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uggestions for Invention Gifted Education Based on the Awareness of Teachers and Professionals Related to the Invention Gifted Education

발명영재 교원 및 전문직 인식에 기반한 발명영재교육의 방향 탐색

  • Received : 2012.02.12
  • Accepted : 2012.03.22
  • Published : 2012.03.31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improvement plan for invention gifted education based on the awareness of teachers and professionals who related to the invention gifted education for the expansion and development of invention gifted education through improvement of relevant problems. To this end, invention gifted education system and its operational status were analyzed, and questionnaire survey on the awareness of the development plan and satisfaction level was conducted, targeting professionals related to the invention gifted education and teachers in charge of invention gifted education classes or gifted education center.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satisfaction on the invention gifted education was greater than normal (M=3.0) in general, but in the field of 'educational materials', 'teacher training programs' and 'human and material support system of support agencies', the level of satisfaction was relatively low, which requires expansion of the support. Second, it is necessary for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and Korea Invention Promotion Association to designate and establish specialized research institution to play a key role in enhancing development and efficiency of invention gifted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questionnaire survey, it turned out that expectation and necessity of the specialized research agency was highly recognized. In particular, demand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of gifted education method and materials' and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eacher training materials and implementation of teacher training' was high among the key areas of the specialized research institution. Third, teachers and professionals related to the invention gifted education responded that 'invention knowledge' in the areas of invention knowledge and thinking and 'entrepreneurship' in the area of invention attitude was somewhat low toward the question on the level of the 9 characteristics of gifted students with invention talents which current beneficiaries of invention gifted education have, which leads to conclusion that review on the model for the selection of gifted children with invention talents as well as research and development of invention gifted education program to enhance characteristics with low levels is required. If long-term development plans and initiatives are deduced based on this, an effective framework for the invention gifted education will be established in the near future.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e differentiated political visions and goals will be established in connection with master plan for the promotion of gifted educ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발명영재교육의 문제점 개선과 확대 발전하기 위하여 발명영재 교원 및 전문직 인식에 기반한 발명영재교육의 발전 방안을 제언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발명영재교육 체제와 운영 현황을 분석하고 발명영재학급 또는 영재교육원 소속의 발명영재 교원과 발명영재 관련 교육전문직을 대상으로 만족도와 발전방안 등에 대한 인식을 설문조사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명영재교육에 대한 만족도는 전체적으로 보통(M=3.0)이상으로 인식하였다. 그러나 '교육 자료', '교원대상 연수프로그램', '지원기관의 인 물적 지원체제' 분야에서는 다소 낮은 만족도를 나타내고 있어 이에 대한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 둘째, 특허청과 한국발명진흥회는 발명영재교육의 발전과 효율성을 위하여 긍정적인 방향으로 이끌어줄 수 있는 구심점 역할의 연구 전문기관을 지정 또는 설립할 필요가 있다. 설문조사 결과, 발명영재교육 전문 연구기관에 대한 필요성과 기대감에 대한 인식이 높았다. 특히 전문 연구기관의 중점 요구분야는 '영재교육 방법 및 자료의 연구 개발', '교원 연수 자료의 연구 개발 및 연수 실시'이다. 셋째, 발명영재 교원 및 전문직은 현재 발명영재교육을 수혜하는 학생들이 9개의 발명영재의 특성을 어느 정도 가지고 있느냐 하는 질문에 대하여 발명 지식과 사고 영역의 '발명 지식'과 발명 태도 영역의 '기업가 정신' 은 다소 낮다고 응답하였다. 이는 발명영재 선발 모형에 대한 검토뿐만 아니라 낮게 나타난 특성을 배양할 수 있는 발명영재교육프로그램의 연구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인적자원부 (2007). 제2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08-'12).
  2. 김미숙, 서혜애 (2005). 영재교육 강화 사업성과 지표 평가 연구. 수탁연구 CR 2005-59. 한국교육개발원.
  3. 김미숙, 송인섭, 이정규, 이승희, 이홍란 (2007). 영재교육 연계성 강화방안 연구: 영재교육 기관, 학교, 대학. 한국교육개발원.
  4. 김용익, 최유현, 전철만, 심재영, 이경원, 이한규, 이진우 (2007). 발명반지도교사 직무연수 교육프로그램 개발. 특허청.
  5. 김용익 (2009). 발명설계 프로세스 기반 발영영재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3(3), 171-197.
  6. 김종득 (2003). KAIST과학영재교육연구원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연구.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
  7. 박성익 (2002). 영재 교수-학습 방법 개발의 방향과 쟁점. 2002 과학영재교육국제학술대회, 부산광역시, 2002년 9월 26~27일, 발표 논문.
  8. 서혜애, 조석희, 김홍원, 정현철, 손연아 (2002). 공교육 차원의 발명영재교육 체제 구축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9. 서혜애, 김순남, 조석희, 정현철 (2004). 영재교육기관 평가 편람. 한국교육개발원.
  10. 서혜애, 정현철, 손정우, 이봉우, 김주후, 맹희주 (2006). 발명영재교육프로그램 개발. CR 2006-58, 한국교육개발원.
  11. 안우환 (2010). 특허청 발명교육 정책의 방향과 과제.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3(3), 263-278.
  12. 이찬, 서재흥, 금은정, 김미애, 이유민 (2009). 발명영재 교육운영방안 연구. 서울대학교, 한국발명진흥회.
  13. 이희현, 김미숙, 정경란 (2009). 영재교육기관 맞춤형 컨설팅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4. 조석회, 구자억, 김홍원, 서혜애, 정태희 (2002). 영재교육연구원 설치.운영 방안. 한국교육개발원.
  15. 최유현, 심재영, 이한규, 정호근. 이진우, 김경진, 이주호, 강경균, 김동하 (2007). 발명영재 양성체제 구축 및 발명영재고등학교 설립 타당성 검토. 특허청, 충남대학교.
  16. 최유현, 이경화, 반재천, 임윤진, 강경균, 김동하, 박기문, 손다미, 노진아 (2010). 발명영재 선발도구 개발 연구. 특허청, 한국발명진흥회, 충남대학교.
  17. 특허청, ORP (2009). 발명영재 선발도구 개발연구. 특허청.
  18. 특허청 (2010). 2010년도 지식재산 백서. 특허청.
  19. 한국교육개발원 (2006). 발명영재교육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육개발원.
  20. 한국발명진흥회 (2011a). 16개 시․도교육청 발명영재교육 현황. 미발행.
  21. 한국발명진흥회 (2011b). 2011년 발명교실 운영현황. 미발행.
  22. 허일부 (2007). 초등학교 수학영재와 과학영재의 특성 비교 분석.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