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n the Temperature Safety of a Boiler Desuperheater

보일러 과열증기 냉각기의 온도 안전성에 관한 연구

  • 하지수 (계명대학교 환경과학과) ;
  • 김태권 (계명대학교 기계자동차공학과) ;
  • 장혁상 (영남대학교 환경공학과)
  • Received : 2012.01.21
  • Accepted : 2012.04.10
  • Published : 2012.04.30

Abstract

The present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diagnose the temperature safety of a boiler desuperheater which decreases abnormally higher temperature of superheated steam in a reheater of a power plant. The liquid water in the desuperheater stays in a closed space. It becomes heated by the high temperature superheated steam and boiling could occur. Boiling might increase internal pressure and it could destroy the desuperheater if the internal pressure exceeds the allowable pressure of the desuperheater. The present study modeled reasonably the desuperheater and four cases of heat transfer analysis are executed with the consideration of insulator and natural convective fluid flow of the inside cooling water. For the case excluded the natural convective fluid flow, the temperature exceeds the allowable temperature and pressure. On the other hand, for the real case included natural convective fluid flow and insulator, the active heat transfer from higher temperature region to lower temperature region occurs and it makes the temperature in the cooling water below the allowable temperature and pressure. From this fact, it could be thought that the desuperheater in the reheater is safe from destroy or back flow.

본 연구에서는 화력발전소의 재열기 내에 과열증기가 이상 고온이 될 때 과열증기를 냉각하는 과열증기 냉각기의 온도 안전성에 대하여 열전달 해석을 통해 진단하였다. 과열증기 냉각기 내부에 냉각을 위해 액체상태의 냉각수가 밀폐 공간 내에 존재한다. 이곳은 고온의 과열증기에 노출되어 있는 부분으로 가열에 의해 비등이 발생하면 내부 압력이 상승하여 냉각기가 견딜 수 있는 허용 압력 이상으로 되게 된다. 이렇게 되면 냉각기가 파손되거나 냉각수가 역류가 일어나서 안전하지 않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의 진단을 위해 냉각기의 형상을 합리적으로 단순화 하고 단열재 여부, 내부 냉각수의 자연대류 유동 고려 여부 등으로 구분하여 4 가지 경우의 열전달 해석을 수행 하였다. 냉각기 내부에 있는 액체 상태의 냉각수에 대하여 자연대류 유동을 고려하지 않는 경우는 온도 상승과 이에 따른 압력 상승으로 안전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제 현상인 냉각수의 자연대류 유동을 고려하고 단열재를 사용한 경우에는 냉각수의 자연대류 유동에 따른 고온 영역에서 저온 영역으로 활발한 열전달이 발생하여 냉각수가 허용온도와 허용압력 이하에서 운전되고 있음을 알았고 이에 따라 과열증기 냉각기는 안전하다는 것을 판단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Frank P. Incropera, David P. DeWitt, Fundamentals of Heat and Mass Transfer, 5th Edition, J. Wiley, New York, (2002)
  2. Sadik Kakac, Rammesh K. Shah, Win Aung, Handbook of Single Phase Convective Heat Transfer, 1st Edittion, Wiley-Interscience, New York, (1987)
  3. 정재헌, 송종일, "배열회수보일러의 부분부하운전에 따른 과열기 튜브들의 응력거동 해석", 한국태양에너지학회지, 제28권 제6호, 33-39, (2008)
  4. 이승만, 이병곤, "밑면이 가열되는 정사각형 밀폐공간 내의 비정상 자연대류", 대한설비공학회, 99년 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838-843, (1999)
  5. 이상훈, 양대열, "단열체를 삽입한 정사각 공간의 자연대류 열전달", 대한설비공학회, 2002년 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749-754, (2002)

Cited by

  1. GHG-AP Integrated Sink/Emission Inventories and Environmental Value Analysis in Vegetation Sector of Seoul vol.31, pp.1, 2015, https://doi.org/10.5572/KOSAE.2015.31.1.072
  2. 기후변화가 한국 산림에 미치는 영향과 관리 전략 vol.35, pp.3, 2012, https://doi.org/10.11626/kjeb.2017.35.3.413
  3. 백두대간 강원도 4개 권역의 관속식물상 - 오대산, 대관령~석병산, 청옥산~덕항산, 금대봉~태백산 권역을 중심으로- vol.21, pp.4, 2018, https://doi.org/10.13087/kosert.2018.21.4.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