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Effects of Conjugal Relations of Baby Boomers on the Preparation for Old Age - Focus on the Comparison with the Pre-Elderly

베이비부머의 부부관계특성이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예비노인과 비교를 중심으로

  • Kim, Mee Hye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Ewha Womans University) ;
  • Moon, Jung Hwa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Ewha Womans University) ;
  • Shin, Eun Kyung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Ewha Womans University)
  • 김미혜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
  • 문정화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
  • 신은경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 Published : 2012.10.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gure out the degree of preparation for old age and characteristics of the baby boomers' conjugal relations. It is for suggesting appropriate preparation plan for old age from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effect of conjugal relations on the preparation for old age between the baby boomers and the pre-elderly. We gathered the information about 965 baby boomers (Born in 1955~1963) and 903 pre-elderly people (Born in 1945~1954) from 15 areas of cities and countryside across the nation.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group difference between the baby boomers and the pre-elderly in the level of physical preparation, economical preparation and social preparation for the old age, which was the level of "I am preparing for the old age". Results show that the baby boomers are doing better preparation for old age in the leisure and hobby. The gender role variables such as equal labor sharing, joint account of real estates, joint account of asset management and the discussion variables about preparation for old age in conjugal relations have no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but the baby boomers are lower in satisfaction for relationship with spouse than the pre-elderly. Among the variables of conjugal relation category, equal labor sharing in gender role category has effect on the social degrees of preparation in the baby boomers, and joint account of asset management has effect on the economical degrees of preparation in the pre-elderly. Satisfaction of relationship with spouse has effect on the social preparation in both groups and the degree of discussion about preparation for old age also has effect in both groups. With this result of research, it is suggested that practical implication as well as further study on the preparation for old age in the baby boomers and the pre-elderly is needed.

