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Inquiry Tendency in the 'Information Representation and Management' Sections in Middle School Informatics Textbooks

중학교 '정보' 교과서 '정보의 표현과 관리' 영역 구성의 탐구적 경향 분석

  • 김자미 (고려대학교 연구정보분석센터) ;
  • 심재권 (고려대학교 컴퓨터교육학과) ;
  • 김지민 (고려대학교 컴퓨터교육학과) ;
  • 이원규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컴퓨터교육과) ;
  • 박두순 (순천향대학교 컴퓨터소프트웨어공학과)
  • Received : 2011.07.05
  • Accepted : 2012.01.05
  • Published : 2012.02.29

Abstract

Abstract In informatics subject, a good understanding of information representation and the structure of materials is the first step to acquire the basic principles of computer science. But few studies have ever focused on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e structure of materials in informatics subject or how to organize materials in a manner to stimulate students to introsp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 'information representation and management' sections of informatics textbooks of the revised 2007 curriculum that have been in use since 2010 had an inquiry tendency or no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extbooks by utilizing Romey method, one textbook was found to have an inquiry tendency in terms of texts, figures/diagrams, activities and questions at the end of chapters. If textbooks are just organized to convey knowledge, it might result in making students less interactive in class. Specifically, informatics is a subject to teach basic problem-solving skills by using IT, and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students who get less interactive in class are likely to have less chances to learn about how to solve the given problems in diverse ways.

