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Goals, Satisfaction, Self-efficacy and Depression on the Happiness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예비보육교사의 목표, 만족도, 자기효능감 및 우울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

  • 윤갑정 (대구한의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attributes influencing the happiness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The psychological attributes included positive states(self-efficacy, satisfaction), negative states(depression), and goals for the future(professional goal as a teacher). The objects were 269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who were studying in college and university to becom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ot clear differences in terms of goal content(self, others), whereas there were clear differences in terms of school satisfaction and major interest of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Second, self-efficac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happiness and depress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happiness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Third, self-efficacy and depression were predicting variables for the happiness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More specifically, depression wa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when it comes to determining the level of happiness. Thus,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happiness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were presented.

본 연구는 예비보육교사의 행복에 영향을 주는 심리적 특성을 밝히기 위한 것이다. 예비보육교사의 심리적 특성 중 긍정적 심리상태는 자기효능감과 만족도, 부정적 심리상태는 우울, 그리고 예비보육교사로서 가지는 목표의 각 변인들이 이들의 행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대학의 보육교사 양성학과에 재학 중인 1-4학년 예비보육교사들로 총 269명이었다. 분석결과 첫째, 예비보육교사의 목표내용은 이들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만족도는 학교생활만족도와 학과공부 흥미도가 모두 행복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자기효능감과 우울은 이들의 행복에 각각 정적,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행복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에서 자기효능감과 우울이 행복을 예언하였으며 그 중 우울이 예비보육교사의 행복을 가장 많이 예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보육교사의 행복증진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구재선, 김의철(2006). 심리적 특성, 생활 경험, 행복의 통합적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0(4), 1-18.
  2. 구재선, 서은국(2011). 한국인, 누가 언제 행복한가?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5(2), 143-166.
  3. 고미나, 박재황(2011). 대학생의 내,외적 진로장볍,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포부, 진로결정수준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직업교육연구, 30(4), 259-279.
  4. 고용아(2008). 디자인교육실습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권석만(2008). 긍정심리학. -행복의 과학적 탐구- 서울: 학지사.
  6. 권영주(2008). 대학생과 부모의 행복에 대한 연구: 정서적 지원과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권영주, 박영신, 김의철(2007). 한국 대학생의 행복에 대한 연구: 정서적 지원과 자기효능감이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414-415.
  8. 김금미(2010). 대학생의 행복과 자아수용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3), 863-883.
  9. 김민경(2011). 대학생의 우울, 감사 및 낙관성과 행복과의 관계. 청소년문화포럼, 28, 8-32.
  10. 김범준(2011). 대학생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행복/불행 관련 사건들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5(1), 115-135.
  11. 김상옥(2010). 대학생의 자아분화, 자아존중감과 정신건강간의 관계: 우울, 불안을 중심으로. 인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김석우(2010). (사회과학 연구를 위한) SPSS AMOS활용의 실제. 서울: 학지사.
  13. 김성재(2011). 마이크로티칭 기법을 활용한 수업에 따른 예비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변화 탐색.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2(1), 261-284.
  14. 김아영(1997). 학구적 실패에 대한 내성의 관련 변인 연구. 교육심리연구, 11(2), 1-19.
  15. 김연(1985). 우울증의 귀인 모형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6. 김의철, 박영신(2006). 한국인의 자기 인식에 나타난 토착문화심리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2(4), 1-36.
  17. 김정은(2010). 예비 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과 주관적 행복감 및 교육신념의 관계.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김현정, 손정락(2006). 대학생의 완벽주의와 자아존중감 및 우울,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2), 345-361.
  19. 박성미, 김정신(2009). 보육실습이 예비보육교사의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보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57, 121-141.
  20. 박영신, 김의철(2009). 심리적, 관계적, 경제적 자원: 한국인의 행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5(1), 95-132.
  21. 박영신, 김의철, 민병기(2002). 부모의 사회적 지원, 청소년의 자기효능감과 생활만족도. 교육심리연구, 16(2), 63-92.
  22. 송소원(2008). 자기표현향상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우울, 대인관계, 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상담연구, 16(1), 103-117.