Keywords

References

  1. 강기정.변미희(2009). 다문화 가족 남편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부부관련 변인.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3(3), 123-136.
  2. 강유진(2005). 한국 성인세대의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30․40․50대 기혼남녀를 대상으로.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16(4),159-174.
  3. 고정옥․김정숙(2009). 중년여성소비자의 라이프 스타일과 노후생활 준비행동에 관한 연구. 소비자정책교육연구, 5(3), 17-39.
  4. 김길현.하규수(2012). 노년기 부부관계요인이 결혼만족도 및 이혼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지, 12(5), 256-271.
  5. 김백수․이정화(2010). 중년층의 사회적 노후준비 결정요인분석: 성차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1(3). 411-425.
  6. 김선영(2004). 결혼만족도와 이혼의도에 관련된 부부관계와 성격특성요인에 관한 연구.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김성희(1996). 중년여성의 노후생활 준비에 관한 연구 조사.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순옥(1989). 한국의 가족의사소통연구에 대한 고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7(2), 78-89.
  9. 김양이․이채우(2008). 중년층의 노후준비 수준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19, 55-82.
  10. 김영주(1990). 부부의 성역할 성향이 가족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김윤정․최윤희(2004). 중년기 부부의 결혼만족도가 노후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24, 197-213.
  12. 김은숙(2001). 부부갈등 및 부부관계 특성과 아동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성향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김정석․최형주(2011). 노년부부가구 남편과 부인의 부부관계 만족도. 한국인구학회지, 34(2), 1-15.
  14. 김정원(1987).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부부의 적응에 관한 조사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김주성․최수일(2010). 라이프스타일이 노후준비도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회지, 15(3), 97-119.
  16. 김태호(2011). 베이비부머 성공적 노후에 관한 연구: 베이비부머 성공적 노후준비는?. 숭실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7. 김현주(2003), 부부의 경제 및 가사역할의 수행과 인식수준에 따른 결혼만족도. 가족과 문화, 15(1), 97-130.
  18. 김혜연(2005). 맞벌이 부부가계의 은퇴계획: 남편과 부인의 은퇴예상연령 및 관련변인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9(1), 113-130.
  19. 김효정(1999). 부부의 가계재무관리행동과 재정만족도에 관한 연구: 부산 및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인제논총, 15(1), 245-262.
  20. 나일주.임찬영.박소화(2008). 한국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 대비를 위한 정책 방향: 국가인적자원개발측면에서. 노인복지연구, 42(4), 151-173.
  21. 나지나.백승애.신은경.김미혜(2010). 결혼해체를 경험한 베이비부머 여성의 경제적 노후준비여부에 관한 연구. 보건사회연구, 30(2), 29-54.
  22. 매일경제(2011. 9. 21). 위기의 '베이비부머' 50대초 이혼도 급증.
  23. 매일경제(2012. 10. 1). 집안일 많이 할수록...이혼율의 반전.
  24. 박창제(2008). 중․고령자의 경제적 노후준비와 결정요인, 한국사회복지학, 60(3), 275-297.
  25. 박창제(2011). 베이비부머의 노후를 대비한 사적 재무적 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보장연구, 27(4), 327-351
  26. 방하남․이선균․우석진․김기헌․김지경(2011). 베이비붐 세대의 근로생애와 은퇴과정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27. 배계희(1988). 중년기의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8. 변미리(2010). 서울의 베이비붐 세대, 도시의 미래를 변화시킨다. SDI 정책리포트,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9. 손희란․송선희(2011). 여성결혼이민자의 라이프 스타일, 부부관계 만족도, 노후준비의식에 관한 연구: 충청남도지역 여성결혼이민자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9(10), 57-69.
  30. 신연희(2010). 베이비붐 세대 실태에 관한 조사 : 위기의 베이비붐세대, 사회적 해결책은 있는가?. 한국가정법률상담소, 7-100.
  31. 신연희(2010). 베이비붐 세대를 통해 본 노인범죄 전망: 가족의 지지자원을 중심으로. 아시아교정포럼 학술지, 4(2), 115-148.
  32. 신하연(1997). 중년기 소비자들의 경제적 노후대비 수준과 실버타운에 관한 요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안현정(2003). 국제결혼 부부의 결혼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남성과 필리핀여성 부부를 중심으로. 초당대학교 산업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양영순(2009). 남편의 은퇴준비도와 아내의 결혼만족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27, 5-34.
  35. 옥선화․정민자(1984). 가족스트레스와 사회심리학적 가족자원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 79-92.
  36. 우명순(2008). 중년기 기혼남녀의 부부친밀감에 관한 연구; 자아정체감, 부부의사소통, 양성평등의식을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37. 여성한국사회연구회(1997). 한국가족의 부부 관계. 서울: 사회문화연구소.