정보교과에서 정보의 표현과 자료구조에 대한 이해는 컴퓨터과학의 기본원리에 대한 기초단계교육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자료구조가 정보교과에서 갖고 있는 교육적 함의나 학생들에게 성찰을 제공하기 위해 어떤 형태로 구성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2007 개정 교육과정을 기초로 제작되어, 2010년부터 사용되고 있는 정보교과서 '정보의 표현과 관리'영역의 탐구적 경향을 분석하였다. Romey 분석법으로 분석한 결과, 본문 분석, 학습자료 분석, 학습활동 분석, 장이나 절에 대한 분석에서 탐구적 경향을 보인 교과서는 1개로 나타났다. 교과서가 지식을 전달하는 데 집중하면, 학생들을 학습에서 소외시킬 수 있다. 특히 정보교과의 경우, IT를 활용한 문제해결에 기저가 되는 교과이므로 학습에서 소외된 학생들은 다양한 문제해결의 과정에서 박탈될 수 있음을 고려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Tyler, R. W., Basic principles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49.
  2. Schubert, W. H., Curriculum: Perspectives, paradigm, and possibility. New York: Macmillan, 1986.
  3. Zais, R. S., Curriculum: principles and foundations. New York : Harper & Row, 1976.
  4. 교육과학기술부,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6-75호 및 2007-79 호에 따른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V) 외국어(영어), 재량활동, 한문, 정보, 환경, 생활 외국어, 교육과학기술부, 2008.
  5. Eisner, E. W., The new meaning of educational change (3rd ed.). New York : Teachers College Press, 2001.
  6. 이용숙, 김영미, 전영미, 교과서 내용구성 및 체제 개선의 방향성 연구, 2002년도 교과부 교육과정 후속지원 연구과제 답신보고, 덕성여자대학교 열린교육연구소, 2002.
  7. Colburn T, Shute G, "Abstraction in Computer Science", Mind and Machines, Vol.17, No.2, pp.169-184, 2007. https://doi.org/10.1007/s11023-007-9061-7
  8. Satyaki D.& David L. D., Successive approximation of abstract transition relations, 2001 IEEE.
  9. Victoria S. & Orit H., "Reducing abstraction in high school computer science education : The case of definition, implementation, and use of abstract data types", ACM Journal on Educational Resources in Computing, Vol.8, No.2, Article 5, pp.1-13, 2008.
  10. 김경훈, 이은경, 이영준. "2007년 개정 중학교 정보 과목 '정보의 표현과 관리' 영역 성취 및 평가기준 개발",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Vol.11, No.6, pp.53-64, 2008.
  11. 박윤성, 한병래, "초등학교 컴퓨터교육에서 언플러그드 학습 방법을 활용한 정보표현 영역 교수.학습에 관한 연구", 정보교육학회 논문지, Vol.13, No.4, pp.479-487, 2009.
  12. 정인기, "초등학교 정보통신기술 교과서의 '정보처리의 이해' 영역의 내용 분석 연구",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13, No.2, pp.35-43, 2010.
  13. 김자미, 노현아, 이원규, "현대교육과정의 관점에서 본 '정보'교 과서 '정보기기'영역의 탐구적 경향 분석",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14, No.3, pp.1-12, 2011.
  14. 김자미, 윤일규, 김용천, 최지영, 이원규, "2009년 검정교과서로 채택된 '정보' 교과서 '문제 해결 방법과 절차' 영역 구성의 탐구적 경향 분석", 정보교육학회 논문지, Vol.15, No.2, pp.253-264, 2011.
  15. 김자미, 장윤재, 이원규, "중학교 '정보'교과 '정보사회와 정보기술' 영역의 탐구적 경향 분석", 산학기술학회 논문지, Vol.12, No.7, pp.3022-3029, 2011.
  16. 채선희, "교육평가의 새로운 이론체계 확립을 위한 시도 : 교육 평가의 구성요소와 구조적 관계", 교육학연구, Vol.37, No.2, 209-226, 1999.
  17. Chen, H., Theory-driven evaluations. Newbury Park, CA: Sage, 1990.
  18. 교육과학기술부, 2009 개정 교육과정,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09-41호, 2009.
  19. Beyer, L. E., & Apple, M. W., Social evaluation of curriculum. In L. E. Beyer &M. W. Apple (Eds.), The curriculum : problems, politics, and possibilities, Albany NY: SUNY Press, 1988.
  20. Marsh, C. J., & Willis, G., curriculum : Alternative approaches, ongoing issues(2nd ed.). Upper Saddle River, NJ : Merrill, Prentice Hall, 1999.
  21. 배호순, 교육과정 평가 논리의 탐구 : 학교교육과정 평가 방법론 서설, 서울: 교육과학사, 2000.
  22. McTighe, J. & Wiggins, G.m Understanding by design (2nd ed.). Alexandria, VA: ASCD, 2005.
  23. Denning, P., Computer Science the Discipline, Encyclopedia of computer science, ed. E. Reilly, A. Ralston and D. Hemmendinger. Groves Dictionaries, Inc, 2000.
  24. Al A. & Jeff U., Foundations of Computer Science, Freeman, 1994.
  25. 송주석, 서성훈, 자바 자료구조론, 서울: 사이텍미디어, 2006.
  26. 곽성근, 자료구조, 서울: 연학사, 2001.
  27. 김자미, 이원규. "교과교육의 측면에서 본 정보교과의 정체성에 대한 고찰", 정보교육학회 논문지, Vol.14, No.2, pp.219-228, 2010.
  28. Nell Dale, John Lewis, Computer science illuminated. MA: Jones and Bartlett publishers, Inc, 2009.
  29. Carrano, F. M, Paul Helman, Robert Veroff, Data abstraction & problem solving with C++, 2nd Ed, Boston: Addison-Wesley, 2007.
  30. Kramer J, "Is Abstraction The Key to Computing?", Communication of the ACM, Vol.50, No.4, pp.37-42, 2007.
  31. Romey W. D. (김승행, 임영득 편역). 탐구적 과학지도 기술. 현대과학신서 110. 서울: 전파과학사, 1982.
  32. Huetteman, J. D., Instrument for textbook assessment, Baltimore: Div. of library development and service. pp.1-12, 1989.
  33. Kahveci, A. "Quantitative analysis of science and chemistry textbooks for indicators or reform",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Vol.32, No.11, pp.1495-1519, 2010. https://doi.org/10.1080/09500690903127649
  34. Schmidt, M. Textbook selection criteria handbook II. WA: Washington office of the state superintendent of Public Instruction, Olympia. Div. of instructional and professional service, 1981.
  35. Ornstein, A. C., "The textbook-driven curriculum", Peabody journal of education, Taylor & Francis, Ltd. Vol.69, No.3. pp.70-85, 1994. https://doi.org/10.1080/01619569409538778
  36. Eisner, E. W., Cognition and curriculum reconsidered. New York : Teachers College Press, 1994.
  37. Schafer, W. D., "Assessment literacy for teachers", Theory into practice, Vol.32, pp.118-126, 1993. https://doi.org/10.1080/00405849309543585
  38. Sowell, E. J., Curriculum-An integrative introduction. Prentice Hall, Inc,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