  23. 안정숙(2004). 스트레스, 성격특성과 우울증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자율성의 역할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이경민, 이은주, 조은미(2009). 행복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89-291.
  25. 이경희(2011). 대학생의 우울, 자기효능감이 대인관계성향에 미치는 영향 -외모만족도의 매개효과 분석-. 한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6. 이수연(2010). 대학생의 행복 척도 개발 및 구인타당도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7(2), 107-122.
  27. 이영호(1993). 귀인양식, 생활사건, 무망감과 우울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8. 이유미(2009).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과 교사효능감의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지, 5(2), 1-20.
  29. 이은경(2003).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직업가치 및 진로의식성숙과의 관계.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0. 이재웅(2010). 교사의 스트레스와 우울에 대한 연구: 사회적 지원, 자기효능감, 행복과의 관계분석.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1. 이지민(2010). 가족건강성, 자아분화, 대인관계와 대학생 우울간의 관계구조. 상담학연구, 11(3), 1271-1287.
  32. 이현주(2000). 대학생의 진로결정 수준에 따른 인지양식 차이. 교육학연구, 38(1), 235-257.
  33. 장경문(2005).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6(1), 185-196.
  34. 장경원(2008). 문제중심학습환경에서 예비교사들의 자기효능감 변화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8(2), 1-25.
  35. 전미주, 권지은, 황순택(2011). 우울, 불안, 스트레스 대처양식과 성격병리 5요인(PSY-5)의 관계. 인간이해, 32(2), 109-125.
  36. 정민, 노안영(2008). 대학생의 지각된 진로장애와 진로결정수준간의 관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낙관성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상담치료, 20(2), 391-405.
  37. 정은선(2008). 부모의 양육태도가 주관적 행복감과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강인성과 완벽주의의 매개역할.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8. 주명진, 김정남(2011). 대학생의 불안과 진로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인문학논총, 27, 157-174.
  39. 조부경, 서윤희(2011). 셀프리더십 교육활동이 예비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및 교직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16(6), 93-115.
  40. 최인재(2007).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청소년기 자녀의 자아분화 및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6(3), 611-628.
  41. 홍계옥, 강혜원(2010). 대학생의 부모애착,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영유아교육연구, 13, 133-144.
  42. Argyle, M. (1999). Causes and correlates of happiness. In D. Kahneman, E. Diener, & N. Schwartz(Eds.), Well-being: The foundation of hedonic psychology.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43. Bandura, A. (199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 191-215.
  44. Cantor, N., & Sanderson, C. A. (1999). Life task participation and well-being: The importance of taking part in daily life. In D. Kahnemann, E. Diener, & N. Schwarz(Eds.), Well-being: The foundation of hedonic psychology (pp.230-243).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45. Conway, P. F. (2001). Anticipatory reflection while learning to teach: From a temporally truncated to a temporally distributed model of reflection in teacher education.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7, 89-106. https://doi.org/10.1016/S0742-051X(00)00040-8
  46. Emmons, R. A. (1992). Abstract versus concrete goals: Personal striving level, physical illn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2, 292-300. https://doi.org/10.1037/0022-3514.62.2.292
  47. Hagger, H., & Malmberg, L-E. (2011). Pre-service teachers' goals and future-time extension, concerns, and well-being.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7, 598-608. https://doi.org/10.1016/j.tate.2010.10.014
  48. Kivinen, O., & Pinne, R. (1995). Education of the elementary-school teachers and images of citizenship in Finland during the 19th and 20th centuries. Scandinavi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39, 237-256. https://doi.org/10.1080/0031383950390305
  49. Malmberg, L-E. (2001). Future-orientation in educational and interpersonal contexts. In J.-E. Nurmi(Ed.), Navigating through adolescence: European perspectives (pp.119-140). New York: Routledge.
  50. Malmberg, L-E., & Norrgard, S. (1999). Adolescents' ideas of normative life-span development and personal future goals. Journal of Adolescence, 22, 33-47. https://doi.org/10.1006/jado.1998.0199
  51. Seligman, M. E. P. (2006). Authentic happiness. New York: Free Press. 긍정 심리학(김인자 역). 서울: 물푸레(원판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