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search on Relationships between Internet Use and the Elderly's Life Quality

인터넷활용과 노인의 삶의 질과의 관계

  • Received : 2012.01.20
  • Accepted : 2012.03.05
  • Published : 2012.04.28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the elderly's internet use affects changes in life, loneliness, self-esteem factors, and life quality.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elderly's loneliness has a series of relationships with internet use. In other words, the basic model of the initial research suggests as in previous research a hypothesis that internet use relieves the elderly's loneliness; however, according to the final analysis result, the elderly's loneliness is rather a motive that makes them use internet. Also, it was analyzed that as the old's self-esteem gets higher, they show higher satisfaction with their life quality, and internet use affects the improvement of their self-esteem great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estimating the final model, it was found that the factors of life changes resulted from internet use and influence on the improvement of their self-esteem were far stronger than other variables. Therefore, to improve the old's life quality, it is needed to increase the old's self-esteem, and for improving self-esteem, it will bring a great effect to use the media of internet.

본 연구는 노인의 인터넷활용이 생활변화, 고독감, 자존감 요인과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 노인들의 고독감이 인터넷 활용과 일련의 관계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연구 초기 기초모형에서는 기존 연구와 마찬가지로 인터넷의 활용이 노인들의 고독감을 완화시킬 것이라는 가설을 제시하였지만, 최종분석의 결과 오히려 노인들의 고독감이 노인들로 하여금 인터넷을 활용하게 하는 동기로 작용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노인들은 자존감이 높을수록 삶의 질에 높은 만족도를 보여주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인터넷의 활용이 자존감 향상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최종모형의 추정결과 인터넷 활용에 기인한 생활변화 요인이 자존감 향상에 미치는 영향강도가 여타 변인들보다 매우 강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노인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노인의 자존감을 높여야 하며, 이러한 자존감 향상을 위해 인터넷 매체를 활용케 하는 것이 큰 효과를 가져 올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인터넷진흥원, 2008년 상반기 정보화실태조사, 2009.
  2. 한국정보화진흥원, 국가정보화백서, 2010.
  3. 정순둘, 박지영, "정보화 교육이 노인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집, pp.433-435, 2008.
  4. A. Kuttan and L. Peters, From Digital Divide to Digital Opportunity. Lanham. MD: Scarecrow Press, 2003.
  5. 서혜경, 김은주, "노인들의 컴퓨터에 대한 태도 및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제24권, 제2호, pp.21-39, 2004.
  6. 김미량, 김태웅, 김재현, "실버세대의 인터넷 활용 영향요인 연구", 한국인터넷정보학회, 제10권, 제1호, pp.145-158, 2009.
  7. M. S. Furlong, "An electronic community for older adults; The Senior Net," Journal of Communication, Vol.39, No.3, pp.145-153, 1989. https://doi.org/10.1111/j.1460-2466.1989.tb01048.x
  8. 이복자, 김용우, "노인의 인터넷활용 효과성에 관한 경험적 연구", 한국정책과학학회보, 제14권, 제3호, pp.79-105, 2010.
  9. R. L. Gallienne, Moore, and P. E. Brennan, "Alzheimer caregivers: Psychosocial support via computer networks," Journal of Gerontology Nursing, Dec, 1993.
  10. M. Thompson, "Computer technology : How it impacts the lives of older adults," Ageing International, Vol.23, No.1, pp.85-91, 1996. https://doi.org/10.1007/BF02680780
  11. H. White, "A randomized controlled trail of th psychosocial impact of providing internet training and access to older adults," Journal of Aging & Mental Health, Vol.6, No.3, pp.213-221, 2002. https://doi.org/10.1080/13607860220142422
  12. C. Lrizarry, A. Dowining, and D. West, "Promoting modern technology and internet access for under-represented older population," Journal of Technology in Human Services, Vol.19, No.4, pp.13-30, 2002. https://doi.org/10.1300/J017v19v04_02
  13. 손연기, "노인복지에 있어서 정보화의 역할", 노인복지연구, 제8권, pp.7-29, 2000.
  14. 김재휘, 김지호, 신상화, "노인들의 인터넷 이용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제14권, pp.67-91, 2002.
  15. 홍명신, "노인의 인터넷 이용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제23권, 제2호, pp.187-203, 2003.
  16. 김은향, 노인의 인터넷 활용 만족도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17. H. White, E. McConnell, E. Clipp, and L. Bynum, "Surfing the net in later life: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pilot study of computer use and quality of life," Journal of Applied Gerontology, Vol.8, No.3, pp.358-378, 1999.
  18. L. G. Haddon, "Social Exclusion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Lessons from studies of songle parents and the young elderly," New Media and Society, Vol.4, pp.387-406, 2000.
  19. B. L. Chang, "Internet Intervention for Community Elders: Process and Feasibility," Wester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Vol.26, No.4, pp.461-466, 2004. https://doi.org/10.1177/0193945904263428
  20. C. A. Smith, "Family life pathfinders on the new electronic frontier Education," Summer, Vol.116, No.4, 1999.
  21. T. Chen, "Internet use among young and older adults: relation to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Educational Gerontology, Vol.28, pp.731-744, 2002. https://doi.org/10.1080/03601270290099921
  22. K. White, "The communication of social support within an online community for older adults: A qualitative analysis of the Senior Net community," Qulitative Research Reports in Communication, Vol.1, No.2, pp.33-43, 2000.
  23. 김수영, "노인을 위한 인터넷 정보 활용 활성화 방안", 노인복지연구, 제8권, pp.61-94, 2000.
  24. 김혜경, "노인정보화교육의 실태에 관한 탐색적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20권, pp.69-94, 2003.
  25. 구자순, 노인과 인터넷 문화, 한국노인복지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집, 2002.
  26. 한국전산원, 취약계층의 콘텐츠 이용실태 및 지원방안 연구, 2002.
  27. 박충선, 이춘옥, "노년의 정보화태도와 경험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8권, 제2호, pp.25-44, 2003.
  28. 신용주, "정보화 교육을 통한 노인 임파워먼트의 모색", 평생교육학연구, 제11권, 제4호, pp.33-53, 2005.
  29. 안태욱, 노인의 인터넷 활용과 기대가치 충족에 관한 연구, 광운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30. 양영순, 인터넷 활용 만족도가 노인의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31. 이금룡, "정보화교육을 통한 인터넷 활용이 노년기 적응과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37권, pp.7-30, 2007.
  32. 신용주, 구민정, "노인 정보화교육과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탐색적 연구",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제13권, 제4호, pp.119-147, 2010.

Cited by

  1. Effects of the Social Activity and Leisure Activity of the Rural Elderly on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vol.14, pp.4,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4.189
  2. An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Older Adults' Online Information Activities and their Life Satisfaction vol.48, pp.2, 2014, https://doi.org/10.4275/KSLIS.2014.48.2.159
  3. Discussions on Mechanisms, Features and Implications of the Digital Divide in Old Age vol.15, pp.4,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4.246
  4. Happiness and social determinants across age cohorts in Taiwan vol.21, pp.9, 2016, https://doi.org/10.1177/1359105314567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