  38. 유영주.김순옥.김경신(2010). 가족관계학. 제 2개 정판. 서울: 교문사.
  39. 유인순․최수일(2012). 베이비부머의 성격특성이 노후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천안지역 공단 근로자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지, 12(4), 246-262.
  40. 이선형․최은희(2010). 안정적 노후준비 가계의 특성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예비노인의 경제적 노후준비를 중심으로. 한국가족경영학회지, 14(4), 193-194.
  41. 이여봉(2010). 부부역할과 여성의 결혼만족도: 연령범주별 분석. 한국인구학, 33(1), 103-131.
  42. 이정화(2009). 광주․전남 중년층의 노년기 인식과 신체적, 경제적, 사회적 노후준비: 성차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0(2), 275-289.
  43. 이진숙.최원석(2011). 기혼 직장여성의 일-가족양립갈등 경로에 관한연구. 아시아여성연구, 50(1), 169-198.
  44. 임경숙(2010). 다문화가정 여성들의 노후생활준비의식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임상간호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5. 전진우(2002). 중년층 노후대책에 관한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46. 정경희․이소정․이윤경․김수봉․선우덕․오영희․김경래․박보미․유혜영․이은진 (2010). 베이비부머의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 연구보고서 2010-30-18, 한국보건사회연구원.
  47. 정경희(2012). 베이비 부머의 가족생활과 노후 생활전망. 보건복지포럼, 187, 40-49.
  48. 정순둘(2012). 타연령층과 비교한 베이비붐 세대의 가족특성. 제 7차 베이비붐 세대 미래구상포럼, 41-76.
  49. 정영자(2011). 울산광역시 베이비부머의 노후준비 및 생산활동에 관한 연구. 울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0. 정현숙 유계숙(2001). 가족관계. 서울: 학지사.
  51. 정혜정.김정훈(1996). 부부의 의사소통 이해도에 따른 가계관리행동과 재정만족도의 차이. 원광대학교 논문집, 15, 71-83.
  52. 조추용․송미영․이근선(2009). 중년층의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노인복지연구, 43, 135-156.
  53. 조혜숙.최수일(2011). 노년기 부부관계요인이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지, 11(11), 313-328.
  54. 조혜진(2012). 베이비부머의 건강에 대한 인식 및 노후의료비 준비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2), 123-143.
  55. 주소현.김정현(2011). 세대별 개인재무관리 관련 태도 및 행동분석: N, X, 베이비부머, 전쟁세대를 중심으로. 소비자정책교육연구, 7(3), 123-146.
  56. 차승은․한경혜(2003). 직업, 가족, 그리고 중년기 신체적 건강. 가족과문화, 15(2), 33-60.
  57. 최규련(1994). 가족체계 유형과 부부간 갈등 및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2(2), 140-152.
  58. 최행식.김지선(2006). 부부재산 공동명의에 대한 시민 의식조사. 원광법학, 22(2), 419-454.
  59. 추기철(2000). 한국 중년층의 노후대책에 대한 실증적 연구-서울시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0. 추현화.박옥임.김진희.박준섭(2008). 결혼이주여성 남편의 가족스트레스, 사회적 지지가 결혼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회지, 13(4), 85-101.
  61. 통계청(2010). 2010 고령자 통계.
  62. 통계청(2011). 2011 장래인구추계.
  63. 편상훈.정영자(2011). 울산광역시 베이비붐세대의 노후 생활 활동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자치연구, 12(4), 155-184.
  64. 한경혜(2010). 한국의 베이비부머: 라이프코스와 생활세계에 대한 이해. 2010년 한국노년학회 춘계학술대회.
  65. 한경혜․최현자․은기수․이정화․주소현․김주현(2011). Korean Baby Boomers in Transition: 한국의 베이비부머 연구.
  66. 한국일보(2012. 9. 4). 하루 11시간 '넘치는 자유'.
  67. 황승일(2000). 초기노인의 노후관련태도와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대구효성카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8. Deacon. R. E., & Firebaugh. F. M.(1988). Family Resource Management: Principles and Applications. 2nd ed,,Boston: Allyn and Bacon.
  69. Granovetter, Mark.(1985). "Economic Action and Social Structure: The Problem of Embeddedness."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1: 481-510. 장상수 역. "경제행위와 구조", 공유식, 김혁래, 박길성, 유홍준 편저. 1994. 신경제사회학의 이해. 서울: 역사비평사. pp. 213-242.
  70. Hiller, D.V. & Philliber, W.W.(1986). "The Division of Laver in Contemporary Marriage: Expectations, Perceptions, and Performance". Social Problems 3: 191-201.
  71. J.W. Rowe and R.L.Kahn.(1997). successful aging. the gerontologist, Vol. 49, 443-440.
  72. Levenson, R.W., Carstensen, L.L., & Gottman, J.M.(1993). Long-term marriage: age, gender and satisfaction. Psychology and Aging, 8(2), 301-313. https://doi.org/10.1037/0882-7974.8.2.301
  73. S. B. Laditka.(2009). Attitudes about aging well among a deverse group of older Americans; implications for promoting cognitive health. the gerontologist. vol. 49. 1-39. https://doi.org/10.1093/geront/gnp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