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Inquiry-based Biology Program o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on the Nature of Science and Affective Domain of Science

탐구중심 생물수업이 예비 과학교사의 과학의 본성 및 과학의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2.03.12
  • Accepted : 2012.07.09
  • Published : 2012.08.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quiry-based biology program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on the nature of science and their affective domain of science. For the study, sixty-seve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were sampled from students who enrolled in the 'Biology Laboratory', Spring semester, 2011. The experimental group taught by inquiry-based experiment and control group by observation-based experiment were composed. At the beginning and end of semester, pre- and post-tests on the nature of science and affective domain of science were administered. The average scores of experimental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control group in the post-test of the nature of science,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oth groups (p>.05). For the post-test results of both groups' affective domain of science,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in self-efficacy in science, importance of science, and importance of science for careers (p<.01). The inquiry-based biology program did not influenc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perception on the nature of science, while it was effective for positive changes o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affective domain of science.

이 연구는 탐구중심 생물학실험 수업이 예비 과학교사의 과학의 본성과 과학의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사범대학 과학교육계열 학생 중 생물학실험을 신청한 67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한 뒤 실험집단에는 탐구중심 실험수업을 적용하고 통제집단에는 관찰중심 실험수업을 적용하였다. 실험수업 처치 전과 후 두 집단 모두에게 과학의 본성과 과학의 정의적 영역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여 탐구중심 생물학실험 수업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과학의 본성에 대한 사후검사에서 실험집단의 평균이 통제집단보다 조금 높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p>.05). 또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과학의 정의적 영역을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에서 과학에 대한 자기 효능감, 과학의 필요성, 장래직업에 대한 과학의 필요성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01). 탐구중심 생물학실험 수업은 예비 과학교사의 과학의 정의적 영역을 향상시키는 데는 효과가 있으나 과학의 본성에 대한 관점변화에는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 (2009a).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09-41호(별책9).
  2. 교육과학기술부 (2009b). 고교 과학과 교육과정 해설서.
  3. 교육인적자원부 (2007).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7-79호(별책9).
  4. 김미경, 김희백 (2007). 고등학교 생물 교과의 개방적 참탐구 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5(4), 521-535.
  5. 김영민, 박종원, 박종석, 김영신, 이효녕 (2008). 과학 교사양성 내실화를 위한 새로운 교과교육학 과목의 설정 및 교수 내용 개발 연구. 서울 : 교육과학기술부.
  6. 김윤택, 김경호, 김남일, 백수관, 김병인, 배진호, 배미정 (2002). 고등학교 생물 II 교과서. 서울 : (주)중앙교육진흥연구소.
  7. 김지영, 강순희 (2007). 가설 연역적 탐구 실험 수업이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관점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3), 169-179.
  8. 김찬종, 현종오, 김희백, 송진웅, 김경숙, 김상협, 김형석, 박명숙, 박미연, 윤명섭, 이원경, 이태원(2009). 중학교 과학1 교과서. 서울 : 두산동아.
  9. 박희송, 이흥우, 조경주, 백운성, 김학현 (2002). 고등학교 생물 II 교과서. 서울 : (주)금성출판사.
  10. 복완근, 옥준석, 오문환, 정상윤, 김덕헌, 김병인, 한덕주, 정익현, 방태철, 박병훈, 황성용, 황원기(2009). 중학교 과학1 교과서. 서울 : (주)지학사.
  11. 서혜애, 박윤배, 정은영, 남정희, 우애자 (2008). 2006 PISA 학생 성취.흥미도 비교조사 연구.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12. 서혜애, 오필석, 홍재식 역 (2000). 국가과학교육 기준 : 미국의 과학교육 개혁. 서울 : 교육과학사.
  13. 윤희숙, 유미현 (2007). Small-Scale Chemistry를 적용한"화학 및 실험"강좌가 초등 예비 교사의 실험활동에 대한 태도 및 과학 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초등과학교육, 26(4), 449-458.
  14. 이상인, 신영준, 동효관, 백승용 (2002). 고등학교 생물 II 교과서. 서울 : (주)지학사.
  15. 이양락 (2004). 제7차 과학과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교과 교육과정 개선 방안. pp. 179-207. 연구자료 ORM 2004-29. 서울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6. 이인선, 조선미, 장신호 (2010). 과학 탐구중심 모의수업 경험이 초등예비교사의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 29(4), 465-473.
