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Formation and Influencing Factors of Ocean Governance in Busan, the Ocean Capital of Korea: A New Guide to Conflict Resolution Among Busan Marine Stakeholders

해양수도 부산의 해양거버넌스 형성수준 및 원인분석: 이해관계자의 '접촉과 갈등해결'을 중심으로

  • 우양호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
  • 강윤호 (한국해양대학교 해양행정학과)
  • Received : 2011.11.09
  • Accepted : 2012.03.19
  • Published : 2012.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at the formation and influencing factors of ocean governance in Busan. Recently it has been observed that the concept of ocean governance increasingly popular in the field of maritime administration, as the concept helps us understand more comprehensively the new or emerging roles of the government and other stakeholders(private enterprise, citizen, etc) in a rapidly changing environment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ocean governance and draw alternatives in applying appropriate ocean governance structure of maritime administration in Busan.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ocean governance level in Busan was not high in some factors such as participation, cooperation, collective decision making. This is caused by the lack of a ocean governance structure. Based on these significant research finding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이 연구의 주제는 우리나라의 선도 해항도시(sea port city)이자, 국가 해양수도(ocean capital)의 비전을 지향하는 부산시를 대상으로 하여, 해양행정과 해양정책의 발전방향을 창조적인 해양거버넌스 구축의 관점에서 다루어 보는 것이다. 원래부터 해양이 가진 공유자원적 성격은 불특정 다수 이용자간의 '접촉과 갈등'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관련자들의 다양한 이해관계를 조정하는 새로운 '거버넌스(governance)방식'이 필요하다. 해양거버넌스는 비정부 행위자의 참여메커니즘을 전제하고, 상호 신뢰와 협력체제를 축으로 이해관계상의 연계망과 공동생산의 방법을 중요시하는 개념 혹은 기제이다. 정부, 기업, 시민,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조사연구의 결과, 현재 부산에서 나타난 해양거버넌스 형성정도는 보통 이하의 비교적 낮은 수준이었다. 향후 해양거버넌스 형성을 위한 원인으로는 정부차원에서 해양행정(정책)의 최고관리자인 시장의 관심과 중간관리자인 부서장의 태도, 기업차원에서는 경영진의 관심과 태도, 시민차원에서는 해양NGO의 전문성과 신뢰성이 각각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결론에서는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바람직한 해양거버넌스를 구축할 당위성과 여러 실천적인 대안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윤호(2003), "해양행정 조직 개편의 과정과 결과: 해양수산부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37권 2호, pp. 399-420.
  2. 강윤호(2006), "항만공사(PA)제도 도입에 따른 항만 거버 넌스 구조의 효율화 방안", 한국행정학보, 40권 1호, pp.151-174.
  3. 강윤호.김상구.박상희.우양호(2007), "부산항 거버넌스 제도의 개편방안", 지방정부연구, 11 권 호, pp. 109-132.
  4. 김석준(2000), 뉴거버넌스 연구, 서울: 대영문화사.
  5. 김승철(2007), "항만 거버넌스 구축과 운용방안에 관한 연구", 국제상학, 22권 4호, pp. 107-128.
  6. 김안호․기성래(2005), "항만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한국항만경제학회지, 21권 4호, pp. 141-160.
  7. 김열규(1998), "한국인의 해양의식", 해양문화연구, 3호, pp. 1-45.
  8. 김형양(2005), 로컬거버넌스 형성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9. 라미경(2009), "거버넌스 연구의 현재적 쟁점", 한국거버넌스학회보, 16권 3호, pp. 91-107.
  10. 우양호(2010), "지방정부 해양행정의 문제점과 발전방향: 해양거버넌스 구축을 중심으로", 한국거버넌스학회보, 17 권 2호, pp. 1-22.
  11. 유재원․소순창(2005), "정부인가 거버넌스인가? 계층제인가 네트워크인가?", 한국행정학보, 39권 1호, pp. 41-63.
  12. 이명석(2006), "제도, 공유재, 그리고 거버넌스", 서울대학교 행정논총, 44권 2호, pp. 247-275.
  13. 최성두(2001), "부산 항만자치공사 설립의 표류원인 분석평가", 한국행정학보, 35권 4호, pp. 317-334.
  14. 최성두(2007), "해양수도 부산의 항만경쟁력 강화를 위한 해양행정체계 모색", 지방정부연구, 10권 4호, pp. 221-236.
  15. 국토해양부(2010), 국토해양용어사전 및 국토해양백서.
  16. 부산광역시(2010), 2009 시정백서(항만/수산분야 편).
  17. Allison, E. H.(2001), Big Laws, Small Catches: Global Ocean Governance and the Fisheries Crisis, Journal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Vol. 13, No. 7, pp. 933-950. https://doi.org/10.1002/jid.834
  18. Cho, D. O.(2006), Evaluation of the Ocean Governance System in Korea, Vol. 30, No. 5, pp. 570-579. https://doi.org/10.1016/j.marpol.2005.09.003
  19. Hackett, S. C.(1992), Heterogeneity and The Provision of Governance for Common-Pool Resources, Journal of Theoretical Politics Vol. 4, No. 3, pp. 325-342. https://doi.org/10.1177/0951692892004003005
  20. Hinds, L.(2003), Oceans Governance and the Implementation Gap, Marine Policy, Vol. 27, No. 4, pp. 349-356. https://doi.org/10.1016/S0308-597X(03)00039-3
  21. McCay, B. J.(2002), Emergence of Institutions for the Commons: Contexts, Situations and Events, National Research Council, The Drama of the Commons, National Academic Press, Washington, D. C, pp. 361-402.
  22. Miles, E. L.(1999), The Concept of Ocean Governance: Evolution Toward the 21st Century and the Principle of Sustainable Ocean Use, Coastal Management, Vol. 27, No. 1, pp. 1-30. https://doi.org/10.1080/089207599263875
  23. Ostrom, E.(1990), Governing the Commons: The Evolution of Institutions for Collective Action,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1-302.
  24. Ostrom, E., Gardner, R. and Walker, J.(1994), Rules, Games, and Common-pool Resources, Ann Arbor: Th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pp. 225-246.
  25. Ostrom, E., Burger, J., Field, C. B., Norgaard, R. B. and Policansky, D.(1999), Revisiting the Commons: Local Lessons, Global Challenges, Science, Vol. 284(No. 5412), pp. 278-282. https://doi.org/10.1126/science.284.5412.278
  26. Roe, M.(2009), Maritime Governance and Policy-Making Failure in the European Un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hipping and Transport Logistics, Vol. 1, No. 1, pp. 1-19. https://doi.org/10.1504/IJSTL.2009.021973
  27. Sutherland, M. and Nichols, S.(2004), The Evolving Role of Hydrography in Ocean Governance and the Concept of the Marine Cadastre, In The Hydrographic Journal, Vol. 111, pp. 13-15.
  28. Tanaka, Y.(2008), A Dual Approach to Ocean Governance: The Cases of Zonal and Integrated Management in International Law of the Sea, Ashgate Pub Co., pp. 126-192.
  29. Tang, S. Y.(1992), Institutions and Collective Action: Self-Governance in Irrigation, San Francisco, Ca.: ICS Press, Chap, 2: An Institutional Analysis of Irrigation Systems and Institutions, pp. 130-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