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Geological Structures of the Hadong Northern Anorthosite Complex and its surrounding Area in the Jirisan Province, Yeongnam Massif, Korea

영남육괴 지리산지구에서 하동 북부 회장암복합체와 그 주변지역의 지질구조

  • Lee, Deok-Seon (Department of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s, Andong National University) ;
  • Kang, Ji-Hoon (Department of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s, Andong National University)
  • 이덕선 (안동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 강지훈 (안동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Received : 2012.05.18
  • Accepted : 2012.06.25
  • Published : 2012.09.30

Abstract

The study area, which is located in the southeastern part of the Jirisan province of the Yeongnam massif, Korea, consists mainly of the Precambrian Hadong northern anorthosite complex (HNAC) and the Jirisan metamorphic rock complex (JMRC) and the Mesozoic granitoids which intrude them. Its tectonic frame is built into NS trend, unlike the general NE-trending tectonic frame of Korean Peninsula. This paper researched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at each deformation phase to clarify the geological structures associated with the NS-trending tectonic frame which was built in the HNAC and JMRC.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 geological structures of this area were formed at least through three phases of deformation. (1) The $D_1$ deformation formed the $F_1$ sheath or "A"-type folds in the HNAC and JMRC, and the $S_{0-1}$ composite foliation and the $S_1$ foliation and the $D_1$ ductile shear zone which are (sub)parallel to the axial plane of $F_1$ fold, and the $L_1$ stretching lineation which is parallel to the $F_1$ fold axis owing to the large-scale top-to-the SE shearing on the $S_0$ foliation. (2) The $D_2$ deformation (re)folded the $D_1$ structural elements under the EW-trending tectonic compression environment, and formed the NS-trending $F_2$ open, tight, isoclinal, intrafolial folds with the $S_{0-1-2}$ composite foliation and the $S_2$ foliation and the $D_2$ ductile shear zone with S-C-C' structure and the $L_2$ stretching lineation which is (sub)parallel to the axial plane of $F_2$ fold. The extensive $D_2$ ductile shear zone (Hadong shear zone) of NS trend was persistently developed along the eastern boundary of HNAC and JMRC which would be to the limb of $F_2$ fold on a geological map scale. The Hadong shear zone is no less than 1.4 km width, and was formed in the mylonitization process which produced the mylonitic structure and the stretching lineation with the reduction of grain size during the $F_2$ passive folding. (3) The $D_3$ deformation formed the EW-trending $F_3$ kink or open fold under the NS-trending tectonic compression environment and partially rearranged the NS-trending pre-$D_3$ structural elements into (E)NE or (W)NW direction. The regional trend of $D_1$ tectonic frame before the $D_2$ deformation would be NE-SW unlike the present, and the NS-trending tectonic frame in the HNAC and JMRC like the present was formed by the rearrangement of the $D_1$ tectonic frame owing to the $F_2$ active and passive folding. Based on the main intrusion age of (N)NE-trending basic dyke in the study area, these three deformation events are interpreted to have occurred before the Late Paleozoic.

