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mparison of the Movements of Circle Contact Lens and Soft Contact Lens with Identical Material on Cornea

써클 콘택트렌즈와 동일 재질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각막에서의 움직임 비교

  • Kim, So Ra (Department of Optome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 Park, Sang Hee (Department of Ophthalmic Optics, Kaya University) ;
  • Joo, Seon-Ok (Department of Optome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 Lee, Hye Rim (Department of Optome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 Park, Mijung (Department of Optome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김소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
  • 박상희 (가야대학교 안경광학과) ;
  • 주선옥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
  • 이혜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
  • 박미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 Received : 2011.10.30
  • Accepted : 2012.03.17
  • Published : 2012.03.31

Abstract

Purpose: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any difference caused by pigmentation in the centrations and movement patterns on the cornea between circle and soft contact lens with identical material and parameters during lens wearing. Methods: Soft and circle contact lenses with identical material and parameters were applied to twenty eyes with normal tear volume for 3 hrs a day during a total of 5 days and then their lens centrations, the moving distances and rotations by repeat blinking were compared. Results: The lens centration beyond the fitting criteria was shown in initial wears of both soft contact lens and circle contact lens. However, the centration of soft contact lens was changed to the pupil center for being suitable to the fitting criteria with longer wearing time. On the other hand, the decentration of circle contact len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as still presented even with longer wearing time. The moving distances of soft contact lens and circle contact lens decreased with the expand of lens wearing bu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otal wearing period and daily wearing time. The rotation of circle contact lens by repeat blinking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soft contact lens even when the wearing period was extended. Conclusions: We revealed that the lens centration and movement of circle contact lens on cornea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regular soft contact lens resulting in bigger difference with the expand of wearing period in the study.

목적: 본 연구에서는 동일 재질 및 렌즈 파라미터를 가진 일반 소프트 콘택트렌즈와 써클 콘택트렌즈의 각막에서 중심안정위치와 움직임 양상을 비교하여 착색 여부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눈물양이 정상인 20안을 대상으로 동일한 재질 및 파라미터의 일반 소프트 콘택트렌즈와 써클 콘택트렌즈를 각각 1일에 3시간씩 5일 동안 착용시키면서 각막에서의 중심안정위치와 반복적인 순목 후 콘택트렌즈의 이동거리 및 회전량을 측정하고 비교하였다. 결과: 일반 소프트 콘택트렌즈와 써클 콘택트렌즈 모두 착용 초기의 중심안정위치는 피팅 기준에서 벗어나는 경우가 있었으나 일반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경우는 착용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동공 중심으로 모이면서 모든 경우에도 피팅 기준에서 벗어나지 않는 적합한 중심안정위치로 변화되었다. 하지만, 써클 콘택트렌즈는 착용 시간이 증가하여도 수평 방향으로의 중심이탈이 여전히 존재하였다. 일반 소프트 콘택트렌즈와 써클 콘택트렌즈 모두 반복적인 순목 후 각막에서의 이동거리는 착용기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나 두 콘택트렌즈 간에는 총 착용 기간이나 일일 착용 시간의 증가에 따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반복적인 순목에 의한 써클 콘택트렌즈의 회전양은 착용기간이 증가하였을 때 일반 소프트 콘택트렌즈를 착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 써클 콘택트렌즈의 각막에서의 위치 및 움직임은 일반 소프트 콘택트렌즈와 달라지며 이러한 차이는 착용기간이 증가하면 더 커짐을 밝혔다.

