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on Developing an Integrated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Program Using Storytelling Songs and Exploring Its Effects

노래동화를 활용한 통합적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에 관한 연구

  • 김연주 (군장대학 유아교육과.경희대학교 아동가족전공) ;
  • 조복희 (군장대학교 유아교육과)
  • Published : 2012.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integrated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program using storytelling songs and to examine its possible effects by analyzing musical expression ability, language expression ability and creativity.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 of the program developed in the study, 68 4-year old preschoolers were selected from 2 preschools to b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as given the integrated music education program 16 times in total (two times a week for 8 weeks).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 First, it was found that the integrated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program using storytelling songs had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musical expression ability and linguistic expression ability.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integrated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program using storytelling songs had a positive influence among the sub-areas of creativity.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들의 음악표현능력, 언어표현능력 및 창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노래동화를 활용한 통합적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프로그램에 따라 교육을 실시하여 유아의 음악표현능력, 언어표현능력 및 창의성 증진의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노래동화를 활용한 통합적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기 위해 연구대상 어린이 집에서 사용될 노래를 검토하여 곡을 선정하고, 선정된 곡을 토대로 노래동화를 개작하고, 노래부르기, 악기다루기, 음악만들기 등의 음악 영역간의 통합과 신체표현, 언어표현, 그림(선)표현 등의 타 영역간의 통합적 활동내용을 포함하여 통합적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두 곳 어린이집의 만 4세 유아 68명을 각각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배정하여 실험집단에게 프로그램을 8주간 총 16회에 걸쳐서 적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음악표현능력, 언어표현능력, 창의성의 집단간 차이검증을 위해 t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 첫째, 노래동화를 활용한 통합적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에 참여는 유아의 음악표현능력 및 언어표현능력 증진에 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노래동화를 활용한 통합적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에 참여는 유아의 유창성 증진에 효과가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공미자(2006). 유아 창작음악극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언어표현력 및 또래 갈등해결전략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 공미자(2006). 유아 창작음악극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언어표현력 및 또래 갈등해결전략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 김성균(1984). 유아음악교육. 서울 : 세광출판사.
  4. 김송란(1999). 유아교육기관의 음악교육 실태에 관한 연구 : 전북 지역의 유치원과 어린이집을 중심으로..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김순희(2004). 유아 음악극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김영이(2002). Dalcroze와 Orff의 리듬 지도 방법의 효과 비교.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김우숙(1996). 유아의 음악청취력 향상을 위한 분석적 감상수업의 효과.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김인실(1999). Gordon 유아음악교육방법의 적용효과성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9. 김일미(2004). 음악극과 노래 부르기가 유아의 음악능력과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 비교.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박성은(1983). 유아음악지도. 서울 : 학문사.
  11. 신정숙(2000). 노래그림책이 유아의 읽기 흥미, 어휘력, 읽기능력에 미치는 영향 : 전래동요를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신혜진(2005). 음악극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심성경, 이희자, 김경의, 최국남, 이용례, 이영희, 허은주(2002). 동화짓기 및 관련활동이 유아의 읽기 흥미와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22(1), 231-252.
  14. 안재신, 김혜숙, 안경숙, 김소향, 이옥주, 정수진(2002). 구성주의 이론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서울 : 교육과학사.
  15. 안재신, 한애향(1999). 전래동요를 활용한 통합적 음악수업이 유아의 음악적 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18, 1-50). 음악교육연구.
  16. 여성가족부(2005). 표준교육과정 연구. 서울 : 여성가족부.
  17. 이기숙(1988). 유아교육과정. 서울 : 교문사.
  18. 이미경(2001). 유치원 음악교육에 관한 실태 분석.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 이영옥(1999). 유아 음악교육 활동의 현장 실태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이정희(1999). 동화를 통한 노래극 활동이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음악능력 및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1. 이효숙(2001). 유아음악극 활동이 유아의 문식성, 음악적 능력 및 신체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지, 22(4), 243-255.
  22. 이효숙(2004). 노랫말 바꾸기 활동이 유아의 어휘력,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교육과학연구소 교육과학연구, 35(1), 127-144.
  23. 이흥수(1990). 음악교육의 현대적 접근. 서울 : 세광음악출판사.
  24. 장은주(1997). 노래 그림책(Song Picture Books)이 유아의 읽기 및 음악적 잠재력(Aptitude)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5. 전인옥(2000). 유아음악교육 활동자료의 주제별 활용도 및 발달적 적합성 평가. 한국방송통신대학 논문집. 30, 17-32.
  26. 전인옥 (2003). 유아의 음악적 창의성 계발을 위한 음악창작활동 프로그램.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논문집, 35, 713-744.
  27. 전인옥, 이숙희(1997). 유아음악교육. 서울 : 한국방송대학교 출판부.
  28. 정미자(2006).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언어형태가 유아의 사회성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9. 정민자(2005). 유아의 창의성과 어머니의 양육신념, 창의적 특성변인간의 구조모형.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0. 조경미(1984). 6세 아동의 개념화 양식과 언어능력과의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1. 조현숙(1989). 유치원 음악교육 실태분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2. Cardarelli, A. F. (1979). Twenty-one Ways Use Music in Teaching the Language Arts. ERIC Document No. 176-268.
  33. Gordon, E. E. (1990). A music learning theory for newborn and young children. Chicago : G. I. A.
  34. Greata, J. (2006). Music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New York : Thomson Delmar Learnung.
  35. Jalongo. M. R. (1992). Early childhood language arts. M. A. : Allyn and Bacon.
  36. Kiser, D. C. (1996). Integrating Music with Whole Language through the Orff-Schulweek Process. Young Children. 51, 15-21.
  37. Neelly, L. P. (2001). Developmentally Appropriate Music Practice. Young Children. 56(3), 32-36
  38. Robert S. (2000). Art and Creative Development for Young Children(4thed.). NY : Delmar.
  39. Torrance, E. P. (1981). Thinking Creatively in Action and Movementr. Illinois : Scholastic Testing Service, Inc.
  40. Upitis, R. (1990). This too is Music. NH : Heinemann.
  41. Van Hook, C. W., & Tegano, D. W. (2002).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ity and conformity among prechool children.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36(1), 1-16. https://doi.org/10.1002/j.2162-6057.2002.tb01053.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