영남육괴 지리산지구의 남동부에 위치하는 연구지역은 선캠브리아기 지리산 변성암복합체와 하동 북부 회장암복합체 그리고 이들을 관입하는 중생대 화성암류 등으로 주로 구성되어 있고, 지체구조는 한반도의 일반적인 방향인 북동-남서 방향이 아닌 남북 방향으로 발달한다. 본 논문은 하동 북부 회장암복합체와 그 주변부의 지리산 변성암복합체에 발달하는 남북 방향의 지체구조 형성과 관련된 지질구조를 규명하기 위하여 이들 구성암류에 대한 변형단계별 구조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연구지역의 지질구조는 적어도 세 번의 변형단계를 거쳐 형성되었음을 알게 되었다. (1) $D_1$ 변형은 $S_0$ 엽리의 상부가 남동쪽으로 이동하는 대규모 연성전단작용으로 지리산 변성암복합체와 하동 북부 회장암복합체에 $F_1$ 칼집 내지 "A"형 습곡과 $F_1$ 습곡축면에 (준)평행한 $S_{0-1}$ 복합엽리 내지 $S_1$ 엽리와 $D_1$ 연성전단대 그리고 $F_1$ 습곡축에 평행한 $L_1$ 신장선구조를 형성시켰다. (2) $D_2$ 변형은 동서 방향의 압축 지구조환경 하에서 $D_1$ 구조요소를 (재)습곡시키는 남북 방향의 $F_2$ 개방, 밀착, 등사, 층간 습곡과 $F_2$ 습곡축면에 (준)평행하게 발달하는 $D_2$ 연성전단대와 $S_{0-1-2}$ 복합엽리 내지 $S_2$ 엽리와 $D_2$ 연성전단대에 수반된 S-C-C' 구조와 $L_2$ 신장선구조를 형성시켰다. 지질도 규모의 $F_2$ 습곡의 날개부에 해당하는 하동 북부 회장암복합체와 지리산 변성암복합체의 동쪽 경계부를 따라서는 $F_2$ 수동적 습곡작용 동안에 입도 세립화와 함께 압쇄구조와 신장선구조를 형성시키는 압쇄암화과정에서 적어도 1.4 km 이상의 폭을 갖고 연장성 있는 남북 방향의 $D_2$ 연성전단대(하동전단대)가 형성되었다. (3) $D_3$ 변형은 남북 방향의 압축 지구조환경 하에서 동서 방향의 $F_3$ 킹크 내지 개방 습곡을 형성시켰고, $D_3$ 변형 이전의 남북 방향 구조요소들을 국부적으로 (동)북동 내지 (서)북서 방향으로 재배열시켰다. $D_2$ 변형 이전의 $D_1$ 광역 지체구조의 방향성은 현재와 달리 북동-남서 방향이었다. 하동 북부 회장암복합체와 그 주변부의 지리산 변성암체에 발달하는 광역적인 남북 방향의 지체구조는 북동-남서 방향의 $D_1$ 지체구조가 $F_2$ 능동 및 수동적 습곡작용에 의해 남북 방향으로 재배열되어 형성되었다. 연구지역의 세 번의 변형작용은 (북)북동 방향의 염기성 암맥군의 관입 집중기로 알려진 고생대 말 이전에 발생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안동대학교

