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the Effects on Users' Emotional Changes by 2D and 3D Emotional Video Contents

2차원과 3차원 감성영상콘텐츠가 사용자의 감성 변화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 김민영 (상명대학교 대학원 컴푸터과학과) ;
  • 박경신 (단국대학교 공학대학 멀티미디어공학과) ;
  • 김동근 (상명대학교 소프트웨어대학 디지털미디어학부) ;
  • 조용주 (상명대학교 소프트웨어대학 디지털미디어학부)
  • Published : 2012.09.30

Abstract

Recently, there are many attempts to create emotional contents that respond to human emotion in the area of affective computing. However, the effects of such contents where they help users be more immersed into the contents or give users more fun have not been studied extensively. In this research, we conducted an experiment to find out if more users' emotional changes could be made by emotional video contents, which provide visual and aural feedbacks based on user emotion. We used ANS (autonomic nervous system) physiological data, such as Photoplethysmogram (PPG), Galvanic Skin Response (GSR) and Skin Temperature (SKT) to analyze users' emotional state changes. Moreover, we collected Electroencephalogram (EEG) and subjective post-test surveys to analyze the user's immersiveness, fatigue, and interest. First, this paper describes the emotional video system followed by the experiment protocol and method. Then, it discusses analysis results on both objective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and subjective response data.

최근 감성공학 분야를 중심으로 인간의 감성에 반응하는 콘텐츠 개발이 많이 시도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감성 콘텐츠가 사용자의 몰입이나 재미를 보다 극대화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본질적 효용성을 직접적으로 논의되진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감성 영화 콘텐츠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물리적인 감성을 인식하여 이에 반응한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더 큰 감성적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실험을 진행하였다. 사용자 감성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피부온열반응(SKT), 피부전기저항(GSR), 심박반응(PPG) 등의 자율신경계(ANS) 반응을 살펴보았다. 또한 뇌파(EEG)와 실험 후 주관적인 질의응답을 통해서 사용자의 몰입도와 피로감, 재미 등의 요소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실험에 사용된 감성 영상 콘텐츠 시스템에 대하여 서술하고, 실험 설계와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실험 결과 사용자로부터 관찰된 객관적인 생리 반응 및 주관적인 반응에 대한 분석한 결과를 토론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석현정, 정상훈, 박종민, 박진영, 정은빛, "사진 이미지의 색조 변화에 따른 감성적 반응연구," 디자인학연구, 통권 제73호, Vol. 20, No. 5, pp. 229-238, 2007년 11월.
  2. 유길상, 김인우, 연제혁, 이동재, 이원형, "기능성 게임 콘텐츠 설계 및 신체적 감성변화 분석,"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제6호, pp. 34-39, 2005년 6월.
  3. 정재범, 최문기, 조성호, 이원형, 남기춘, "감성 공학과 게임을 위한 정서의 정의와 활용,"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제7호, pp33- 42, 2005년 12월.
  4. 임소혜, 정지인, "3D 영상의 입체성이 콘텐츠 특성에 따라 이용자의 심리적 반응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6호, pp. 211-222, 2012년 6월.
  5. 권혁인, 이현정, 박진완, "2D영상과 3D 입체영 상에서의 액션 어드벤처 게임 몰입도 비교,"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호, pp. 157-164, 2011년 1월.
  6. 서재용, 김종원, 조현찬, "디스플레이 장치의 인간 친화적인 지능형 색체 조절 시스템,"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제17권 제1호, pp. 13-18, 2007년 2월.
  7. 정우석, 심해영, 양길태, 나승용, 김연희, 김남균, "색채환경이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pp. 1-2, 2000년 10월.
  8. 조은정, 권상희, 조병철, "3D TV 영상의 장르별 프레젠스 인식 특성 연구," 한국방송공학회 논문지, 제24권, 제4호, pp. 253-292, 2010년 7월.
  9. 유은아, 황인호, 이유선, 주희엽, "3D 입체 영화의 만족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3호, pp. 167-178, 2011.
  10. 김민영, 박경신, 조용주, "감성 캐릭터 표현을 위한 iOS 기반의 게임 프레임워크 설계 및 구현,"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제24권, 제1 호, 2011년 3월.
  11. J. Posner, A. Russell, B. S. Peterson, "The circumflex model of affect: An integrative approach to affective neuro science, cognitive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vol. 17, pp. 715-734,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