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sbestos Exposure and Health Risk Assessment for the Residents Near the Abandoned Mining Area in Chungbuk, Korea

충북지역 폐석면광산 인근주민의 석면노출과 건강위해도 평가

  • Shin, Jin-Ho (Seoul Metropolitan Research Institute of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 ;
  • Oh, Seok-Ryul (Seoul Metropolitan Research Institute of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 ;
  • Hwang, Soon-Yong (Seoul Metropolitan Research Institute of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 ;
  • Chung, Sook-Nye (Seoul Metropolitan Research Institute of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 ;
  • Kim, Ji-Hui (Seoul Metropolitan Research Institute of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 ;
  • Nam, Eun-Jung (Seoul Metropolitan Research Institute of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 ;
  • Lee, Jin-Hyo (Seoul Metropolitan Research Institute of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 ;
  • Choi, Hee-Jin (Seoul Metropolitan Research Institute of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 ;
  • Eom, Seok-Won (Seoul Metropolitan Research Institute of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 ;
  • Chae, Young-Zoo (Seoul Metropolitan Research Institute of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 ;
  • Park, Chul-Hwi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University of Seoul)
  • 신진호 (서울특별시보건환경연구원) ;
  • 오석률 (서울특별시보건환경연구원) ;
  • 황순용 (서울특별시보건환경연구원) ;
  • 정숙녀 (서울특별시보건환경연구원) ;
  • 김지희 (서울특별시보건환경연구원) ;
  • 남은정 (서울특별시보건환경연구원) ;
  • 이진효 (서울특별시보건환경연구원) ;
  • 최희진 (서울특별시보건환경연구원) ;
  • 엄석원 (서울특별시보건환경연구원) ;
  • 채영주 (서울특별시보건환경연구원) ;
  • 박철휘 (서울시립대학교 환경공학부)
  • Received : 2012.03.09
  • Accepted : 2012.05.29
  • Published : 2012.05.30

Abstract

To investigate the exposure and health risk assessment for the residents near the D-asbestos mine in Chungbuk, Korea. We analyzed asbestos in the 20 ambient air and 23 activity based samples near the mine. The airborne sample results are showed that 8 of 20 samples ranged between 0.0025 to 0.0029 f/cc (fiber per cubic centimeter) and the others were below the detection limit by phase contrast microscopy (PCM). In addition, asbestos fibers were under the detection limit or not being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Based on interview and survey targeting the local residents, we made the activity based sampling (ABS) scenarios fit to the conditions of field. At the same time, we calculated the excess lifetime cancer risk (ELCR) of these ABS scenarios according to the ELCR average value and 95% upper confidence limit (UCL). At the case of weed whacking, soil digging and sweeping yard scenario, 95% UCL of ELCR exceeded the $1{\times}10^{-4}$, acceptable risk range for exposure. Based on our study results, it is necessary safety measures such as risk communication, abatement or management of naturally occurring asbestos (NOA).

충북의 D-석면광산 인근지역에서 석면이 포함된 토양으로 부터 대기 중으로 비산되는 석면조사와 주민들의 일상생활이나 토양을 경작하는 농업활동 등의 석면노출이 가능한 주요활동에 대한 인체 위해도를 평가하여, 지역주민의 건강 위해성을 미연에 방지하는 대책을 수립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대기 중 석면 모니터링을 위해 바람의 방향을 고려하여 지역주민의 거주지 근처에 시료채취지점을 선정하였다. 이를 위상차현미경으로 분석한 결과, 20개 지점 중에서 12개 지점은 검출한계 이하이고, 8개 지점도 0.0025~0.0029 f/cc 범위로 석면안전관리법의 공기질 관리기준 0.01 f/cc 보다 매우 낮은 수준이었다. 또한 투과전자현미경으로 이 섬유상 물질을 분석한 결과도 석면이 아니거나 검출한계 이하로 나타났다. 일반 대기 중 석면의 악영향은 거의 없는 것으로 추정된다. 둘째, 현장조사와 지역주민의 설문조사를 토대로 활동근 거시료채취 시나리오를 현지 실정에 맞게 설정하였으며, 그 중에서 예초기 작업과 흙파기, 마당쓸기 시나리오의 경우에 위해도의 95% 신뢰상한치가 석면에 대한 활동별 초과생애발암위해도의 허용치 $1{\times}10^{-4}$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양 교란활동이 수반되는 농경활동에는 토양에 함유된 석면섬유상 물질이 많이 비산되는 것으로 판단되며, 지역주민의 세심한 주의가 요구된다. 따라서 이에 대한 결과를 바탕으로 환경성 노출원을 가능하다면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석면노출을 최소화하고, 지역주민들에게 석면노출 가능성이 있는 환경에 대해 널리 알림으로써 토양을 교란하여 석면이 비산되는 행위를 제한하는 등의 석면으로 인한 건강피해를 줄이는 체계적인 관리대책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송석환 등, "충남 광천지역 석면의 산출유형및 광물학적 특징," 한국산업위생학회지, 18(4), 271-281(2008).
  2. 홍범식, "광물학," 동명사, 415-416(1983).
  3. 강동묵, "환경성 석면노출의 건강영향," 한국환경보건학회지, 35(2), 71-77(2009).
  4. 노영만, "국내 석면 실태조사 현황," 공기청정기술지, 22(1), 21-25(2009).
  5. "충북 제천시 및 강원도 영월군 석면광산 조사보고서," 석면추방네트워크, 2-3(2009).
  6. Becklake, M. R. "Asbestos related diseases of the lung and other organs: Their epidemiology and implications for clinical practice," The American review of respiratory disease, 114-187(1976).
  7. "폐석면광산 주변 토양․지하수의 석면함유 실태조사," 환경부(2010).
  8. "Framework for Investigating Asbestos-Contaminated Superfund Site," OSWER Directive #9200.0-68, US EPA(2008).
  9. "Standard Operating Procedures Activity Based Air Sampling for Asbestos," US EPA(2007).
  10. 이준혁, "우리나라 일부 석면광산 지역에서 활동에 따른 석면노출 및 위해성 평가,"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15(2010).
  11. "Ambient air-Determination of asbestos fibres-Direct-transfer tranmission electron microscopy method," ISO 10312 First edition(1995).
  12. "Clear Creek Management Area Asbestos Exposure and Human Health Risk Assessment," US EPA(2008).
  13. Kiyoshi Sakai et al., "Airborne fiber concentration and size distribution of mineral fibers in area with serpentinite outcrpos in aichi prefecture in Japan," Industrial Health, 39, 132-140(2001). https://doi.org/10.2486/indhealth.39.132
  14. "지질연구조사," 대한광업진흥공사(1981).
  15. "Intergrated Risk Information System (IRIS) file for Asbestos(0371), File online : www.epa.gov/IRIS.," US EP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