References

  1. 강희철, 김인수, 손문, 2001, 하동-산청지역에 분포하는 고원생대 말의 회장암질암에 대한 잔류자기 연구. 지질학회지, 37, 269-286.
  2. 고보균, 2006, 하동-산청 회장암복합체의 성인에 대한 암석학적.지화학적 연구. 강원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154p.
  3. 김광호, 정재일, 1994, 하동-산청지역에 분포된 회장암질암 및 염기성 심성암의 고지자기 연구. 지질학회지, 30, 81- 92.
  4. 김동연, 박계헌, 송용선, 2000, 지리산 지역 챠노카이트 (Charnockite)의 생성시기와 기원 및 회장암과의 성인적 관계. 제9차 암석학회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요약집, 37.
  5. 김동연, 송용선, 박계헌, 1998, 지리산 동부지역에 분포된 챠노카이트(charnockite)의 암석학, 지구화학 및 지구연대학. 대한지질학회 제53차 학술발표회 초록집, 35-36.
  6. 김동연, 송용선, 박계헌, 2002, 지리산 동부 지역에 분포하는 차노카이트의 변성작용과 성인에 관한 연구. 암석학회지, 11, 138-156.
  7. 김성욱, 최은경, 김인수, 1999, 하동-산청지역에 분포하는 회장암질암에 대한 대자율 비등방성 연구. 지구물리학회지, 2, 169-178.
  8. 김옥준, 박희인, 김기태, 홍만섭, 박양대, 윤선, 1964, 한국지질도(1:50,000) 산청도폭 및 설명서. 국립지질조사소, 25p.
  9. 김용준, 이창신, 강상원, 1991, 영남육괴 지리산지구에 분포하는 중성-염기성 심성암류에 대한 암석지화학. 지구과학학회지, 12, 100-122.
  10. 김종선, 조형성, 안성호, 손문, 2011, 산청 회장암과 암맥군, 철-티탄 광체, 고철질 백립암. 한국암석학회 학술답사 안내지, 44p.
  11. 김종선, 조형성, 안성호, 송철우, 손문, 김인수, 2010, 영남 육괴 산청회장암과 암맥군에 대한 SHRIMP U-Pb 연대 와 의미. 춘계 지질과학기술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125-126.
  12. 김형식, 1970, 한국 서남부 일대의 광역 변성작용에 관하여. 지질학회지, 6, 97-118.
  13. 김형식, 1999, 지구상에 가장 오래된 암석 "토나라이트 편마암". 암석학회지, 8, 125-129.
  14. 박계헌, 김동연, 송용선, 2001, 지리산 지역 차노카이트와 함티탄철석 회장암질암의 Sm-Nd 광물연대 및 성인적 관계. 암석학회지, 10, 27-35.
  15. 박계헌, 김동연, 송용선, 정창식, 2006, 중생대 산청섬장암의 Rb-Sr 조성과 의미. 암석학회지, 15, 1-9.
  16. 박계헌, 송용선, 박맹언, 이승구, 류호정, 2000, 동북아시아 지역 선캠브리아 지괴에 대한 암석학, 지구화학 및 지구 연대학적 연구: 1. 지리산지역 변성암의 변성연대. 암석학회지, 9, 29-38.
  17. 송용선, 1981, 하동-산청 지역에 분포하는 변성암류의 변성 작용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44p.
  18. 송용선, 1999, 소백산육괴 서남부 지리산지역의 반상변정질 편마암에서 산출되는 백립암질 포획암. 암석학회지, 8, 34-45.
  19. 송용선, 이상만, 1989, 소백산육괴 중앙부 선캠브리아 변성 암류의 암석학적 연구. 지질학회지, 24, 451-468.
  20. 안성호, 김종선, 조형성, 송철우, 손문, 류충렬, 김인수, 2010, 한반도 남부 원생대 산청회장암체 내 암맥군의 분류와 상대연령. 지질학회지, 46, 13-30.
  21. 이덕선, 강지훈, 2010, 영남육괴 지리산지구 하동-산청 지역에 발달하는 대규모 칼집형 습곡. 추계 지질과학연합 학술발표회 요약집, 60.
  22. 이덕선, 강지훈, 2011, 영남육괴 지리산지구에서 하동-산청 지역의 지질구조. 한국광물학회.한국암석학회 공동학술발표회 논문집, 52-56.
  23. 이상만, 1980, 지리산(하동-산청)지역의 변성이질암의 변성 작용에 관한 연구. 지질학회지, 16, 1-15.
  24. 이상만, 1988, 소백산육괴 종합변성상 연구. 한국동력자원 연구소, 연구보고서, KR-87-5.
  25. 이상만, 김형식, 1984, 소위 율리층군 및 원남층군의 변성 암석학적 연구 -태백산일대를 중심으로-. 지질학회지, 20, 195-214.
  26. 이상만, 나기창, 이상헌, 박배영, 이상원, 1981, 소백산 육괴(동남부)의 변성암복합체에 대한 변성작용에 대한 연구. 지질학회지, 17, 169-188.
  27. 이상원, 윤성효, 1994, 지리산 북부 마천일대의 반려암질암에 대한 암석학적 연구 및 Rb/Sr 전암년대.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제27차 학술발표회 발표논문 요약집, 32.
  28. 이종만, 정지곤, 김원사, 1999, 하동지역 회장암질암의 진화 및 함티타늄광체와 성인적 관련성에 대한 예비연구. 지질학회지, 35, 321-336.
  29. 정재성, 김종선, 조형성, 송철우, 손문, 류충렬, 지세정, 김인수, 2010, 원생대 하동회장암체 내 철-티탄 광체의 산상과 변형. 암석학회지, 19, 31-49.
  30. 정지곤, 1987, 하동-산청지역에 분포한 회장암질암의 분화. 지질학회지, 23, 216-228.
  31. 정지곤, 김원사, 서병민, 1991, 경상분지 서부 인접지역에 분포한 염기성 및 초염기성암의 성인에 관한 연구. 대한지질학회 제46차 정기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약집, 34.
  32. 정지곤, 김원사, David H. Watkinson, 1989, 하동지역에 분포한 회장암질암의 구조와 티타늄광체의 산출 상태. 지질학회지, 25, 98-111.
  33. 정지곤, 이상만 1986, 하동-산청 지역 회장암질암의 변성작용에 관한 연구. 이상만 교수 송수기념 논문집, 87-706.
  34. 최유구, 정창희, 이대성, 김서운, 김수진, 1964, 한국지질도 (1:50,000) 단성도폭 및 설명서, 국립지질조사소, 28p.
  35. Davis, G.H. and Reynolds, S.J., 1996, Structural geology: passive folding. John Wiley and Sons. Inc., 449-455.
  36. Donath, F.A. and Parker, R.B., 1964, Folds and folding.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Bulletin, 75, 45-62. https://doi.org/10.1130/0016-7606(1964)75[45:FAF]2.0.CO;2
  37. Jeong, J.-G., 1980, Petrogenesis of anorthosite and related rocks in Hadong-Sancheong district, Korea. Ph. 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153p.
  38. Kim, C.-B. and Turek, A., 1996, Advances in U-Pb zircon geochronology of Mesozoic plutonism in the southwestern part of Ryeongnam in Korea. Geochem. Jour., 30, 323-338. https://doi.org/10.2343/geochemj.30.323
  39. Kim, C.-B., Chang, H.-W. and Turek, A., 2003, U-Pb zircon ages and Sr-Nd-Pb isotopic compositions for Permian- Jurassic plutons in the Ogcheon belt and Ryeongnam massif, Korea: Tectonic implications and correlation with the China Qinling-Dabie belt and the Japan Hida belt. Island Arc, 12, 366-382. https://doi.org/10.1046/j.1440-1738.2003.00404.x
  40. Kwon, S.-T. and Jeong, J.-G., 1990, Preliminary Sr-Nd isotope study of the Hadong-Sancheong anorthositic rocks in Korea: implication for their origin and for the Precambrian tectonics. Jour. Geol. Soc. Korea, 26, 341-349.
  41. Lee, D.-S., 1987, Geology of Korea. Geological Society of Korea, Kyohaksa, Seoul, 514p.
  42. Ramsay, J.G., 1967, Folding and fracturing of rocks. McGraw-Hill Book Company, New York, 560p.
  43. Reedman, A.J. and Um, S.-H., 1975, Geology of Korea. Korea Insti. Ener. Resour., Seoul, 139p.
  44. Turek, A. and Kim, C.-B., 1995, U-Pb zircon ages of Mesozoic plutons in the Damyang-Geochang area Ryongnam massif, Korea. Geochem. Jour., 29, 243-258. https://doi.org/10.2343/geochemj.29.243
  45. Turek, A. and Kim, C.-B., 1996, U-Pb zircon ages for Precambrian rocks in southwesten Ryeongnam and southwestern Gyeonggi massif, Korea. Geochem. Jour., 30, 231-249. https://doi.org/10.2343/geochemj.30.231

