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Occurrence and Mineralogy of Serpentinite from Bibong Mine in Chungyang Area, Korea

충남 청양군 비봉광산 사문암체의 산상과 구성광물

  • Park, Gi-Nam (Department of Geological Sciences, College of Natural Sciences, Pusan National University) ;
  • Hwang, Jin-Yeon (Department of Geological Sciences, College of Natural Sciences, Pusan National University) ;
  • Oh, Ji-Ho (Department of Geological Sciences, College of Natural Sciences, Pusan National University) ;
  • Lee, Hyo-Min (Department of Geological Sciences, College of Natural Sciences, Pusan National University)
  • 박기남 (부산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질환경과학과) ;
  • 황진연 (부산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질환경과학과) ;
  • 오지호 (부산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질환경과학과) ;
  • 이효민 (부산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질환경과학과)
  • Received : 2012.02.21
  • Accepted : 2012.03.27
  • Published : 2012.03.31

Abstract

Six serpentine mines are found in South Korea. We investigated occurrence, characteristics and origin of constituent minerals of Bibong serpentine mine in Chungcheongnam-do. We also analyzed the properties of serpentine minerals using XRD, XRF, SEM/EDS, FT-IR, EPMA and polarized microscope. The serpentinite of Bibong mine occurs as intruded body within the Precambrian metasedimentary rocks. Various minerals such as serpentine, forsterite, pyroxene, tremolite, magnetite, chlorite, mica, talc and dolomite are occurre. Five distinctive mineral assemblage types are observed in the serpentinite: (A) serpentine-forsterite, (B) serpentine, (C) serpentine-chlorite (vermiculite), (D) serpentine-tremolite, (E) tremolite-chlorite. Lizardite and antigorite are mainly occurred as serpentine minerals and chrysotile is partly included. From the study of mineral compositions and occurrence of serpentinite body, serpentine formed by hydrothermal alteration of ultramafic rock consisting mainly of forsterite, and altered minerals such as chlorite and tremolite subsequently formed by secondary hydrothermal alteration.

우리나라에는 약 6개소의 사문석광산이 존재하였으며, 그 중에 최근까지 채굴되었던 충남지역의 비봉광산에 대하여 구성광물의 산출상태, 특성 및 성인을 검토하였다. X-선회절분석, X-선형광분석, 주사현미분석, 전자현미분석, 적외선분광분석, 편광현미경관찰 등을 통하여 사문석의 광물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비봉광산의 사문암체는 선캠브리아기의 변성퇴적암을 관입한 형태로 소규모로 분포하여 나타나며, 사문석, 포스터라이트, 휘석, 투각섬석, 자철석, 녹니석, 운모, 활석, 돌로마이트 등의 다양한 광물들이 산출되었다. 사문암체의 광물조합은 크게 A) 사문석-포스터라이트, B) 사문석, C) 사문석-녹니석(버미큘라이트), D) 사문석-투각섬석, E) 투각섬석-녹니석의 5가지로 구분되어 나타났다. 사문석광물은 리자르다이트와 안티고라이트가 주로 포함되며 크리소타일은 일부 부분적으로 포함되어 산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문암체의 구성광물과 그 산출상태로 보아 포스터라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초염기성암의 열수변질작용에 의해 사문석이 형성되었으며, 그후 2차적인 열수작용에 의해 녹니석과 투각섬석 등의 변질광물이 형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건영, 김수진 (1997) 충남 예산-공주-청양지역의 초염 기성암의 사문암화 작용, 한국광물학회지, 10, 126-138.
  2. 우영균, 박성덕, 김영태 (2005a) 충남 비봉 사문석 광상 사문암의 기원암과 사문석화작용, 과학교육연구, 36, 201-221.
  3. 우영균, 박진규, 김영태 (2005b) 충남 월림-광시-비봉 사 문석광상 사문암의 기원암과 사문석화작용, 과학 교육연구, 36, 223-245.
  4. 이종혁, 김성수 (1963) 1/5만 홍성지질 도폭 및 설명서, 국립지질조사소.
  5. 엄상호, 이교성 (1963) 1/5만 대흥지질 도폭 및 설명서, 국립지질조사소.
  6. 최수용, 황진연, 김정진, 이윤종 (1990) 울산사문암체의 광물학적․지구화학적 연구, 대한지질학회, 26, 105-118.
  7. 下田右 (1985) 점토광물연구법. 창조사.
  8. 황진연, 김정진, 옥수석 (1993) 안동지역 사문암광상의 구성광물 및 성인에 관한 연구, 광산지질, 1-10.
  9. 황진연 (2002) 사문석의 특성과 활용, 한국광물학회지 (광물과 산업), 15, 48-54.
  10. Bates, R.L. and Jackson, J.A. (1980) Glossary of Geology, 572.
  11. Bowen, N.L. and Tuttle, O.F. (1949) The system $MgO-SiO_{2}-H_{2}O$. Geol. Soc. Am. Bull., 60, 439-460. https://doi.org/10.1130/0016-7606(1949)60[439:TSM]2.0.CO;2
  12. Deer, W.A., Howie, R.A., and Zussman, J. (1980) An introduction to the rock-forming minerals. Longman, 528.
  13. Deer, W.A., Howie, R.A., and Zussman, J. (1992) An introduction to the rock-forming minerals. Longman, 696.
  14. McDonough (1990) Constraints on the composition of the continental lithospheric mantle, Earth Planet. Sci. Lett., 101, 1-18. https://doi.org/10.1016/0012-821X(90)90119-I
  15. Nemecz, E. (1981) Clay minerals. Akademiai Kiado, Budapest, Hungary.
  16. Rucklidge, J.C. and Zussman, J. (1965) The crystal structure of the serpentine mineral, lizardite $Mg_{3}SiO_{5}(OH)_{4}$. Acta crystallogr., 1e, 381-389
  17. Russell, J.D. and Fraser, A.R. (1994) Infrared methods. In: Wilson, M.J. (ed.), Clay mineralogy: Spectroscopic and chemical determinative methods, Chapman & Hall. 11-67.
  18. Whittaker, E.J.W. and Zussman, J. (1965) The crystal structure of the serpentine minerals by X-ray diffraction. Mineral. Mag., 31, 107-126.

Cited by

  1. Phlogopite-Bearing Orthopyroxenite in Andong Ultramafic Complex vol.25, pp.4, 2012, https://doi.org/10.9727/jmsk.2012.25.4.249
  2.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Fibrous Serpentine Minerals Occurred in Serpentinite in Hongseong and Gapyeong vol.49, pp.1, 2016, https://doi.org/10.9719/EEG.2016.49.1.1
  3. 투각섬석-양기석 계열 각섬석의 형태적 다양성과 자연 석면 평가에서의 의미 vol.25, pp.2, 2012, https://doi.org/10.9727/jmsk.2012.25.2.095
  4. 국내 탄산염암 지역(아산, 무주, 장수)에서 산출되는 자연발생석면의 광물학적 특성 vol.51, pp.4, 2012, https://doi.org/10.9719/eeg.2018.51.4.309
  5. Management of Naturally Occurring Asbestos Area in Republic of Korea vol.26, pp.1, 2012, https://doi.org/10.2113/eeg-22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