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Daycare Center Teachers' Perceptions about the Emotional Leadership of Principals and Organizational Culture on Their Job Satisfaction

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조직문화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김정림 (신라대학교 대학원 유아교육과) ;
  • 조혜진 (신라대학교 유아교육과)
  • Published : 2012.02.29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emotional leadership of principals and organizational culture perceived by daycare center teachers on their job satisfaction. The subjects were 366 teachers who worked in daycare center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considered the level of the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to be above average. The largest group of the teachers viewed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daycare centers as a collective culture, followed by an innovative culture, a hierarchical culture and a rational culture. Finally, the teachers considered the level of their job satisfaction as above average. They were especially more satisfied with welfare benefits and pay, and they were relatively less satisfied with working environments. Second, emotional leadership of the principals and organizational culture perceived by daycare center teacher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ir overall job satisfaction.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s of the emotional leadership of the principals and organizational culture perceived by daycare center teachers on their overall job satisfaction, principals' social capabilities were found to be most influential, followed by the collective culture and the innovative culture which were the sub-factors of organizational culture.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조직문화가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 36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들은 원장의 감성리더십을 보통 이상으로 인식하였으며 감성리더십의 하위변인 중 개인적 역량을 사회적 역량에 비해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들은 어린이집의 조직문화를 집단적 문화라고 지각하는 정도가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혁신적 문화, 위계적 문화, 합리적 문화 순으로 나타났다. 직무만족과 관련하여 교사는 복지후생과 보수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편이었고 근무환경에 대한 직무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조직문화 및 직무만족도 간에는 높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교사가 지각한 어린이집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조직문화가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감성리더십의 하위변인 중 사회적 역량이 제일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조직문화의 하위변인 중 집단적 문화, 혁신적 문화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경석, 김철구(2007).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학교조직몰입과의 관계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25(4), 1-24.
  2. 김경옥(2009). 몬테소리 유치원 교사 직무만족도와 교사-유아 간 상호작용과의 관계. 대구카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 김낙홍, 서영민(2010). 보육시설 주임교사가 지각한 조직풍토와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14(4), 315-337.
  4. 김명희, 양성관(2011).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 직무만족의 관계에 미치는 LMX의 매개효과. 교육행정학연구, 29(1), 57-81.
  5. 김문희(2011). 보육시설의 조직문화와 교사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김미해(2000). 유치원의 조직풍토와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김성규(2009). 초등학교 교장의 감성리더십: 교사문화와 직무만족 및 학생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8. 김영길(2008). 학교조직의 조직문화와 리더십 유형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9. 김영분(2010). 영유아보육시설유형에 따른 보육교사의 근무환경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김옥주, 조혜진(2010). 영아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보육시설 조직문화가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0(2), 193-209.
  11. 김은형, 이성은(2011). 학교장의 성별에 따른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열린교육연구, 19(2), 29-47.
  12. 김정서(2009).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학교조직 문화가 학교 조직역량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3. 김진아(2008). 보육시설 종사자가 지각한 조직문화와 조직효과성.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4. 김진아, 이종희(2008). 보육종사자가 지각한 보육시설의 조직문화. 한국영유아보육학, 55, 119-149.
  15. 박미선(2000).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 및 관계변인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박지연(2006). 교사가 지각한 유아교육.보육기관장의 리더십과 교사의 직무만족도 호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박형신, 김정주(2011). 보육교사가 인식한 시설장의 감성리더십과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전문성 인식간의 관련성 분석. 아동교육, 20(3), 121-135.
  18. 서영란(2006). 초등학교장의 리더십 생활기술이 학교 조직문화와 조직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경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9. 서지연(2004). 놀이에 대한 유아교사 효능감에 영행을 미치는 직무만족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서현, 송선화(2010). 유아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조직효과성과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30(4). 145-169.
  21. 송유진(1993). 유아교육기관의 조직풍토와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2. 신동한(2009).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학교조직문화와 학교조직효과성의 관계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3. 신재흡(2002).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과 학교 조직문화 및 학교 조직 효과성 간의 관계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4. 안지혜, 유현정(2009). 보육교사가 지각한 조직문화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9(3), 25-40.
  25. 오미형, 양경수(2008). 보육교사가 지각한 조직풍토와 교사의 특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17(4), 199-211.
  26. 이미라(2007). 교장의 감성리더십과 학교의 조직 감성과 조직학습의 관계.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7. 이수련, 이정화(2011). 어린이집 원장의 경영형태가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1(4), 165-181
  28. 이석열(2006). 교장의 감성리더십 진단척도 개발. 교육행정학연구, 24(3), 51-78.
  29. 정우영(2006). 학교조직문화와 교사효능감 및 학교조직몰입간의 관계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0. 정훈희(2004). 기관 유형에 따른 유아교사의 이직의도와 직무만족도 및 교직관의 관계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1. 조성연(2005).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소진. 한국생활과학회지, 14(1), 69-79.
  32. 조혜선, 박은혜(2009). 유치원 교직문화 분석. 유아교육연구, 29(2), 45-68.
  33. 조인숙(2007). 보육시설 조직문화와 보육서비스의 질. 서울: 한국학술정보.
  34. 최현미(2010). 유아교육기관장의 리더십유형에 따른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5. 한정순(2010). 학교조직문화에 대한 인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춘천시와 철원군 사례를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정보과학행정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6. Goleman, D., Boyatzis, R., & McKee, A.(2002). Primal leadership: Realizing the of emotional intelligence. Boston: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장석훈 역(2003). 감성의 리더십. 서울: 청림출판.
  37. Joshi, A.(2009). What do teacher-child interaction in early childhood classrooms in India look like? Teachers' and parents' perspectives.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179(3), 285-301. https://doi.org/10.1080/03004430601078610
  38. Maslach, C., & Jackson, S. (1996). Maslach burnout inventory manual.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39. Neff, T. J., Citrin, J. M., & Brown, P. B.(1999). Lesson from the top: The Search for America's Best Business Leaders. New York: Doubleday.
  40. Schein, E. H.(2004). Organizational Culture and Leadership. San Francisco: Jossey-Bass.
  41. Vandell, D. C., & Wolfe, B.(2000). Child Care Quality: Does It Matter and Does It Need to be Improved?(Full report). Office of the Assistant Secretary for Planning and Evaluation U. 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Washington, D. 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