Cited by

  1. Deformational Phase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Hadong Southern Anorthosite Complex and its Surrounding Area in the Jirisan Province, Yeongnam Massif, Korea vol.22, pp.2, 2013, https://doi.org/10.7854/JPSK.2013.22.2.179
  2. Formation Process and Its Mechanism of the Sancheong Anorthosite Complex, Korea vol.48, pp.6, 2015, https://doi.org/10.9719/EEG.2015.48.6.431
  3. Development Pattern and Ductile Deformation of the Sancheong Fe-Ti Mineralized Zone, Korea vol.22, pp.2, 2013, https://doi.org/10.7854/JPSK.2013.22.2.209
  4. A massif-type (~1.86 Ga) anorthosite complex in the Yeongnam Massif, Korea: late-orogenic emplacement associated with the mantle delamination in the North China Craton vol.26, pp.5, 2014, https://doi.org/10.1111/ter.12115
  5. Geometric and Kinematic Characteristics of Fracture System in the Sancheong Anorthosite Complex, Korea vol.25, pp.4, 2016, https://doi.org/10.7854/JPSK.2016.25.4.389
  6. Genetic Relationship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Fe-Ti Ore Body and the Sancheong Anorthosite, Korea vol.47, pp.6, 2014, https://doi.org/10.9719/EEG.2014.47.6.571
  7. In situ U–Pb and Lu–Hf isotopic studies of zircons from the Sancheong–Hadong AMCG suite, Yeongnam Massif, Korea: Implications for the petrogenesis of ∼1.86 Ga massif-type anorthosite vol.138, 2017, https://doi.org/10.1016/j.jseaes.2017.02.0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