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easonal Changes in Water Masses and Phytoplankton Communities in the Western Part of South Coastal Waters, Korea

남해 서부연안의 수괴 및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적 변동

  • Jung, Seung Won (Library of Marine Samples,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
  • Park, Jong Gyu (Department of Oceanography, Kunsan National University) ;
  • Jeong, Do Hyun (Library of Marine Samples,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
  • Lim, Dhongil (Library of Marine Samples,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 정승원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시료도서관) ;
  • 박종규 (군산대학교 해양학과) ;
  • 정도현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시료도서관) ;
  • 임동일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시료도서관)
  • Received : 2012.09.04
  • Accepted : 2012.11.12
  • Published : 2012.12.31

Abstract

We investigated seasonal changes in the marine environments and phytoplankton communities in the western part of south coastal waters of Korea during May 2009 and February 2010. In multidimensional scaling analysis of in situ data obtained by shipboard observations, the coastal waters comprised four different water masses: Yellow Sea water mass (YW) of low temperature and salinity, and high suspended solids and nutrient concentrations; south-western coastal water mass (SW) of high salinity and nutrient concentrations; Tsushima Current water mass (TW) of low nutrient concentrations, and high temperature and salinity; and closed bay water mass (CW). The spatial extent of these water masses varied according to seasona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In particular, at most study sites, TW expanded during autumn toward coastal waters. Phytoplankton abundances peaked during autumn in CW and spring in YW, which coincided with periods of high nutrient concentrations. In particular, diatoms predominated, and attained an abundance of more than 90% in most water masses. However, dinoflagellates in TW comprised a proportion of approximately 20% abundance.

남해 서부 연안역의 식물플랑크톤 군집 및 환경요인의 계절별 변화를 관찰하고자 2009년 4월부터 2010년 2월까지 계절별 조사를 수행하였다. 환경요인의 변화는 multidimensional scaling (MDS)에 따라 수괴의 변화를 분석하였을 때, 남해 연안역 수괴 (SW; South-western coastal Water mass) 및 남쪽에서 유입되는 고염의 외양 수괴(TW; Tsushima current Water mass), 서쪽 제주해협을 통해 유입되는 저염의 서해 연안수괴 (YW; Yellow sea Water mass), 그리고 해안의 하천으로부터 계절적으로 유입되는 담수(CW; Closed bay Water mass)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들 수괴는 해양 환경의 시 (계절) 공간적 특성에 따라 발달과 확장 및 축소되고 있었다. 즉, 연안에서 외해역 또는 외해역에서 연안 방향(남-북 방향) 그리고 서쪽(진도 주변 해역)에서 동쪽 방향 (동서 방향)의 농도 경사를 보인다. 이러한 남-북 방향의 공간 변동은 연안에서 하천과 지하수로 유입되는 연안 담수(낮은 염분과 높은 영양염 농도)와 대마 해류(고염분과 저영양염) 사이의 혼합에 의한 것이며, 동-서방향의 공간 변동은 제주해협을 통해 남해 연안으로 유입되는 서해의 연안수(저염분과 고영양염)와 대마 해류 사이의 혼합에 의해 조절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식물플랑크톤은 고영양염을 보인 서해 연안수 및 여자만, 득량만에서 높은 개체수를 보였다. 식물플랑크톤 군집별 특성은 규조류가 90% 이상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나 대마 해류 수괴에서 와편모조류가 상대적으로 높아 수괴 특성에 따른 분류군의 차이를 보여 수괴가 갖는 기원적 특성 (original characteristics)의 차이를 보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Grant : 남해특별 관리해역의 관리를 위한 해양 생태계 건강지수 개발 사업

