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Demands of Internationally Married Female Immigrants in Urban-rural Area for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도농복합지역 결혼이주여성의 다문화가족지원 요구도

  • Kim, Jung Ok (Dept. of Family Life Welfare & Housing,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 김정옥 (대구가톨릭대학교 생활복지주거학과)
  • Published : 2012.10.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emands of internationally married female immigrants in urban-rural area. For this study, the data of 100 female immigrants living in Chilgokgun were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First, the respondents showed high demands for Korean language lessons, educational home visits, and job. Second, relative to the high demands of family counseling service, the satisfaction and utilization rate of it were low. Third, the statistics showed that the satisfaction from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was dependent upon income, marriage years, and Korean language proficiency. On the other hand, nationality, educational background, income, and Korean language proficiency affected demands.

Keywords

References

  1. 강득자(2009). 농촌지역 다문화가족의 가정생활 실태에 관한 연구:가족가치관, 부부관계 및 생활만족도를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강순원(2010). 다문화사회 세계시민교육의 평생교육적 전망. 평생교육학연구, 16(2), 69-91.
  3. 강순원(2009). 포스트콜로니얼리즘 담론으로서 다문화사회의 인권교육. 진보평론, 42(겨울), 100-120.
  4. 구차순(2007). 결혼이주여성의 적응에 관한 근거이론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교육인적자원부(2006). 다문화가정 자녀 교육지원 대책.
  6. 김갑현(2007). 국제결혼 이주여성 대상 교육프로그램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 육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경란(2006). 다문화가정자녀의 자아정체감과 사회적지지가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 국민 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오남(2006). 이주여성의 부부갈등 결정요인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남혜진(2010). 결혼이민자의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노하나(2007). 중국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문화적응유형과 이주여성이 인식한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박경태(2008). 소수자와 한국사회. 서울: 후마니타스.
  12. 박수정 . 최연실(2010).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교생활적응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검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8(6), 1-18.
  13. 박순희(2011).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지원이 결혼생활안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6(1), 89-109.
  14. 변화순(2010). 이혼상담, 조정을 위한 다문화가정의 이해. 이혼상담, 조정심화교육집.
  15. 보건복지부(2008). 다문화가족 생애주기별 맞춤형 서비스 지원강화 계획.
  16. 보건복지부(2005). 국제결혼 이주여성 실태조사 및 보건복지 지원정책방안.
  17. 브래태니커세계백과사전(1994).
  18. 설규주(2004). 세계시민사회의 대두와 다문화주의적 시민교육의 방향. 사회과 교육, 43(4), 31-54.
  19. 성지혜(1996). 중국교포여성과 한국남성간의 결혼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신영채(2010). 다문화가정의 지원정책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경기도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양영자(2008). 한국 다문화교육의 개념 정립과 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색.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2. 여성가족부(2012). 2012다문화가족지원사업안내.
  23. 여성가족부(2009).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연구.
  24. 여성가족부(2008).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폭력피해 현황과 대책.
  25. 여성가족부(2006). 결혼이민자가족지원센터 지정 및 운영 현황.
  26. 여성가족부(2007). 결혼이민자 주요 출신국 국제결혼 실태파악 및 선진제도 연구.
  27. 유재신(2009). 다문화가족 자녀교육의 실태와 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윤령인(2011). 결혼이민자 여성의 자아존중감, 한국어능력, 남편의 아내모국어능력이 결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윤형숙(2005). 외국인 출신 농촌주부들의 갈등과 적응:필리핀 여성을 중심으로. 지방사와 지방문화, 8(2), 299-339.
  30. 이영미(2005). 취업모의 자녀양육지원제도에 대한 인식 및 요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6), 95-105.
  31. 이오복(2009).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서비스 이용을 통한 정착과정에 관한 근거이론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4(4), 25-56.
  32. 이용승(2011). 한국적 다문화주의 모색을 위한 시론. 글로벌시대의 다문화정책. 경상북도.
  33. 이용승(2010). 다문화주의의 이론적 검토와 정당화. 민족연구, 41, 18-52.
  34. 이주재 . 김순규(2010), 결혼이주 여성의 사회관계망이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5(4), 73-91.
  35. 이태주(2007). 국경을 넘어 세계로 나간 한국인들의 다문화 경험. 다문화사회의 이해, APCEIU엮음, 파주: 동녘, 166-192.
  36. 이혜경(2009). 다문화가족지원정책의 유형화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25, 147-166.
  37. 장명선 . 이옥경(2008). 서울시 다문화가족 실태 및 지원체계 구축방안 연구. 서울시 여성가족재단.
  38. 장은정(2007). 국제결혼한 한국남성의 결혼적응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9. 전만길(2010). 다문화가족의 현황과 발전방향. 부산시건강가정지원센터.
  40. 정귀자(2009).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 적응과 통합지원 정책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최연화 . 조복희(2007). 취업모의 직장환경, 양육시간에 따른 일-어머니 역할 갈등. 한국보육지원학회지, 3(1), 1-15.
  42. 출입국(2011). 2010년도 출입국.외국인정책통계연보.
  43. 출입국(2012). 2011년도 출입국.외국인정책통계연보.
  44. 한건수(2007). 국내 체류 이주노동자 자녀 및 청소년 이주민의 삶과 정체성. 다문화사회의 이해, APCEIU엮음, 파주: 동녘, 52-84.
  45. 한건수(2006). 농촌지역 결혼이민자여성의 가족생활과 갈등 및 적응. 한국문화인류학, 39(1), 195-243.
  46. 한경구 . 한건수(2007). 한국적 다문화사회의 이상과 현실:순혈주의와 문명론적 차별을 넘어. 한국사회학회 연구보고서.
  47.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09). 다문화가족의 증가와 인구의 양적, 질적 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48. 한국여성정책연구원(2007-2008).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사회서비스 현황과 정책과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49. 한국여성정책연구원(2007). 여성결혼이민자에 대한 지역사회의 수용성연구. 한국여성개발원 연구보고서.
  50. 행정안전부(2011). 지방자치단체행정구역 및 인구현황.
  51. 허명옥(2009). 다문화가족의 평생교육 요구 분석.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2. 홍기혜(2000). 조선족 여성과 한국 남성간의 결혼을 통해 본 이주의 성별 정치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3. 홍소연(2008). 여성결혼이주자 지원정책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4. Gottlieb, B.H. and Bergen, A.E.(2009). Social Support Concepts and Measures.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1-10.
  55. Jarvis, P.(2007). Globalization, Lifelong Learning and The Learning Society. London & New York:Routled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