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sideration on the Relation between Vibration Level and Peak Particle Velocity in Regulation of Ground Vibration

지반진동 규제기준에서 진동레벨과 진동속도의 상호관계에 대한 고찰

  • Received : 2012.12.08
  • Accepted : 2012.12.26
  • Published : 2012.12.31

Abstract

The only law related to airblast and ground vibration control in Korea is the Noise and Vibration Control Act enforc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But this law mainly deals with the annoyance aspects of noises and vibrations in ordinary human life. Hence, the law defines the safety criteria of ground vibration as the vibration level (VL) of dB(V) unit. The ground vibrations produced from blasting, however, have the unique characteristics that can be shown in shock vibrations, and the duration is also very short compared to the vibrations from machinery, tools or facilities. Hence, vibration regulations for blasting operations usually define the safety criterion as the peak particle velocity (PPV) considering the effect of ground vibrations to structural damage. Notwithstanding, there are several attempts that predict VL from PPV or estimate VL based on the scaled distances (SD; in unit of $m/kg^{1/2}$ or $m/kg^{1/3}$) without considering their frequency spectra. It appears that these attempts are conducted mainly for the purpose of satisfying the law in blasting contracts. But, in principle there could no correlation between peaks of velocity and acceleration over entire frequency spectrum. Therefore, such correlations or estimations should be conducted only for the waves with the same or very similar frequency spectra.

국내에서 발파풍과 지반진동을 취급하는 유일한 법규가 바로 환경부의 소음진동관리법이다. 하지만 이 법규는 생활소음과 생활진동을 주로 취급하고 있으므로 지반진동에 대한 안전기준을 dB(V) 단위의 진동레벨에 의해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발파로 발생되는 지반진동은 충격진동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은 독특한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그 지속시간도 기계류나 장비류, 시설물 등에서 발생하는 진동과 비교하여 매우 짧은 특성이 있다. 그러므로 발파작업에 대한 진동법규에서는 통상 구조물 손상에 대한 지반진동의 영향을 고려하여 안전기준을 최대입자속도(peak particle velocity; PPV)로 설정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진동파동의 주파수 스펙트럼에 대한 충분한 고려도 없이 PPV로부터 진동레벨(vibration level; VL)을 예측하거나 $m/kg^{1/2}$이나 $m/kg^{1/3}$ 단위의 환산거리에 따라 VL을 추정하려는 시도들이 있다. 이 시도들은 주로 발파공사 과정에서 소음진동관리법을 충족시키려는 목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전체 주파수 스펙트럼 상에서는 속도나 가속도 피크치 사이에는 아무런 상관관계도 존재할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상관관계나 추정식의 유도작업은 반드시 동일하거나 매우 유사한 주파수 스펙트럼을 지니는 파동들에 한해서 수행되어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일중, 기경철, 조영동, 2009, 발파진동속도와 진동레벨과의 관계식 연구, 화약발파, 제27권 제1호, pp. 79-87.
  2. 김일중, 김태섭, 복진승, 2012, 발파진동속도와 진동레벨의 상관성 분석, 2012 대한화약발파공학회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pp. 87-95.
  3. 류창하, 2005, 구조물에 대한 발파진동 허용규제기준 분석, 화약발파, 제 23권 3호, pp. 1-10.
  4. 류창하, 최병희 외, 2010, IT 및 신소재를 활용한 급속 안정화 터널시공기술개발: 터널 급속시공을 위한 신개념 굴착공법 개발, 국토해양부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연구보고서, pp. 238.
  5. 송하림, 노영배, 강추원, 2011, 진동레벨과 진동속도의 상관성에 관한 비교연구, 화약발파, 제29권 제2호, pp. 43-50.
  6. 양형식, 박경준, 2003, 진동특성에 따른 수직보정 진동레벨의 변환 특성 연구, 화약발파, 제21권 제1호, pp. 77-84.
  7. 원연호 외, 2010, 진동레벨과 진동속도의 상관성 분석 등에 관한 연구, 환경부 중앙환경분쟁조정위원회 연구보고서, 원앤비 기술사사무소.
  8. 이경운 외, 1995, 진동으로 인한 피해의 인과관계검토 기준 및 피해액 산정방법에 관한 연구, 중앙환경분쟁조정위원회, pp. 285.
  9. 이준구, 이창용, 2011, 경제학 원론 제4판, 법문사, pp. 31-33.
  10. 일본환경청 편집, 1977, 진동규제기술매뉴얼(일본어판), pp. 294.
  11. 최형빈, 2012, 발파환경 진동레벨 기준척도의 시공단계 적용사례 연구, 2012 대한화약발파공학회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pp. 87-103.
  12. Atlas Power Company, 1987, Explosives and rock blasting, Atlas Power Company, pp. 344-348.
  13. Dowding, C. H., 1996, Construction vibrations, Prentice Hall Inc., Upper Saddle River, NJ 07458, US, pp. 84.
  14. Duvall, W. I. and E. E. Fogelson, 1962, Review of Criterion for Estimating Damage to Residences From Blasting Vibrations, USBM RI 5968, pp. 19.
  15. Inman, D. J., 1996, Engineering vibration, Prentice Hall Inc., Upper Saddle River, NJ 07458, US, pp. 69-70.
  16. ISEE, 1998, Blaster's Handbook, 17th ed., International Society of Explosives Engineers, Cleveland, Ohio, USA, pp. 594.
  17. Nicholls, H.R., Johnson, C.F., and Duvall, W.I., 1971, Blast Vibrations and Their Effects on Structures, USBM Bulletin 656, pp. 105.
  18. Persson, P.A., R. Holmberg, and J. Lee, 1994, Rock blasting and explosives engineering, CRC Press, pp. 337-338.
  19. Siskind, D. E., M. S. Stagg, J. W. Kopp, and C. H. Dowding, 1980, Structure Response and Damage Produced by Ground Vibration From Surface Mine Blasting, USBM RI 8507, pp. 14-17, pp. 7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