Data &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 for Calculate Forest Biomass

산림바이오매스 산정을 위한 LiDAR 자료와 고해상도 위성영상 활용

  • 이현직 (상지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
  • 유지호 (상지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Received : 2012.01.01
  • Accepted : 2012.03.15
  • Published : 2012.03.31

Abstract

As a result of the economical loss caused by unusual climate changes resulting from emission of excessive green house gases such as carbon dioxide which is expected to account for 5~20% of the world GDP by 2100, researching technologies regarding the reduction of carbon dioxide emission is being favored worldwide as a part of the high value-added industry. As one of the Annex II countries of Kyoto Protocol of 1997 that should keep the average $CO_2$ emission rate of 5% by 2013, South Korea is also dedicated to the researches and industries of $CO_2$ emission reduction. In this study, Application of LiDAR data & KOMPSAT-2 satellite image for calculated forest Biomass. Raw LiDAR data's tree numbers and tree-high with field survey data resulted in 90% similarity of objects and an average of 0.3m difference in tree-high. Calculating the forest biomass through forest type information categorized as KOMPSAT-2 image and LiDAR data's tree-high data of tree enabled the estimation of $CO_2$ absorption and forest biomass of forest type, The similarity between the field survey average of 90% or higher were analyzed.

이산화탄소 배출로 인한 지구온난화로 발생하는 기상이변에 따른 경제적 손실은 2100년까지 세계 GDP의 5~20% 예상되며, 전 세계적으로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소를 위한 기술 개발이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1997년 교토의정서에 따라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평균 5%수준으로 감축하자는 내용이 채택되고 우리나라도 2013년 2차 의무대상국 지정이 유력하게 되어 이상화탄소 배출량 감축을 위한 다양한 사업 및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LiDAR자료와 KOMPSAT-2 위성영상을 활용하여 산림 바이오매스를 산정하였다. 원시 LiDAR 자료로부터 추출된 수목의 객체수와 수고를 현장조사 자료와 비교 하였을 때, 객체 수는 평균 90%이상의 유사성을 나타내고 수고는 평균 0.3m의 수고차를 나타났으며, KOMPSAT-2 위성영상과 LiDAR 자료로 분류된 임상정보로 산림바이오매스를 산정 하였을 때, 객체목의 수고자료를 이용하여 임상별 산림 바이오매스와 이산화탄소 흡수량 산정이 가능하였으며, 현장조사와의 유사성은 평균 90%이상으로 높게 분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신영, 2010, LiDAR를 이용한 산림 $CO_{2}$흡수량 산정연 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김소라, 이우균, 곽한빈, 최성호, 2009, KOMPSAT-2 영상을 이용한 산림의 이산화탄소 흡수량 추정, 2009 한국임학회지, 제98권, 제3호, pp.324-330.
  3. 김현, 2010, GIS.RS 기법을 이용한 전라북도 산림의 바이오매스 추정,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손영모, 이경학, 김래현, 표정기, 박인협, 손요환, 이영진, 김춘식, 2010, 산림 온실가스 인벤토리를 위한 주요수종별 탄소배출계수, 국립산림과학원.
  5. 우충식, 윤호중, 정용호, 2007, 산지토사재해 발생구간 분석을 위한 항공사진 DTM에서의 수목필터링, 2007 한국지리정보학회지, 제10권, 제3호, pp.22-30.
  6. 유지호, 2010,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이용한 3차원 스마트 주제도 생성, 상지대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7. 이현직, 유영걸, 유지호, 2009, 고해상도 위성영상 기반의 정밀 주제도 제작, 2009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pp.258-260.
  8. 임종수, 한원성, 황주호, 정상영, 조현국, 신만용, 2009, 위성영상자료 및 국가 산림자원조사 자료를 이용한 산림 바이오매스 추정, 2009 대한원격탐사학회지, 제25권, 제4호, pp.311-320. https://doi.org/10.7780/kjrs.2009.25.4.311
  9. 장안진, 김형태, 2008, 항공사진과 Lidar 데이터를 이용한 산림지역의 바이오매스 추정에 관한 연구, 2008 한국지리정보학회지, 제11권, 제3호, pp.166-173.
  10. Dirk Tiede, Christian Hoffmann, 2006, Process Oriented Object-Based Algorithms for Single Tree Detection using Laser Scanning, 2006 3D remote Sensing in Forestry, Vienna.
  11. Felix Morsdorf, 2004,, Lidar-Based Geometric Reconstucuion of Boreal Type Forest Stands at Single Tree Lever for Forest and Wildland Fire Management, 2004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vol.92, Issue 3, pp.353-362. https://doi.org/10.1016/j.rse.2004.05.013
  12. John R, Jensen. 2004, Introductory Digital Image Processing: A Remote Sensing Perspective, Person College Div.

Cited by

  1. Analysis of Satellite Images to Estimate Forest Biomass vol.21, pp.3, 2013, https://doi.org/10.7319/kogsis.2013.21.3.063
  2. Estimation of forest canopy height using orthoimage-refined digital elevation models vol.11, pp.1, 2015, https://doi.org/10.1007/s11355-013-0238-3
  3. Experiments of Individual Tree and Crown Width Extraction by Band Combination Using Monthly Drone Images vol.24, pp.4, 2016, https://doi.org/10.7319/kogsis.2016.24.4.067
  4. Design of Database and System for Application of Forest Biomass vol.21, pp.4, 2013, https://doi.org/10.7319/kogsis.2013.21.4.013
  5. 북한 지역 UN-REDD 등록 타당성 분석을 위한 위성영상 활용 : 금강산을 사례로 vol.20, pp.4, 2012, https://doi.org/10.7319/kogsis.2012.20.4.077
  6. 고밀도 LiDAR 자료를 이용한 산림자원 추출에 관한 연구 vol.33, pp.2, 2015, https://doi.org/10.7848/ksgpc.2015.33.2.73
  7. Calculation of Tree Height and Canopy Crown from Drone Images Using Segmentation vol.33, pp.6, 2012, https://doi.org/10.7848/ksgpc.2015.33.6.605
  8. 무인항공사진측량 기법을 적용한 수고 산정 연구 vol.21, pp.3, 2018, https://doi.org/10.11108/kagis.2018.21.3.0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