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election of Indicator and Establishment of System for a Functional Assessment of Green Space - Focused on Forest Green Space -

녹지의 기능적 평가를 위한 지표 선정 및 평가체계 구축 - 산림형 녹지를 중심으로 -

  • Lee, Woo-Su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Daegu University)
  • Received : 2012.05.24
  • Accepted : 2012.09.13
  • Published : 2012.10.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lect indicators by a methodical approach and to establish a functional assessment system as a basic study for planning and constructing green space of forest. The types of green space were divided into 6 classes based on theoretical reviews of literature and the functions of green space were restricted to 'nature-ecological function', 'environment-control function' and 'usage function'. As a result of the selection of indicators, 35 indicators were initially selected by theoretical review and these indicators were reduced to 29 through brainstorming. Also, these indicators were classified into three functions such as 12 indicators (nature-ecological function), 8 indicators (environment-control function), 6 indicators (usage function) by analysis of suitability. According to the result of selection of the optimum indicators using MCB (Multiple Comparisons with the Best treatment) analysis, the optimum indicators of 7, 5, and 4 respectively by each function were selected for forest green space. The results of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assessment system in forest, the weight of nature-ecological function was evaluated highest at 0.558, while the weight of environment-control and usage function were calculated at each 0.277, 0.165. 'Naturality (0.189)', 'Carbon sink (0.235)', and 'Accessibility (0.354)' among indicators showed highest by each function. The weight of indicator and assessment system may be used as a valuable guideline in case of assessing synthetically green space within urban planning.