Supported by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References

  1. 국립수산과학원. 2012. 남∙서해안에서의 해양생태계 변화에 따른 김 양식장 적정 수용량 등 조사. 2011년도 국립수산과학원 사업보고서. 86pp.
  2. 국토해양부. 2010. 해양생태계 기본조사 연구. 남해서부. 842pp.
  3. 김희준, 육상섭. 1983. 한국 남해의 수온역전현상. 한국수산학회지. 16:111-116.
  4. 양영진, 김상현, 노홍길. 1998. 한국 남.서해 및 동중국해 북 부해역에 출현하는 수온전선. 한국수산학회지. 31:695- 706.
  5. 윤양호, 박종식, 서호영, 황두진. 2005. 이른 여름 동중국해 북부해역의 해양환경과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분포특성.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8:100-110.
  6. 이병관, 김석윤, 조현만. 2010. 광양만내의 현장 부유입자물질 분포와 거동. 한국해양공학회지. 24:99-105.
  7. 이주연, 한명수. 2007. 마산만 식물플랑크톤의 대발생 양상의 변화와 군집 동태.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12:147-158.
  8. 정승원, 임동일, 신현호, 정도현, 노연호. 2011. 마산만 표층수에서 물리-화학적 수질요인과 엽록소-a 농도 사이의 관계: 격일 관측 자료. 환경생물. 29:98-106.
  9. 조현서, 이대인, 윤양호, 이문옥, 김동명. 2004. 진해만 서부해역의 하계 수질의 시간변동 특성.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7:13-21.
  10. 주형민, 이진환, 정승원. 2011.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개체수, 생체량, chlorophyll a의 상관성: 인천, 통영, 울산 해역을 중심으로. 환경생물. 29:312-320.
  11. 최정훈, 박용안, 김부근. 1997. 광양만 서북부 해역의 부유물질의 분포와 입도에 관한 연구. The Korean Journal of Quaternary Research. 11:39-56.
  12. 해양수산부. 2005. 해양생태계 기본조사 연구(I). 325 pp.
  13. Brzezinski MA, DR Phillips, FP Chavez, GE Friederich and RC Dugdale. 1997. Silica production in the Monterey, California, upwelling system. Limnol. Oceanogr. 42:1694-1705. https://doi.org/10.4319/lo.1997.42.8.1694
  14. Dufour P, L Charpy, S Bonnet and N Garcia. 1999. Phytoplankton nutrient control in the oligotrophic South Pacific subtropical gyre (Tuamotu Archipelago). Mar. Ecol. Prog. Ser. 179: 285-290. https://doi.org/10.3354/meps179285
  15. Frost BW. 1991. The role of grazing in nutrient-rich areas of the open sea. Limnol. Oceanogr. 36:1616-1630. https://doi.org/10.4319/lo.1991.36.8.1616
  16. Goldman JC and PM Gilbert. 1983. Kinetics of inorganic nitrogen uptake by phytoplankton. pp. 233-274. In Nitrogen in the marine environment (Carenter EJ and DG Capone eds.). Academic Press. NewYork.
  17. Jung SW, SM Yun, SD Lee, YO Kim and JH Lee. 2009.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Four Species in the Genus Skeletonema in Coastal Waters of South Korea. Algae. 24: 129-138. https://doi.org/10.4490/ALGAE.2009.24.3.129
  18. Lu D. 1991. Distribution of indicator dinoflagellates in the East China Sea. Acta Oceanol. Sin. 11:109-122.
  19. Maita Y and T Odate. 1988. Seasonal change in size fractionated primary production and nutrient concentrations in the temperate neritic water of Funka Bay, J. Oceanogr. 44:28- 279.
  20. Mukai T. 1987. Effects of Micro-scale in situ Environmental Gradients Concerning Water Qualities on the Structure of the Phytoplankton Community in a Coastal Embayment. Estuar. Coast. Shelf Sci. 25:447-458. https://doi.org/10.1016/0272-7714(87)90036-9
  21. Nybakken JW and MD Bertness. 2005. Marine Biology: An Ecological Approach. Benjamin Cummings, San Francisco.
  22. Oostdam BL and RR Jordan. 1972. Suspended sediment transport in Delaware Bay. Geol. Soc. Amer. Memoir. 133:143- 149.
  23. Rabalais NN, RE Turner, RJ Diaz and D Justic. 2009. Global change and eutrophication of coastal waters. ICES J. Mar. Sci. 66:1528-1537. https://doi.org/10.1093/icesjms/fsp047
  24. Simpson JH, DJ Edelsten, A Edwares, NCG Morris and PB Tett. 1982. The Islay Front: Physical Structure and Phytoplankton distribution. Est. Coast. Mar. Sci. 9:713-726.
  25. Sommer U. 1994. The impact of light intensity and daylength on silicate and nitrate competition among marine phytoplankton. Limnol. Oceanogr. 39:1680-1688. https://doi.org/10.4319/lo.1994.39.7.1680
  26. Wimpenny RS. 1973. The Size of Diatoms V. The Effects of Animal Grazing. J. Mar. Bio. Ass. U.K. 53:957-974. https://doi.org/10.1017/S0025315400022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