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Health Education on Health Promoting Behavior, Body-image, and Self-efficacy of Female and Male College Students

건강교육이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건강증진행위, 신체상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권명순 (한림대학교 간호학부) ;
  • 강경화 (한림대학교 간호학부) ;
  • 조해련 (이화여자대학교 간호과학과)
  • Published : 2012.09.30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a 16-week health education course on change in health promoting behavior, body image, and self efficacy of female and male college students. Methods: The study used a one-group pre- and post-test design, and a total of 112 students(58 male and 54 female students) were recruited from one college. SPSS 19.0 was used, an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two-way ANOVA. Results: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 was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health education, and male students exhibited higher score on health promoting behavior than that of female students(p <.05). Change in body image was not significant after health education(p >.05), however, female students demonstrated lower score on body image than male students(p <.05). Self-efficacy was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health education ( p <.05), however, gender differences were not significant(p >.05).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gender differences should be considered in providing health education, and efforts to improve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female students are needed. In addition, it must include not only cognitive domain but also affective and psychomotor domains of learning.

Keywords

References

  1. 김광숙, 조윤희, 라진숙, 박주영(2008).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망 및 건강습관과의 관계.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2(2), 221-223.
  2. 김영임, 이규영, 박은옥(2005). 학교 건강증진 프로그램 실시 현황 및 건강증진 프로그램요구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학교보건학회지,18(2), 1-13.
  3. 김옥수(2002). 여대생들의 비만도, 신체에 대한 태도 및 식이조절에 대한 연구. 성인간호학회지,14(2), 256-264.
  4. 김준호(2006). 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석사학위). 인제대학교, 부산.
  5. 김화중(1994). 대학생의 건강관리.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6. 민소영, 백경신(2007). 건강교육프로그램이 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지역사회간호학회지, 18(4), 562-571.
  7. 박경애(1999). 건강교육이 대학생의 신체상과 건강증진 행위에 미치는 효과(석사학위). 전남대학교, 광주.
  8. 박경우, 이병윤(1981). 정신분열증 환자의 신체상에 대한 연구. 고려대의대잡지, 18(3), 461-486.
  9. 박성태, 엄우섭(2010). 건강교육 프로그램 참여가 교육대학생의 건강관련 삶의 질,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우울증-스트레스 정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초등체육학회지, 16(2), 91-99.
  10. 박영숙(2005). 대학생의 생활체육 참여가 신체상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구체육학회지, 44(6), 857-864.
  11. 박현숙(2002). 중년여성의 우울, 건강증진행위, 자아존중감 및 낙관성에 관한 연구. 정신간호학회지, 11(3), 352-262.
  12. 백경신(2003). 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간호학회지, 14(2), 232-241.
  13. 백희정, 이숙정, 고영애, 양선희(2011). 간호대학생의 건강증진 생활양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5(1), 73-83.
  14. 신경림, 김애경, 박인숙, 성명숙, 이영희, 조명옥(2005). 간호교육론. 서울 : 현문사.
  15. 심규범(2007). 전문대학생들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요인.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지, 8(2), 35-48.
  16. 윤현숙, 조영채(2005). 일부 대학생들의 생활습관병에 대한 예방태도와 건강행동. 건강증진학회지, 22(4), 229-244.
  17. 이태진(2006). 저소득층의 건강증진 활동 실태와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건강증진사업지원단.
  18. 임승현(2009). 대학생의 지각된 신체상이 정서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6(2), 783-794.
  19. 정영해, 서남숙, 문소현(2011). 성별에 따른 일부 대학생의 건강증진 행위 관련요인.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지, 12(2), 29-42.
  20. 정용민, 정상훈(2011). 대학생의 지각된 신체상 불일치에 따른 신체불만족과 사회적 체형불안. 한국체육과학회지, 20(5), 423-437.
  21. 진은희(2007). 남, 여 대학생들의 신체상 인지에 관한 비교연구.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1(1), 67-74.
  22. 최정(2007). 중년여성의 부부조화도와 자기효능감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기본간호학회지, 14(4), 507-514.
  23. 최정미, 문인옥(2005). 일부대학생의 자기 효능감이 건강증진 행위에 미치는 영향. 대한보건연구, 31(2), 105-113.
  24.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215. https://doi.org/10.1037/0033-295X.84.2.191
  25. Bloom, B. S. (Ed) (1956).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The classification of educational goal. NewYork, NY: Longman.
  26. Dinger, M. K. & Waigandt, A. (1997). Dietary intake and physical activity behaviors of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Americ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11(5), 360-362. https://doi.org/10.4278/0890-1171-11.5.360
  27. Gallant, M. P. & Dorn, G. P. (2001) Gender and race differences in the predictors of daily health practices among older adults. Health Education Research, 16(1), 21-31. https://doi.org/10.1093/her/16.1.21
  28. Kim, S. (2001). Factors affecting Health Promotion Behaviors among Korean Immigrant Women at Midlif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29. Pender, N. J. (1987). Health promotion on nursing practice. 2nd rev ed.. Norwalk, Conn: Applection & Lange.
  30. Walker, S. N., Sechrist, K. R. & Pender, N. J. (1987). The health-promotion lifestyle profile :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Nursing Research, 36(2), 76-81.
  31. Walker, S. N., Sechrist, K. R. & Pender, N. J. (1995). The health-promoting lifestyle profile-II. College of Nursing, University of Nebraska Medical Cen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