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imation of Agricultural Water and Land Required to Substitute the Import of Feed-grain for Domestic Production

수입사료 곡물의 국내생산을 위한 농업용수 및 농경지 필요량 계측

  • Yoo, Seung-Hwan (Department of Rural Systems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
  • Im, Jeong-Bin (Department of Agricultural Economics and Rural Development, Seoul National University) ;
  • Choi, Jin-Yong (Department of Rural Systems Engineering & Research Institute for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Lee, Sang-Hyun (Department of Rural Systems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 유승환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
  • 임정빈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
  • 최진용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 이상현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 Published : 2012.09.30

Abstract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stimate an additional agricultural water and land needed for substituting the import of feed-grain such as maize and wheat for the domestic production using the 'virtual water' concept. The amount of imported corn and wheat for feed from 2001 to 2010 was surveyed and the virtual water import was estimated. The virtual water of the imported corn and wheat were $6,757Mm^3/yr$ and $1,405Mm^3/yr$ on average. Accordingly, the imported virtual water could be substituted for $8,162Mm^3/yr$ of agricultural water resource and 2,230 thousand ha of cultivation area for the domestic production of both crops. They are amounted to 51.5% of total agricultural water demand in Korea. The virtual water of the imported corn and wheat should be considered in the aspect of sustainable agricultural production and water management, and these results could be applied to establish a long-term policy about agricultural water resource and land-use.

본 연구에서는 2001년부터 2010년까지의 사료용 옥수수 및 밀의 수입량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가상수 개념을 활용하여 사료 곡물 수입에 따른 농업용수 및 농경지 대체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사료용 옥수수와 밀을 통하여 수입되는 가상수는 평균적으로 6,757백만 $m^3/yr$ 및 1,405백만 $m^3/yr$ 씩 수입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두 사료곡물을 통하여 약 8,162백만 $m^3/yr$ 만큼의 농업용수를 대체 효과가 있음을 의미하는데, 이는 농업용수 수요량의 51.5%에 해당되는 양이다. 한편 전적으로 해외수입에 의존하는 사료용 옥수수와 밀을 국내 생산으로 대체하기 위해 필요한 잠재적 농경지 면적은 평균적으로 1,945천 ha와 285천 ha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와 같이 대외 의존도가 높은 상황에서 곡물 수급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 농작물 생산에 필요한 기술 등의 여력이 충분하더라도 수자원 및 농경지 부족으로 필요한 양의 농작물 생산에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다. 특히 한정된 수자원에 대하여 농업, 생활 및 공업용수 등의 이용에 대한 갈등을 야기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사료용 옥수수와 밀의 수입을 통한 농업용수의 양과 경작지 대체 면적이 많은 상황에서 정부는 2010년 기준으로 37.5%인 자급률을 2015년과 2020년에 각각 41.2%와 44.4%로 목표치 설정하였다. 이와 같이 설정한 식량자급률 목표치 달성을 위해서는 사료용 곡물의 국내생산 증대가 불가피함을 고려할 때, 향후 사료용 곡물 국내생산을 위한 농업용수와 경작지 확보가 필수적이며, 이를 위한 다양한 정책 수립시 수자원 및 농경지 소요량 추정 등의 기초 자료로 본 연구 결과가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축산사료의 주요 원료인 옥수수와 밀에 초점을 두고 연구가 이루어졌는데, 향후 기타 사료작물 및 조사료에 관련된 연구가 추가로 이루어 진다면, 보다 종합적으로 국내 사료용 곡물의 국내자급 향상을 위한 정책대응 방안 탐색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Allan, J. A. 1998. Virtual water: A strategic resource global solutions to regional deficits, Ground Water, 36: 545-546. https://doi.org/10.1111/j.1745-6584.1998.tb02825.x
  2. Chapagain, A.K. and Hoekstra, A.Y. 2004. Water footprints of nations, Value of Water Research Report Series No. 16. UNESCOIHE Institute for Water Education.
  3. Kim, J.J., Park, S.J. and Park, J.J. 2011. Necessity of water management policy utilizing virtual water trade concept. Water for Future 44 (1):103-110.
  4. Yoo, S.H., Choi, J.Y., Kim, T.G. Im, J.B. and Chun, C.H. 2009. Estimation of crop virtual water in Korea.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2 (11): 911-920 (in Korean). https://doi.org/10.3741/JKWRA.2009.42.11.911
  5. Yoo, S.H., Kim, T.G., Choi, J.Y. and Im, J.B. 2011. Estimation of the international virtual water flow of grain crop products in Korea. Paddy Water Environ (DOI 10.1007/s10333-011-0267-1).
  6. 건설교통부. 2006. 수자원장기종합계획 (Water Vision 2020).
  7. 농림수산식품부. 2011. 농림수산식품 주요통계.
  8. 농림수산식품부. 2010. 식량자급률 개념정립 및 새로운 목표치 설정 연구.
  9. 농수산물유통공사. Homepage. 2012. Available at http://www.kati.net/
  10. 농촌진흥청. 2012. 품목별 관리메뉴얼, http://www.rda.go.kr/, accessed 2012. 04. 27.
  11.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1. 식품수급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