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actors Influencing Mental Health among Late School age Children

학령기 후기 아동의 정신건강과 영향요인

  • Lee, Hyun-Ju (Gyeryong High School,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Kim, Hee-Kyung (Dept. of Nursing, Kongju National University, Center for Health Industry Research)
  • 이현주 (계룡고등학교, 공주대학교 간호학과) ;
  • 김희경 (공주대학교 간호보건대학 간호학과, 건강산업연구센터)
  • Received : 2012.03.03
  • Accepted : 2012.04.13
  • Published : 2012.04.30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mental health among late elementary age children. Methods: The research design was a secondary data analysis. Data were collected from 746 students in grades 5 or 6,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ith the SPSS/PC 18.0 program. Results: The average score of mental health was $3.42{\pm}0.5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ntal health according to health status, economic status, scholastic performance, relationships with friends, relationships with the teachers, atmosphere of the home, number of siblings and the source of troubl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influencing factors of stress, negative reaction under stress, self-esteem, teacher support, and friend support support and explained 41.4% of total variance in late elementary age children's mental health. Conclusion: These results may contribute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mental health in late elementary age childre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ndicate a need to develop nursing interventions to prevent and manage elementary school-age children's negative reaction under stress.

Keywords

References

  1. 강경아, 김신정, 송미경, 심송용, 김성희(2007). 학령기 후기 아동의 삶의 의미 측정도구 개발. 아동간호학회지, 13(3), 308-317.
  2. 강문희, 김소연(2005). 사회극이 초등학교 결손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 자기표현능력 및 자기표현 행동에 미치는 효과. 아동학회지, 26(4), 1-18.
  3. 강문희, 장연집, 정정옥(2006). 아동정신건강. 서울: 정민사.
  4. 김광일, 김재환, 원호택(1984). 간이정신진단검사.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5. 문경숙(2008).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정신건강: 자기통제 및 감정조절의 역할. 아동학회지, 29(5), 285-299.
  6. 문소현, 조헌하(2010). 성별에 따른 학령기 후기 아동의 자기 유능감, 사회불안, 우울. 아동간호학회지, 16(3), 230-238.
  7. 민하영, 유안진(1998). 일상적 생활 스트레스에 대한 아동의 대처 도구 개발. 대한가정학회지, 36(7), 83-96.
  8. 부정민(2007). 청소년 온라인게임 몰입 및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변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서울.
  9. 석소현, 신성희(2010). 양부모 가정과 한부모 가정 학령기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비교. 한국간호과학회지, 40(3), 367-377.
  10. 이은영, 탁영란(2001). 청소년의 성차에 따른 자아존중감, 신체적 및 정신적 건강. 아동간호학회지, 7(4), 474-482.
  11. 이은옥, 구미옥, 권인각, 김금순, 김인자, 김종임, 김희주, 박송 자, 박정윤, 박현애, 서순림, 서은영, 송경자, 송미순, 양영 희, 엄동춘, 엄애용, 유경희, 은영, 이경숙, 이동숙, 이숙희, 이은남, 이인숙, 이인옥, 이혜영, 임난영, 임은옥, 정면숙, 조용애, 최경숙, 최은옥, 최정명, 홍정희(2007). 연구논문분석과 실무적용. 서울: 군자출판사.
  12. 이현주(2011). 결손가정 아동의 정신건강 구조모형. 공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공주.
  13. 전병재(1974). 자아개념 측정가능성에 관한 연구. 연세논총, 11, 107-129.
  14. 전영선(2003). 초등학생이 경험한 스트레스와 대처 및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 연구.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춘천.
  15. 전지영(2010). 아동의 생태체계적 환경요인과 비행의 관계에서 정신건강의 구조적 매개효과 검증. 동광, 106, 217-252.
  16. 정동화(2003). 아동의 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의 관계. 교육문제연구, 19, 157-183.
  17. 정문자, 박진아(2001). 학령기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와 행동문제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2(3), 107-122.
  18. 조은숙, 서지민(2010). 아동의 정신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신간호학회지, 19(1), 57-66.
  19. 허남숙(2006). 초등학생의 인터넷 중독과 부모․교사 태도 및 정신건강의 관계.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20. 한상철, 조아미, 박성희(2004). 청소년 심리학. 서울: 양서원.
  21. 현명선, 남경아(2009). 초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5(2), 293-301.
  22. Andrews, T., & Wilding, J. M. (2004). Student mental health, life-stress and achievement.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95, 509-521. https://doi.org/10.1348/0007126042369802
  23. Derogatis, L. R. (1977). SCL-90(Revised) Manual I. Beltmore: Johns Hopkin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Clinical Psychometrics Research Unit.
  24. Moksnes, U. K., Moljord, I. E. O., Espnes, G. A., & Byrne, D. G. (2010). The association between stress and emotional states in adolescents: The role of gender and self-esteem. Personal Indiv Diff, 49(5), 430-435. https://doi.org/10.1016/j.paid.2010.04.012
  25. Muraven, M., Gagne', M & Rosman, H. (2008). Helpful self-control: Autonomy support, vitality, and depletion.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44, 573-585. https://doi.org/10.1016/j.jesp.2007.10.008
  26. Nolten, P. W. (1994).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of social support: The development of the student social support scale.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27. Rosenberg, M. (1965). Self-esteem Scale. New York: Academic Press.
  28. Straus, M. (1979). Measuring intrafamily conflict and violence: The Conflict Tactics Scale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1, 75-88. https://doi.org/10.2307/351733
  29.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4). Promoting mental health:concepts, emerging evidence, practice. Retrieved Dec 27, 2011, from http://www.who.int/mental_health/evidence/en/promoting_ mhh.pdf

Cited by

  1. 부부갈등이 아동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부부공동양육의 매개효과 vol.53, pp.5, 2012, https://doi.org/10.6115/fer.2015.045
  2. Correlations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Adolescents' Depression, Coping Responses, and Self-Concept vol.17, pp.4, 2012, https://doi.org/10.14400/jdc.2019.17.4.1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