Keywords

References

  1. Maldonado-Codina C., and Efron N., "Impact of manufacturing technology and material composition on the clinical performance of hydrogel lenses", Optom. Vis. Sci., 81(6):442-454(2004). https://doi.org/10.1097/01.opx.0000135103.94039.40
  2. 박현주, "칼라콘택트렌즈의 제조-제조방법과 특성에 대해", 한국안광학회지, 10(2):127-132(2005).
  3. Jalbert I., Sweeney D. F., and Stapleton F., "The effect of long-term wear of soft lenses of low and high oxygen transmissibility on the corneal epithelium", Eye(Lond), 23(6):1282-1287(2009).
  4. Wolffsohn J. S., Hunt O. A., and Chowdhury A., "Objective clinical performance of 'comfort-enhanced' daily disposable soft contact lenses", Cont. Lens Anterior Eye, 33(2):88-92(2010). https://doi.org/10.1016/j.clae.2010.01.004
  5. Ramamoorthy P., Sinnott L. T., and Nichols J. J., "Treatment, material, care, and patient-related factors in contact lens-related dry eye", Optom. Vis. Sci., 85(8):764-772(2008). https://doi.org/10.1097/OPX.0b013e318181a91f
  6. Snyder R. W., Brenner M. B., Wiley L., Yee R. W., Gradus M. S., and Mackman G. S., "Microbial keratitis associated with plano tinted contact lenses", CLAO J. 17(4): 252-255(1991).
  7. Fonn D., "What goes around comes around", Eye Contact Lens, 36(6):323(2010). https://doi.org/10.1097/ICL.0b013e3181ff362e
  8. 박상희, 김소라, 박미정, "써클 및 동일 재질 콘택트렌즈의 임상 적용시 눈에 미치는 영향", 한국안광학회지, 16(2):147-157(2011).
  9. Narayanan S., Miller W. L., Prager T. C., Jackson J. A., Leach N. E., Mcdermott A. M., Christensen M. T., and Bergmanson J. P., "The diagnosis and characteristics of moderate dry eye in non-contact lens wearers", Eye Contact Lens, 31(3):96-104(2005). https://doi.org/10.1097/01.ICL.0000140907.45705.E2
  10. Mengher L. S., Bron A. J., Tonge S. R., and Gilbert D. J., "A non-invasive instrument for clinical assessment of the pre-corneal tear film stability", Curr. Eye Res., 4(1):1-7(1985). https://doi.org/10.3109/02713688508999960
  11. Madden R. K., Paugh J. R., and Wang C., "Comparative study of two non-invasive tear film stability techniques", Curr. Eye Res., 13(4):263-269(1994). https://doi.org/10.3109/02713689408995787
  12. 이병준, 홍재현, 정다이, 박미정, "건성안 검사 방법의 신뢰도에 대한 연구", 한국안광학회지, 13(1):15-20(2008).
  13. 임경직, 이진학, "건성안에서의 Tear Meniscus Height", 대한안과학회지, 33(1):29-31(1992).
  14. 마기중, 이군자, "콘택트렌즈", 초판, 대학서림, 서울, pp. 235(1995).
  15. 김소라, 박상일, 이세은, 박미정, "각막곡률계와 각막 지형도 검사에서의 측정값을 이용한 RGP 렌즈 피팅시 각막에서의 중심안정위치 비교", 한국안광학회지, 16(1):41- 50(2008).
  16. 박상일, 이세은, 김소라, 박미정, "각막곡률계와 각막지형도를 이용한 각막난시 측정값에 따른 비구면 RGP 렌즈의 각막에서 동적움직임 비교", 한국안광학회지, 16(2): 123-133(2011).
  17. 박미라, 이재원, "EXCEL을 이용한 의학데이터의 통계분석", 초판, 자유아카데미, 서울, pp. 159-165(2007).
  18. 마기중, 이군자, "콘택트렌즈", 초판, 대학서림, 서울, pp. 237(1995).
  19. 박미정, 조규태, 신성환, 이흠숙, 김대수, "단백질 침착에 의한 소프트콘택트렌즈의 직경 및 곡률반경 변화", 한국안광학회지, 10(3):165-171(2005).
  20. 박미정, 양재헌, 김선미, 박상일, 박상희, 김소라, "일일 착용 렌즈의 착용기간 초과시 유발되는 렌즈의 중심 안정 위치 및 순목횟수 변화", 한국안광학회지, 13(4): 51- 58(2008).
  21. 정다이, 임신규, 김소라, 박미정, "정상안과 건성안에서 피팅상태에 따른 각막에서의 소프트렌즈 움직임 비교", 한국안광학회지, 16(1):21-30(2011).
  22. 박미정, 권미정, 현선희, 김대수, "소프트콘택트렌즈의 단백질 부착 양상 및 가시광선투과도와 접촉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안광학회지, 9(1):53-68(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