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limate Change Education Program in Middle School Science

중학교 과학과 기후변화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 Received : 2012.04.18
  • Accepted : 2012.07.06
  • Published : 2012.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a middle school science climate change education program, apply the program, and analyze the effects of the program. The climate change education program improves understanding of climate change and ability to take action about climate chang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iddle school science climate change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to cover eight topics. The middle school climate change education program contained the phenomenon of climate change, the cause of climate change,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and a climate change measurement system. These contents were developed to reflect the global science education system and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Secondly, the results of the program's application showed that middle school climate change education program improved the knowledge and understanding levels of students, awareness, attitude towards, and the will of students to act in accordance to climate change.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들의 기후변화에 대한 이해 증진과 미래의 기후변화에 대한 예측을 통해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실천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 주기 위한 중학교 과학과 기후변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과학과 교과시간을 위한 기후변화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중학교 과학과 기후변화 교육 프로그램은 8개의 주제가 기후변화의 현상과 원인, 영향 및 대응방안 등의 교육내용을 중심으로 중학교 교과 교육과정에 활용될 수 있도록 개발되었으며, 기후변화가 가지는 지구시스템 과학 교육의 특성과 지속가능 발전 교육의 통합적인 특성을 반영하도록 개발하였다. 둘째, 개발된 중학교 과학과 기후변화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효과를 분석하였다. 효과를 분석해 본 결과, 중학교 과학과 기후변화 교육프로그램은 학생들의 기후변화에 대한 지식 이해 수준 및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 및 태도, 실천의지의 향상에 기여했음을 보여주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천덕, 이효녕, 윤일희, 김은주 (2008). 물의 순환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지구시스템 관련 개념과 시스템 사고의 분석. 중등교육연구, 32(1), 61-72.
  2. 교육과학기술부 (2009). 2009 개정 교육과정 총론. 교육과학기술부.
  3. 교육인적자원부 (2007). 2007 개정 중학교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4. 국동식 (2003). 온실효과 개념에 대한 오개념 원인으로서의 10학년 과학 교과서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5), 592-598.
  5. 권주연, 문윤섭 (2009). 기후변화 교육 목표 및 내용 체계 개발. 환경교육, 22(1), 68-82.
  6. 김은정, 윤순진 (2009). 기후변화 주제를 다룬 역사수업의 환경교육 효과. 환경교육, 22(2), 56-78.
  7. 김찬국, 최돈형 (2010). 우리나라 기후 변화 교육의 방향에 대한 고찰. 환경교육, 23(1), 1-12.
  8. 남영숙 (2008a). 기후위기관리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2008년도 한국환경교육학회 상반기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p. 100-104.
  9. 남영숙 (2008b).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청소년 Green-Leadership 정립 및 발전방안. 2008년도 The 9th TEEN Symposium, pp. 47-59.
  10. 윤순진 (2009). 학교교육에서의 기후변화 교육 현황과 과제. 환경교육, 22(2), 1-22.
  11. 정새롬 (2010). 초등학생의 기후변화 대응행동 실천 과정.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조규성, 강현아 (2002). 지구계 교육 프로그램의 적용에 따른 학습자의 반응. 한국지구과학학회지, 23(4), 299-308.
  13. Boyes, E., & Stanisstreet, M. (1998).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How Major Global Environmental Effects Might Cause Skin Cancer.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29(2), 31-36.
  14. Fortner, R. W. (2000). Public Understanding of Climate Change : Certainty and Willing to Act.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6(2), 127-141. https://doi.org/10.1080/713664673
  15. Fortner, R. W. (2001). Climate Change in school: Where does it fit and how ready are we? Canadian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6, 18-31.
  16. Groves, F. H., & Pugh, A. F. (1999).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 Perceptions of the Greenhouse Effect.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8(1), 75-81. https://doi.org/10.1023/A:1009433705790
  17.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2007). Climate Change 2007-The Physical Science Basis. IPCC.
  18. Munasinghe, M., & Swart, R. (2005). Primer on Climate Change and Sustainable Developm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 Pruneau, D., Gravel, H., Bourque, W., & Langis, J. (2003). Experimentation with a Socio-Constructivist Process for Climate Change Education.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9(4), 429-446. https://doi.org/10.1080/1350462032000126096
  20. Rye, J. A., & Rubba, P. A. (1998). An Exploration of the Concept Map as an Interview Tool To Facilitate the Externalization of Students' Understandings about Global Atmospheric Chang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5(5), 521-546.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805)35:5<521::AID-TEA4>3.0.CO;2-R
  21. Sobel, D. (2007). Climate change meets ecophobia. Connect, Nov/Dec, pp. 14-21.

Cited by

  1. A Development of ESD Program for Parents of primary students vol.19, pp.3, 2012, https://doi.org/10.17055/jpaer.2013.19.3.143
  2. 환경 교과서의 기후변화교육 내용 체계 및 내용 요소 재구조화 vol.27, pp.2, 2014, https://doi.org/10.17965/kjee.2014.27.2.150
  3. 초등학교 5, 6학년 사회 및 과학 교과서의 기후 변화 교육 내용 분석 vol.27, pp.4, 2012, https://doi.org/10.17965/kjee.2014.27.4.447
  4. 초등학생의 기후소양 함양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탐구과정이 강조된 킬링 곡선(Keeling Curve) 활동을 중심으로 vol.9, pp.3, 2016, https://doi.org/10.15523/jksese.2016.9.3.292
  5.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중학교 가정교과 의생활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vol.33, pp.2, 2021, https://doi.org/10.19031/jkheea.2021.6.33.2.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