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nfluence of Teachers' Instructional Professionalism and Job Stress on the Adjustment of First-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초등교사의 수업전문성 및 직무스트레스가 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김세루 (전남대학교 유아교육과) ;
  • 박지영 (전남대학교 대학원 유아교육과) ;
  • 조홍자 (전남대학교 대학원 유아교육과)
  • Published : 2012.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influence of teachers' instructional professionalism and job stress on the adjustment of First-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subjects were 250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their 25 teachers in G City and J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s and analyzed by Pearson's r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18.0 version.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instructional professionalism and all the sub-variables of children's adjustment.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eachers' job stress and children's adjustment, with the exception of content knowledge and content-based instruc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teachers' instructional professionalism, job stress, and children's adjustment.

본 연구는 초등교사의 수업전문성 및 직무스트레스가 초등학교 일학년 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G광역시 초등학교 교사 25명과 담당하고 있는 초등학생 250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와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수업전문성과 학교적응은 하위요인 모두에서 의미 있는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 스트레스와 학교적응은 내용지식 및 내용교수법을 제외한 모든 하위요인에서 의미 있는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초등교사의 수업전문성 및 직무스트레스는 초등학교 일학년 아동의 학교적응을 예측할 수 있는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경욱(1996). 초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강학구, 강병호, 강미애(1999). 특수학교 교사와 일반학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서울: 특수교육.
  3. 김영복(2005).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학교적응을 돕기 위한 학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김옥희(2002). 놀이중심 교수.학습이 초등학교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김은정(2010). 저학년 초등학생의 학습양식과 교사가 지각한 학교적응의 관계. 교육의 이론과 실천, 15(8), 53-73.
  6. 김정휘(2004).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탈진. 서울: 한국교육정책연구소.
  7. 김창복(2011). 초등학교 교육의 최근 동향과 유초 연계교육 소고-2009 개정 교육과정의 주요 변화 내용을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15(3), 395-418.
  8. 김혜경(2000). 아동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 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김혜원(2005). 초등학교 1학년 교사의 유아와 유아교육에 대한 인식.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박순경(2008). 교사의 교육과정 전문성 관점에서 본 초등 교사의 담당 학년 배치에 관한 고찰. 교육과정연구, 26(1), 81-101.
  11. 박영숙, 유순화, 한귀녀, 정애리(2007). 교사의 직무만족도와 학생의 교사태도에 대한 지각이 초등학생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초등교육연구, 20(3), 449-467.
  12. 박영신, 김의철, 박은실(2009). 사회적 지원과 교사효능감이 직무성취도 및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교사에 대한 단기 종단분석. 교육심리연구, 23(3), 491-520.
  13. 박영재(2004). 교사 직무 스트레스 수준과 대처방안.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박은주(2004). 초등학생의 학교적응에 관한 연구: 부모, 친구, 교사관계를 중심으로.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5. 송윤미(2010). 학교장 성별에 따른 초등학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차이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안향숙(2003). 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지도성 유형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연구.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염미애, 문혁준(2007). 유아의 정서지능 및 어머니의 심리적 자세와 유아의 사회적 행동과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45(4), 61-75.
  18. 윤은영(2005).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광주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 이경민(2010). 초등학교 입장에서 본 만 5세아 초등학교 입학.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7(3), 319-348.
  20. 이경민, 강정원(2006). 유아의 초등학교 적응을 위한 전이 프로그램의 운영실태. 유아교육학논집, 10(3), 311-337.
  21. 이귀숙, 정현희(2006). 모의 양육태도가 학령초기 아동의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문제행동과 유능감을 매개변인으로, 한국심리학회지, 3(1), 1-17.
  22. 이성은, 송현순, 윤연희(2004). 수업 장면에서 드러난 초등교사의 특성에 관한 참여관찰연구. 열린교육연구, 12(2), 107-130.
  23. 이수정(2003). 아동이 지각한 교사 행동이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이유경(2003). 초등학교 입학생에게 요구되는 학습자 특성에 대한 유치원 및 초등학교 교사의 지각. 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5. 이은해(1999). 아동의 친구관계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20(3), 77-95.
  26. 이진숙(2004). 취학전기시의 모.자녀 관계, 교사 및 또래 관계가 아동의 초기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단기종단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1(4), 333-357.
  27. 임윤덕(2008). 초등학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수준과 대처방법. 한국체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8. 정대현, 지성애(2006). 유아의 초등학교 적응 과정에 대한 사례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0(1), 207-227.
  29. 정미숙(2008). 초등학생이 지각한 담임교사-아동간의 의사소통수준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30. 정은자(2004). 초등학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수원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1. 조아선(2009). 아동이 지각하는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교사 지도력과 아동의 학교적응행동 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2. 지명원, 이주연(2012). 정서노동자의 자아탄력성,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2(2), 249-263.
  33. 지성애, 정대현(2006). 초등학교 일학년용 학교적응 척도 타당화 연구. 아동학회지, 27(1), 1-15.
  34. 차한아(2006). 교사가 지각한 아동의 기질과 유치원 및 초등학교 초기 적응과의 관계.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5. 하정수(2005). 초등교사의 수업전문성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6. 한경진(2007). 초등학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논단, 6(1), 113-137.
  37. 한국교원교육연구회(1991). 교원의 근무여건 향상 방안연구. 130-134.
  38. 한병숙(2009).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의 교사-아동 간 상호작용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9. 함영기(2009). 수업 전문성 재개념화의 실천적 탐색을 위한 질적 사례연구: 온라인 지식교류 활동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40. 홍길회, 조숙경(2009). 만5세아 초등전이프로그램 내용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3(3), 253-268.
  41. 황해익, 탁정화, 김미진(2012).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3), 163-184.
  42. Aunola, K, & Nurmi, J. E. (2005). The Role of Parenting Style in Children's Problem Behavior. Child Development, 76(6), 1144-1159. https://doi.org/10.1111/j.1467-8624.2005.00840.x-i1
  43. Birch, S. H. (2001). Children's relationships with peers and teachers: Assessment, linkages between relationship systems, and associations with school adjustment.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44. Chen, X., Chang, H., He, Y., & Liu, H. (2005). The peer group as a context: Moderating effects on relations between maternal parenting and social and school adjustment in Chinese children. Child Development, 76(2), 417-434. https://doi.org/10.1111/j.1467-8624.2005.00854.x
  45. Fabian, H. (2000). small steps to starting.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Years Education, 8(2), 141-153. https://doi.org/10.1080/09669760050046183
  46. Hanson, E. Mark. (1991).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organizational Behavior. Allyn and Bacon.
  47. Ladd, G. W., Kochenderfer, B. J., & Coleman, C. C. (1996). Friendship Quality as a Predictor of Young Children's Early School Adjustment. Child Development, 58, 1168-1189.
  48. Margetts, K. (1997). Factors impacting on children's adjustment to the first of primary school. Early Children Folio, 3, 53-56.
  49. Pianta, R. C. E., & Cox, M. J. (2005). The transition to kindergarten. Baltimore: Paul H.
  50. Seefeldt, C., Galper, A., & Denton, K. (1997). Head Start children's conceptions of and expectations for their future schooling.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2(4), 387-406. https://doi.org/10.1016/S0885-2006(97)9001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