  17. 이인선, 최경희, 한인식, 김선화, 이현주 (2009). 핵물리 연구 참여 경험이 예비 과학교사의 과학 탐구과정의 본성에 대한 인식과 진로탐색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5), 541-551.
  18. 임희준, 여상인 (2006). '생활속의 화학'강좌가 예비 초등교사의 과학교수 효능감과 과학의 본성에 대한 신념에 미치는 효과. 초등과학교육, 25(4), 374-382.
  19. 조희형, 정화숙, 장정찬, 최승일, 여경환 (2002). 고등학교 생물 II 교과서. 서울 : 대한교과서(주).
  20. 한국과학교육학회 (2005). 초.중등 과학교육 혁신방안 연구.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 서울.
  21. Abd-El-Khalick, F., & Lederman, N. G. (2000). Improving science teachers' conceptions of nature of science: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2(7), 665-701. https://doi.org/10.1080/09500690050044044
  22. Bell, R. L., Blair, L. M., Crawford, B. A., & Lederman, N. G. (2003). Just do it? Impact of a science apprenticeship program on high school students'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and scientific inquir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0(5), 487-509. https://doi.org/10.1002/tea.10086
  23. Bres, M., & Weisshaar, A. (2008). Thinking about biology: An introductory laboratory manual. San Francisco, CA: Pearson Education, Inc.
  24. Cobern, W. W., & Loving, C. C. (1998). The card exchange: Introducing the philosophy of science. In W. F. McComas (Ed.), The nature of science in science education: Rationales and strategies (pp. 73-82). Dordrecht,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25. Germann, P. J., Aram, R. A., & Burke, G. (1996). Identifying patterns and relationships among the responses of seventh-grade students to the science process skills of designing experimen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3(1), 79-99.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601)33:1<79::AID-TEA5>3.0.CO;2-M
  26. Harlen, W., & Holroyd, C. (1997). Primary teachers'understanding of concepts of science: Impact on confidence and teach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9(1), 93-105. https://doi.org/10.1080/0950069970190107
  27. Hofstein, A., & Lunetta, V. N. (2004). The laboratory in science education: Foundations for the twenty-first century. Science Education, 88(1), 28-54. https://doi.org/10.1002/sce.10106
  28. Kendall Hunt Publishing (2007). BSCS biology: A human approach. Dubuque, IA: Kendall Hunt Pub Co.
  29. Kendall Hunt Publishing (2006). BSCS biology: A Inquiry approach. Dubuque, IA: Kendall Hunt Pub Co.
  30. Khishfe, R., & Abd-El-Khalick, F. (2002). Influence of explicit and reflective versus implicit inquiry-oriented instruction on sixth graders'views of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2), 2-11.
  31. Lederman, N. G. (1992). Students'and teachers'conceptions about the nature of science: A review of the research.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9(4), 331-359. https://doi.org/10.1002/tea.3660290404
  32. Schwartz, R. S., Lederman, N. G., & Crawford, B. (2004). Developing views of nature of science in an authentic context: An explicit approach to bridging the gap between nature of science and scientific inquiry. Science Education, 88(4), 610-645. https://doi.org/10.1002/sce.10128
  33. Sylvia, S. M. (2010). Laboratory manual biology (10th ed.). New York, NY: McGraw-Hill.

Cited by

  1. Grade and Cognition of Pre-Service Education vol.34, pp.3, 2014, https://doi.org/10.14697/jkase.2014.34.3.0197
  2. 초등 예비교사들의 생명영역 탐구 수행 경험이 과학자 이미지와 과학 교수 불안에 미치는 영향 vol.39, pp.1, 2012, https://doi.org/10.21796/jse.2015.39.1.1
  3.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과학의 본성에 관한 국내연구 동향 vol.9, pp.1, 2012, https://doi.org/10.15523/jksese.2016.9.1.65
  4. 관찰과 재현에 대한 예비 생물교사들의 가치지향점 -객관성을 중심으로- vol.36, pp.4, 2016, https://doi.org/10.14697/jkase.2016.36.4.0617
  5. 개방형 탐구를 경험한 예비과학교사의 과학 지식의 본성에 대한 이해와 과학 탐구에 대한 태도 변화 vol.61, pp.5, 2012, https://doi.org/10.5012/jkcs.2017.61.5.2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