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Influence of Geographical Surroundings of Traditional Village on the Bibo Landscape

전통마을의 형국이 비보경관(裨補景觀)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2.04.24
  • Published : 2012.07.25

Abstract

The Korean traditional villages located less prepared in circumstances than perfect in ideal circumstances, and the man-made Bibo landscape replaced the role of natural landscape. The Bibo landscape utilized mainly forest, built-mountain, pond, mast and the name of a place etc, these Bibo landscape of traditional villages followed the condition of natural topography. These conditions reflected various characteristic, and decided the outline of Bibo landscape.

Keywords

References

  1. 장병관, 황보철, 옻골마을 비보경관의 환경생태적 의미, 한국조경학회 제36권 제2호 32-41, 2008
  2. 유종덕, 윤영활, 최장순, 강원 영서지역 농촌마을의 입지와 비보경관과의 관계, 한국농촌건축학회 제11권 제1호 통권32호 9-16, 2009
  3. 최원석, 한국의 비보풍수론, 대한지리학회 제37권 제2호 161-176, 2002
  4. 권선정, 고려시대 비보풍수와 권력, 대한지리학회, 2003
  5. 박재철, 마을숲의 바람과 온습도 조절 기능에 대한 실증적 연구, 국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박사학위 논문, 2002
  6. 유종덕, 전통비보경관의 양상과 특성에 관한 연구-강원도를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조경학과 박사학위 논문, 2010
  7. 남연화, 마을숲의 유형과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조경학과 석사학위 논문, 1998
  8. 강구찬, 마을숲의 유형구분과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진주산업대학교 조경학과 석사학위 논문, 2008
  9. 황보철, 한국적 생태마을 계획을 위한 경관지표의 활용, 전북대학교 조경학과 박사학위 논문,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