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easibility of Co-Digestion of Sewage Sludge, Swine Waste, and Food Waste Leachate

하수슬러지, 돈분뇨, 음식물쓰레기 탈리액 병합소화 타당성 평가

  • Kim, Sang-Hyou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Daegu University) ;
  • Ju, Hyun-Ju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Daegu University)
  • 김상현 (대구대학교 환경공학과) ;
  • 주현준 (대구대학교 환경공학과)
  • Published : 2012.03.31

Abstract

Feasibility of co-digestion was investigated by a series of anaerobic batch experiments using sewage sludge, swine waste, and food waste leachate as substrates. The organic solid wastes were collected from M city, where the daily productions of sewage sludge, swine waste, and food waste leachate were 178 ton/d, 150 ton/d, and 8 ton/d, respectively. Both swine waste and food waste leachate showed superior methane yields, methane productivities, and organic pollutant removal efficiencies compared to sewage sludge. Co-digestion of the total amounts of organic solid wastes would enhance methane production by 5.60 times $(530\;m^{3}\;CH_{4}/d\;{\rightarrow}\;2,968\;m^{3}\;CH_{4}/d)$. However, it also increase the amount of digestate by 1.88 times with 3.79 to 4.92 times higher pollutants (chemical oxygen demands total nitrogen, and total phosphorus) loading rates. Co-digestion of organic solid wastes is a valid strategy to enhance the performance of an anaerobic sludge digester and the energy independence of a wastewater treatment plant. Anyhow,the increment of digestate with higher pollutant loading would need a careful counterplan in the operation of the main stream of the treatment plant.

본 연구에서는 하수슬러지, 돈분뇨, 음식물쓰레기 탈리액을 단독 또는 혼합 주입한 회분식 혐기성 소화를 수행하여 바이오가스 생산 및 유기물 저감 효율 비교 평가를 통해 병합소화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타당성 검토 대상은 M시에서 발생하는 하수슬러지 178 톤/일, 돈분뇨 해양 투기량 및 축산폐수처리장 유입량 150 톤/일, 음식물쓰레기 탈리액 소각량 8톤/일이다. 유기성 폐기물 별 혐기성 소화 특성을 회분식 실험을 통해 고찰한 결과, 검토된 보조기질(돈분뇨, 음식물쓰레기 탈리액)이 메탄수율, 메탄 생산성, 유기물 제거 효율 측면에서 하수슬러지에 비해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하수슬러지, 돈분뇨, 음식물쓰레기 탈리액의 병합 소화를 수행한 결과, 대상 유기성 폐기물 전량을 하수처리장 소화조로 투입하는 경우, 하수슬러지 단독 소화 대비, 5.6 배$(530\;m^{3}\;CH_{4}/d\;{\rightarrow}\;2,968\;m^{3}\;CH_{4}/d)$ 높은 메탄생산 잠재량을 보일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소화조 유출수가 기존에 비해 1.88 배 증가하고, 유출수 내 오염물질 부하(COD, T-N, T-P)가 3.79-4.92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병합소화는 하수처리장 에너지 자립화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으나, 적용 시 하수처리장으로의 반송 등 소화조 유출수 처리 방안의 확보 방안이 함께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환경부, 하수처리시설 에너지 독립선언! - 에너지 자립화 기본계획. (2010).
  2. 환경부, 2010년 10월 6일 한국일보 6면 "지자체 슬러지 직무유기... 혐기성 소화조 부실운영"에 대한 보도 설명자료. (2010).
  3. Kim, S.-H. and Sung, S., "Co-digestion of waste glycerol with swine manure", 유기성자원학회, 18(2), pp. 71-75. (2010).
  4. 허남효, 박순철, 이진석, 강호, "음식물쓰레기와 폐활성슬러지의 혐기성 통합소화: 음식물쓰레기 혼합비율이 혼합폐기물의 용해도와 생분해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환경공학회지, 25(8), pp. 1050-1058. (2003).
  5. 환경부, 유기성오니 처리 종합 대책. (2006).
  6. 이채영, "혐기성 소화를 통한 돈분의 메탄 생성특성", 유기성자원학회, 15(3), pp. 113-120. (2007).
  7. 김상현, 에너지 자립화에 따른 가축분뇨, 하수슬러지, 음식물쓰레기의 비율에 따른 소화 가스 발생량 연구, 경북녹색환경지원센터, (2011).
  8. Guo, Y. P, Kim, S.-H., Sung, S. and Lee, P.-H., "Effect of ultrasonic treatment of digestion sludge on bio-hydrogen production from sucrose by anaerobic ferment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Hydrogen Energy, 35(8), pp. 3450-3455. (2010). https://doi.org/10.1016/j.ijhydene.2010.01.090
  9. Kim, S.-H., Han, S.-K., and Shin, H.-S., "Feasibility of biohydrogen production by anaerobic co-digestion of waste and sewage sludge. International Journal of Hydrogen Energy", International Journal of Hydrogen Energy, 29(15), pp. 1607-1616. (2004). https://doi.org/10.1016/j.ijhydene.2004.02.018
  10. 김상현, 남세용, "축산폐수 폐활성 슬러지의 혐기성 소화", 한국폐기물학회지, 26(9), pp. 526-530. (2009).
  11. APHA, AWWA, WEF.,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20th ed. APHA, (1998).
  12. Fang, H. H. P. and Liu, H., "Effect of pH on hydrogen production from glucose by a mixed culture", Bioresource Technology, 82(1), pp. 87-93. (2002). https://doi.org/10.1016/S0960-8524(01)00110-9
  13. 김상현, 한선기, 윤종호, 신항식, "혐기성 수소 생산 공정의 연속운전", 유기성자원학회지, 11(1), pp. 70-76. (2003)
  14. 신항식, 김상현, "유기성폐기물의 혐기성 자원화 기술", 한국폐기물학회지, 18(8), pp.14-21. (2001).
  15. 한선기, 신항식, 김상현, 김현우, "음식물 쓰레기의 구성성분에 따른 산발효조의 거동특성", 유기성자원학회지, 10(2). pp. 65-70.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