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search on Ways to Improve Science Teaching Methods to Develop Students' Key Competencies

학습자의 핵심역량 개발을 위한 과학과 수업방법 개선 방안

  • Received : 2012.03.02
  • Accepted : 2012.06.18
  • Published : 2012.08.31

Abstract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ways to improve science teaching methods to develop students' key competencies. Since the OECD DeSeCo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project, key competencies are redefined as 'what people should know and be able to do in order to lead a successful life in a well-functioning society, which leads many countries to emphasize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 this research, we collected and analyzed foreign and domestic classroom cases that have implemented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 science teaching. Through open-ended interviews with the teachers and principals, we explored ways to improve science teaching methods to develop students' key competencies. In foreign cases, science teachers emphasized students' knowing what KCs to accomplish, activities and student-centered learning, students' group activities and collaboration, and greater curriculum integration among subjects and contexts. Korean science teachers argued that the KCs should be realized through teaching methods and emphasized scientific inquiry learning whereby non-science track students could also benefit from science lessons. Korean science teachers also emphasized links to real-life situations, providing students with various learning experiences that supported students to develop the KCs, and the delivery of an integrated curriculum. In the conclusion section, the difficulties with the implementation of key competencies a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의 핵심역량 개발을 위한 과학과 수업방법을 탐구하는 것이다. OECD의 DeSeCo 프로젝트를 계기로 핵심역량은 '학생들이 향후 사회적 삶을 성공적으로 살아가기 위해 필요로 하는 능력'으로 재정립됨으로써 여러 나라에서 '역량기반 교육과정'이 강조되기에 이르렀다. 본 연구에서는 국외의 역량기반 교육과정 선도국과 국내의 외국인학교 및 국제중학교를 방문하여 관계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교과교육 혁신 사례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구현하는 국외 사례수집과 더불어, 각 사례별로 교사 및 학교장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학습자의 핵심역량 제고를 위해 요청되는 과학과 수업 개선 방안을 탐색하였다. 외국 사례에서는 학습자의 핵심역량 개발을 위해 과학 수업에서 핵심역량 측면에서 학생들에게 무엇이 기대되는지를 알게 하는 것이 중요하며, 활동과 학생중심 학습을 강조하고, 교과내용 중심의 기존 교육과정에 비해 수업에서 학생들 간의 집단 활동이나 협력을 중시하며, 교과 간 또는 과학영역 간 통합수업이 강조됨을 알 수 있었다. 한국의 과학교사들은 핵심역량은 결국 수업방법을 통해 구현되어야 하며, 과학적 사고력을 길러줄 수 있는 탐구경험을 제공하고, 실제 세계와의 연계를 강조하며, 핵심역량을 체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고, 교과 간 통합수업을 활용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결론 부분에서는 과학과 교육과정이나 수업에 핵심역량을 통합할 경우 예상되는 어려움이나 문제점을 살펴보고, 그 해결방안을 제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영혜, 박소영, 김민조 (2009). 선진형 미래학교 모형에 관한 연구: 교육복지 강화형 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CR 2009-04.
  2. 박순경, 이광우, 이미숙, 정영근, 민용성, 이근호, 김평국, 이경진 (2008).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선진화 개혁 방안 연구(I - 총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C 2008-28-1.
  3. 소경희 (2007). 학교교육의 맥락에서 본'역량'의 의미와 교육과정적 함의. 교육과정연구, 26(3), 1-21.
  4. 소경희, 이상은, 이정희, 허효인 (2010). 뉴질랜드 교육과정 개혁 동향: 핵심역량 중심 교육과정의 실천 사례. 비교교육연구, 20(2), 27-50.
  5. 신종호, 모경환, 박민정, 민지연 (2009). 창의적 문제해결력 증진을 위한 사회과 교육과정의 재구성 방안 연구. 연구보고 RRC 2009-10-3.
  6. 윤현진, 김영준, 이광우, 전제철 (2007). 미래 한국인의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교육과정 비전 연구(I) - 핵심역량 준거와 영역 설정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7-1.
  7. 이경언, 이광우, 김현미, 임선하 (2010). 창의성 제고를 위한 교육과정 개편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10-3.
  8. 이광우, 민용성, 전제철, 김미영, 김혜진 (2008). 미래 한국인의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교육 과정 비전 연구(II) - 핵심역량 영역별 하위 요소 설정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8-7-1.
  9. 이혜영, 강영혜, 박재윤, 나병현, 김민조 (2008). 미래 학교 모형 탐색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 2008-03.
  10. 정영근 외 (2010). 2010 교육과정.교육평가 국제 동향 연구 사업-프랑스.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자료 ORM 2010-61-12.
  11. 최유현, 유태명, 문대영, 최지연, 강경균 (2009). 미래 한국인의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의 재구조화 방안 연구. 연구보고 RRC 2009-10-1.
  12. 홍원표, 이근호, 이은영 (2010). 외국의 역량기반교육과정 현장적용 사례 연구 : 호주와 뉴질랜드, 캐나다, 영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10-2.
  13. Boyd, S., & Watson, V. (2006). Shifting the frame: Exploring integration of the Key Competencies at six normal schools. New Zealand: New Zealand Council for Education Research.
  14. Luke, A. & McArdle, F. (2009). A model for research-based state professional development policy. Asia-Pacific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7(3), 1-21. https://doi.org/10.1080/13598660802616401
  15. OECD (2003). Definition and selection of competencies: Theoretical and conceptual foundation. OECD Press.
  16. OECD (2005). 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necies: Executive Summary. DeSeCo Project. OECD .
  17. OECD (2006). Schooling for Tomorrow: Think Scenarios, Rethink Education. OECD: Paris.

