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Lifestyle Habits and Nutrient Intake Conditions of Female Shift Workers at General Hospitals on Bone Mineral Density Values

종합병원 교대근무 여성들의 생활습관 및 영양섭취상태가 골밀도 값에 미치는 영향

  • Kim, Young-Ran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Lee, Tae-Yong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Park, Young-Sun (Department of Radiological, Daejeon Health Sciences university) ;
  • Cheon, Hae-Kyung (Department of Radiological, Baekseok culture university)
  • 김영란 (충남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예방의학교실) ;
  • 이태용 (충남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예방의학교실) ;
  • 박영선 (대전보건대학교 방사선과) ;
  • 천해경 (백석문화대학교 방사선과)
  • Received : 2012.01.05
  • Accepted : 2012.03.14
  • Published : 2012.03.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preliminary data for bone disease prevention by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bone mineral density, and lifestyle and nutritional status of female shift workers, at general hospitals with an irregular life cycle.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232 female shift workers, over 30 years old, who worked at a general hospital more than 5 years. From the subjects, who understood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decided to be participated, we measured serum albumin, total brotein, total cholesterol, hematocrit, hemoglobin, calcium, phosphorus from blood test, and obtained bone mineral density.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variables for explanation power, we established the studied values as independent variables, bone minral density as a dependent variable. Exercise, the number of drinking, calcium, and phosphorus were selected as significant variables and the explanation power was 10.2%. The bone mineral density were significantly higher at the subjects who had exercise, higher calcium and phosphorus possession, and drank alcohol than the opposite cases. Regular exercise, and 1:1 intake of calcium and phosphorous were important to prevent osteoporosis for the subjects who were working three shifts which cause irregular lifestyle.

본 연구는 생활주기가 불규칙한 종합병원에 5년 이상 근무한 만 30세 이상의 교대근무여성 총 232명을 연구대상으로 생활습관과 영양섭취상태를 조사하고, 골밀도와의 관련성을 살펴봄으로써 교대근무여성의 골 질환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에 허락한 교대근무여성들의 골밀도를 측정하고, 혈액 검사를 통한 생화학적 검사로 혈청 알부민, 총 단백질, 총 콜레스테롤, 헤마토크리트, 헤모글로빈, 칼슘, 인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일반적 특성 및 생활 습관, 총콜레스테롤, 총 단백질, 알부민, 칼슘, 인, 헤모글로빈, 헤마토크리트를 독립변수로, 골밀도를 종속변수로 하여 골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수들의 설명력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운동, 음주, 칼슘, 인이 유의한 변수로 선정되었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10.2%였다. 즉 운동을 하지 않은 군보다 운동을 한 군일수록, 비음주군보다 음주군일수록, 칼슘이 많은 군일수록, 인이 많은 군일수록 골밀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3교대 조사대상자들의 불규칙한 생활습관으로 인한 골다공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규칙적인 운동이 필요하며 칼슘과 인을 1 : 1 비율로 섭취하는 식이습관이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Geneva, Switzerland: Technical Report Series. Technical Report Series. No .843. WHO, World Health Organization. Assessment of fracture risk and its application to screening for postmenopausal osteoporosis, 1994.
  2. Gambert SR, Schyltz BM, Hamdy RC. : Osteoporosis: Clinical features, prevention and treatment, Endocrinol Metab Clin North Am, 24(2), 317-371, 1995
  3. 이원정, 김노원: 폐경전, 후 여성에서 골다공증의 위험요인과 요추와 대퇴골의 골밀도 비교분석, 방사선기술과학회지, 28(3), 227-234, 2005
  4. 김미영, 김화선: 페경에 따른 골밀도 예측인자의 차이, 방사선기술과학회지, 34(3), 195-201, 2011
  5. 김순근, 권대철, 송운홍: 생화학적 표식자에 따른 성인들의 골밀도 분석, 방사선기술과학회지, 32(4), 411-418, 2009
  6. A. Shin, S. Lim, J. Sung, Myung, J. Kim: Dietary habit and bone mineral density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Osteoporos Int, 21, 947-955, 2010 https://doi.org/10.1007/s00198-009-1039-2
  7. 박성옥, 이인자, 신귀순: 성인의 연령, 체질량지수 및 생활습관과 골밀도의 관계, 방사선기술과학회지, 31(4), 367-377, 2008
  8. 김순근: 성인의 신체조건 및 생활습관에 따른 골밀도 변화에 대한 연구, 방사선기술과학회지, 29(3), 177-184, 2006
  9. 주명숙, 남상륜.: 골다공증위험요인에 관한 연구: 류마티스건강학회지, 6(1), 37-50, 1999
  10. 이운정: 성인여성의 식생활 습관 및 영양소 섭취와 골밀도 관계. 계명대학교, 2005
  11. 이광성, 권인선, 조영채: 성인여성의 월경력 및 산과적 요인이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모자보건학회지, 13(1), 1-11, 2009
  12. 김려화: 일부 농촌 주민들의 골다공증 유병률과 그 관련요인.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6
  13. 박선주, 안윤진, 민해숙: 지역사회 코호트 여성의 요골과 경골에서의 골다공증 유병률과 관련 요인 분석,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10(4), 536-545, 2005
  14. 김순분. 김기진: 40대 중년여성의 12주간 댄스스포츠 수행이 건강관련 체력 및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11(1), 493-501, 2002
  15. 정혜원, 김승철: 폐경기 여성의 요추 골밀도와 혈청 지질농도의 관계: 이화의대지. 18(2), 117-123, 1995
  16. Bess D. H.: The role of Calcium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steoporosis. NH Consenensus Development Conference on Osteoporosis Prevention, Diagnosis and Therapy. 2000
  17. 승정자, 최선혜, 김미현 등: 농촌지역 폐경 여성의 골 밀도에 따른 영양섭취상태와 모성요인 생활주기에 관한 연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6(2), 192-204, 2001
  18. Holbrook TL, Barrett-Connor E.: A Prospective study of alcohol consumption and bone mineral density, BMJ, 306, 1506-1509, 1993 https://doi.org/10.1136/bmj.306.6891.1506
  19. University of Sheffield Medical School: WHO Scientific Group Technical Report: Assessment of Osteoporosis at the Primary Health Care Level,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