Keywords

References

  1. 강미희․김성일. 2010. 산림경관 등급화를 위한 평가지표 개발. 한국임학회지 99(6) : 777-784.
  2. 고은주. 2005. 생태적 기능을 고려한 도시녹지 종합평가방법 : 울산광역시를 사례로.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권순덕․박영규․김은희. 2008. GIS를 이용한 산림기능구분에 관한 연구 : 춘양 국유림 산림경영계획구를 대상으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1(4) : 10-21.
  4. 권영아. 2002. 서울의 도심녹지가 주변기온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동준. 2002. 도시녹지환경이 주택가치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 아파트 가격을 중심으로. 산림경제연구 10(1) : 8-19.
  6. 김봉원․이원아․박순남. 2008. 공원녹지기본계획의 현황 및 과제. 한국녹지환경디자인학회 2008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57-64쪽.
  7. 김형호․정세경․정주상 2006. 산림기능평가를 위한 GIS 응용모델의 개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9(4) : 1-11.
  8. 노화준. 2003. 정책분석론. 서울 : 박영사.
  9. 박경훈. 1998. 환경보전을 위한 종합적 녹지평가방법론 : 대구광역시를 사례지역으로.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박기남. 2007. 도시공원녹지 정책의 개선방안에관한 연구 : 도시공원녹지 면적의 적정성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평생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박창석․오규식․이영숙․김재호․이동우․김기돈. 2007. 도시생태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토지이용계획 연구. 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보고서.
  12. 변병설․이병준. 2002. 쾌적한 도시환경을 위한녹지확보방안.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정책과제 연구보고서.
  13. 사공정희. 2004. 대도시의 경관생태적 녹지연계망 구축 방안.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서주환․양희승. 2004. AHP 기법을 활용한 경관평가법 작성에 관한 연구-경관통제점에서의 평가. 한국조경학회지 32(4) : 94-104.
  15. 성현찬․신지영. 2005. 도시공원의 접근성 향상방안 연구 : 경기도 권역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3(2) : 83-91.
  16. 손상락․윤병구. 2002. 도시민의 공원녹지의식에 의거한 공원녹지정책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7(4) : 59-81.
  17. 송봉근․박경훈. 2010. 기후생태적 기능을 고려한 찬공기 생성지역 분석 : 창원시를 대상으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3(1) : 114-127.
  18. 송인주․목정훈. 2004. 지구단위계획에서 환경성 제고를 위한 녹지평가지표 개발과 계획기법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연구보고서.
  19. 송태갑. 2006. 도시녹지환경의 분석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식물.인간.환경학회지 9(4) : 148-154.
  20. 심준영․이종성․이시영. 2006. 도시자연공원과 근린공원에 대한 중요도 요소 평가의 비교. 한국환경과학회지 15(12) : 1163-1170.
  21. 안태원. 2010. 저탄소 그린시티 구현을 위한 녹지계획지표 수립 연구 : 춘천시를 대상으로. 강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엄상근. 2008. 이용성을 반영한 도시녹지 평가 연구 : 수도권 신도시를 대상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3. 윤민호. 2009. 원격탐사를 활용한 녹지가 도시기온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서울시를 대상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윤은주. 2006. 서울시 도시녹지 평가를 위한 경관지수의 민감성 및 변별력 분석.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이관규. 2003. 아파트단지의 녹지 지속가능성 지표 개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6. 이석훈․윤덕균. 2004 삼각퍼지수와 어의차이 척도를 이용한 서비스 품질 측정. 품질경영학회지 32(3) : 182-197.
  27. 이인성. 1998. 수치변환척도 및 단순화 방식 적용에 따른 계층분석과정(AHP)의 일관도 및 정확도의 분석. 국토계획 33(3) : 347-362.
  28. 정문순. 2006. 북한산도시자연공원의 적정 도시공원유형 배분 및 관리 방안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정성관․이우성. 2008. 환경도시 건설을 위한 도시녹지의 관리권역 설정 : 창원시를 대상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5(6) : 64-73.
  30. 정응호․김대욱․류지원․차재규․손경수. 2008. 위성자료를 활용한 대구지역 바람길생성의 공간적 특성평가.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1(2) : 73-84.
  31. 조용현․정용문․김광동. 2006. 녹지량 지표로서녹시율 개념을 도입한 서울시 가로 환경 특성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34(1) : 1-9.
  32. 조용현․조현길. 2002. 서울시 도시녹지의 대기정화효과.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5(4) : 51-60.
  33. 조현주. 2007. 경관생태계획 모형 및 적용기준 설정.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한수진․이우균․곽두안. 2006. GIS를 이용한 산림휴양기능평가. 한국지리정보학회지 9(1) : 13-19.
  35. 황경수․최영국․엄상근․조창제. 2007. 도시녹지의 분포특성에 기초한 녹지총량산정에 관한 연구 : 수도권지역을 사례로. 국토연구원 연구보고서.
  36. Barbosa O., J.A. Tratalos, P.R. Armsworth, R.G.Davies, R.A. Fuller, P. Johnson, and K.J.Gaston. 2007. Who benefits from access to green space? : A case study from Sheffield, UK.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83 : 187-195. https://doi.org/10.1016/j.landurbplan.2007.04.004
  37. Bazzaz, F.A. 1979. The physiological ecology of plant succession. Annual Review of Ecology and Systematics 10 : 351-371. https://doi.org/10.1146/annurev.es.10.110179.002031
  38. Bischoff, N.T., and R.H.G. Jongman. 1993. Development of Rural Areas in Europe : the Claim for Nature. Netherlands Scientific Council for Government Policy, Preliminary Report V79, The Hague.
  39. Bohard, E. 1992. Determining most suitable openspace selection. In : D.M. Freund (Ed.), Washington: URISA Annual Conference Proceedings. pp.222-228.
  40. Bonsignure, R. 2003. Urban Green Space : Effects on Water and Climate, Center for American Urban Landscape, Design Brief Number 3, University of Minnesota.
  41. De Clercq, E.M., R.R. De Wulf, and A. Van Herzele. 2007. Relating spatial pattern of forest cover to accessibility.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80 : 14-22. https://doi.org/10.1016/j.landurbplan.2006.04.007
  42. Führer, E. 2000. Forest functions, ecosystem stability and management.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132 : 29-38. https://doi.org/10.1016/S0378-1127(00)00377-7
  43. Gallo, K.P., A.L. McNAB, T.R. Karl, J.F. Brown, J.J. Hood, and J.D. Tarpley. 1993. The use of a vegetation index for assessment of the urban heat island effect.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14(11) : 2223-2230. https://doi.org/10.1080/01431169308954031
  44. Goodman, W.I., and E.C. Freund. 1968. Principles and Practices of Urban Planning. Washington D.C. : ICMA.
  45. Kong, F., H. Yin, and N. Nakagoshi. 2007. Using GIS and landscape metrics in the hedonic price modeling of the amenity value of urban green space : A case study in Jinan City, China.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79 : 240-252. https://doi.org/10.1016/j.landurbplan.2006.02.013
  46. Konijnendijk, C.C., K. Nilsson, T.B. Randrup, and J. Schipperijn. 2005. Urban Forests andTrees : A Reference Book. Berlin : Springer.
  47. Krebs, C.J. 1985. Ecology : The Experimental Analysis of Distribution and Abundance. New York : Harper and Row Publishers.
  48. Kuehl, R.O. 2000. Design of Experiments : statistical principles of research sesign and analysis. CA : Duxbury/Thomson Learning, Pacific Grove.
  49. Landsberg, H.E. 1981. The Urban Climate. New York : Academic Press.
  50. Manlun, Y. 2003. Suitability Analysis of Urban Green Space System Based on GIS. ITC : MSc Thesis.
  51. Millette, T.L., D.S. James, and K.H. James (1997) Evaluating forestland uses : A GIS based model. Journal of Forestry 95(9) : 27-32.
  52. Milne, R., and T.A. Brown. 1997. Carbon in the vegetation and soils of Great Britain.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49(4) : 413-433. https://doi.org/10.1006/jema.1995.0118
  53. Noss, R.F. 1993. Wildlife corridors. In : Smith, D.E., P.C. Hellmund (Eds.). Ecology of Greenways : Design and Function of Linear Conservation Areas. MN : University of Minnesotta Press, Minneapolis. pp.43-68.
  54. Oh, K., and S. Jeong. 2007. Assessing the spatial distribution of urban parks using GI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82: 25-32. https://doi.org/10.1016/j.landurbplan.2007.01.014
  55. Richard, D. 2001. FELSA-Tools ArcView Software Extension User Guide. North Country and Southern New Hampshire Resource Conversion and Development Area Councils. 18pp.
  56. Saaty, T.L. 1980.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New York : McGraw-Hill.
  57. Van Herzele, A., and T. Wiedemann. 2003. A monitoring tool for the provision of accessible and attractive urban green space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63 : 109-126. https://doi.org/10.1016/S0169-2046(02)00192-5

Cited by

  1. 계층적 분석법(AHP)을 이용한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핵심성과지표(KPI)의 상대적 중요도 분석 vol.18, pp.2, 2012, https://doi.org/10.5720/kjcn.2013.18.2.1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