Cited by

  1. Analysis on the Trends of Studies Related to 'Community of Practice' in Korea - Focused on Implications for Study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 vol.33, pp.3, 2014, https://doi.org/10.15267/keses.2014.33.3.464
  2. Theoretical Investigation on Implications of 'Community of Inquiry' for Science Education: Toward 'Community of Inquiry in Science Classroom' vol.34, pp.3, 2014, https://doi.org/10.14697/jkase.2014.34.3.0303
  3. Study on Korean Science Teachers' Perception in Accordance with the Trends of Core Competencies in Science Education Worldwide vol.34, pp.6, 2014, https://doi.org/10.14697/jkase.2014.34.6.0535
  4. Analysis on the Trends of Science Education Studies Related to Students' Science Learning in Korea vol.35, pp.4, 2015,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4.0751
  5. Current status and remaining challenges of STEAM : An analysis from the perspective of Yungbokhap education vol.31, pp.1, 2012, https://doi.org/10.15708/kscs.31.1.201303.007
  6. An Exploration on Teachers' Experience and Perception in Competency-Based Curriculum Implementation vol.64, pp.4, 2012, https://doi.org/10.25152/ser.2016.64.4.1047
  7. 과학과 핵심역량 요소를 기반으로 한 초등학교 과학 글쓰기 수업의 효과 vol.36, pp.4, 2017, https://doi.org/10.15267/keses.2017.36.4.346
  8. An analysis of Change of Attitude toward Science among Middle-School Gifted Students in Science Classes that Focus on Topics in Global Issues vol.24, pp.2, 2018, https://doi.org/10.24159/joec.2018.24.2.477
  9. The Effect of Social Problem Solving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SPS-ESD) Instruction Models o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ESD Competencies Improvement vol.31, pp.2, 2012, https://doi.org/10.17965/kjee.2018.31.2.112
  10. 고등학생들의 과학적 역량에 있어서 과학수업 활동과 학습동기의 역할 -경로모형의 검증- vol.38, pp.3, 2012, https://doi.org/10.14697/jkase.2018.38.3.407
  11. 지식정보처리역량에 대한 과학교사의 인식 조사 vol.38, pp.5, 2012, https://doi.org/10.14697/jkase.2018.38.5.693
  12.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중학교 1학년 성취기준과 과학 1 교과서에 포함된 활동과 평가 문항 분석: 과학과 핵심역량 중심으로 vol.63, pp.3, 2012, https://doi.org/10.5012/jkcs.2019.63.3.196
  13. 통합과학, 화학 I, 화학 II의 성취기준과 교과서 활동 및 평가 문항의 과학과 핵심역량 분석: '산·염기·중화반응'과 '산화·환원'을 중심으로 vol.63, pp.6, 2012, https://doi.org/10.5012/jkcs.2019.63.6.486
  14. 논의기반 탐구 과학수업의 학급 논의 활동에서 나타나는 중학생들의 인식론적 사고의 특징 및 변화 vol.64, pp.1, 2012, https://doi.org/10.5012/jkcs.2020.64.1.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