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n Oral Health and Child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through School-based Toothbrushing Program in School after 42 Months

42개월 경과시점의 양치교실사업이 구강건강과 아동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 Cho, Min-Jeong (Department of Public Health,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 Welfare, Konyang University) ;
  • Koong, Hwa-Soo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College of Medical Science, Konyang University) ;
  • Hwang, Soo-Jeong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College of Medical Science, Konyang University) ;
  • Song, Eun-Joo (Daejeon Dong-gu Public Health center) ;
  • Choi, Yu-Kyoung (Daejeon Dong-gu Public Health center)
  • 조민정 (건양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보건학과) ;
  • 궁화수 (건양대학교 의과학대학 치위생학과) ;
  • 황수정 (건양대학교 의과학대학 치위생학과) ;
  • 송은주 (대전 동구보건소) ;
  • 최유경 (대전 동구보건소)
  • Published : 2012.04.30

Abstract

Daejeon school-based toothbrushing program using toothbrushing room started at 200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tarted national toothbrushing room program without pilot project at 2011.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basic data to assess of the effect of this program. 59 experimental subjects and 60 control subject were selected after written consent. Oral Examination was done by 1 dentist using WHO standard and Survey of Child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COHIP), oral health knowledge and oral health behavior were done using self-registration form. We analyzed the result after adjusting economic status and subjective for the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using SPSS 19.0. The experimental group had lower plaque index, better COHIP and more oral health knowledge significantly(p<0.05). But, The significance was not found in dental caries index and oral health behavior. We suggested the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and other dental caries prevention program including sealants were needed to prevent dental caries, although school-based toothbrushing program could improve COHIP.

본 연구는 2007년부터 시작된 대전 양치교실사업의 효과를 평가하고자 양치교실 실험군 59명과 대조군 60명을 대상으로 하여 2011년 6월- 9월까지 구강검사와 COHIP를 비롯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두 군 간의 경제적 상태와 주관적인 건강인식에 차이를 보여 이들 변수를 통제한 후 자료를 분석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양치교실이 있는 실험군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우식경험영구치수, 우식경험영구치면수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양치교실이 있는 실험군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치면세균막지수는 유의하게 낮았다(p<0.05). 3. 양치교실이 있는 실험군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아동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이 유의하게 양호하였다(p<0.01). 4. 양치교실이 있는 실험군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불소와 치아홈메우기 사업에 관한 지식이 유의하게 높았다(p<0.01). 5. 양치교실이 있는 실험군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구강보건행위면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6. 대조군이 양치교실이 있는 실험군과 비교하여 학교집단잇솔질사업에 관한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p<0.05) 따라서, 초등학교 양치교실사업은 치면세균막지수 감소효과와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 증진효과를 가지고 있으나 치아우식경험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부가적인 치아우식예방법이 요구되며 양치교실 운영시 양치교실이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도록 운영방안과 학생들의 동기를 유발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고 사료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Ware JE, Sherbourne CD: The MOS 36-item short-form health survery as a health measure: the predictive value of self-reported health status on the use of physician services and mortality in the working-age population. J Clin Epidemiol 50(5): 517-528, 1997. https://doi.org/10.1016/S0895-4356(97)00045-0
  2. 조민정: 치면세균막 관리점수에 영향을 미치는 반복 직접 잇솔질교육 효과[박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대학원, 대구, 2010.
  3. 김화중: 초중고 보건교과 모형과 이의 운영 방한 연구. 한국학교보건학회지 6(2): 122-136, 1993.
  4. 유재순: 청소년기의 건강증진과 학교보건교육의 발전방향. 한국학교보건학회지 13(1): 63-84, 1998.
  5. 김진: 초등학생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생활양식 도구 개발[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서울, 2009.
  6. 배광학 등: 성인대상 치간배천회전 잇솔질 교육방법의 효과에 관한 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4(1): 33-47, 2000.
  7. 이은숙, 백대일, 김종배.: 성인대상 치간배천회전 잇솔질 교육방법의 효과에 관한 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6(4): 579-591, 2002.
  8. Vered Y, Zini A, Livny A: Changing dental caries and periodontal disease patterns among a cohort of Ethiopian immagrants to Israel:1999-2005. BMC Public Health Oct 2(8): 345-348, 2008.
  9. 최용금 등: 초등학교 고학년대상 회전법과 바스법의 잇솔질 수행 난이도와 치면세균막제거효과비교. 대한구강보건학회지 32(3): 329-338, 2008.
  10. Podshadley AG, Shannon JH: Oral hygiene performance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following dental health education. ASDC J Dent Child. 37(4): 298-300, 1970.
  11. 박후섭 등: 대전양치교실사업 30개월 경과시점의 구강병 예방 효과. 치위생과학회지 11(2): 91-97, 2011.
  12. 박후섭 등: 대전 초등학교 양치교실을 이용한 학교집단 잇솔질사업의 평가. 대한구강보건학회지 33(3): 474-483, 2009.
  13. Broader HL, Wilson-Genderson M: Reliability and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of the child oral health impact profile.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35(supple 1): 20-31, 2007.
  14. Broader HL, Mcgrath C, Cisneros GJ: Questionnaire development: face validity and item impact testing of the child oral health impact profile.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35(supple 1): 8-19, 2007.
  15. Ahn YS et al: Validation of a Korean version of the Child Oral Health Impact Profile(COHIP) among 8-to 15-year-old school children. Int J Paediatr Dent Nov 17, 2011. doi:10.1111/j.1365- 263X.2011.01197.x.[Epub ahead of print]
  16. 학교구강보건실 및 양치교실 설치 운영사업 http://oralhealth.hp.go.kr/policy/policy_2.jsp(검색일자 2011년 12월 5일)
  17. 장기완 등: 구강보건교육학. 4판. 고문사. 서울, pp.1-49, 2007.
  18. Ravaghi V et al: Comparison of the COHIP and OHIP-14 as measures of th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adolescents. Community Dent Health 28(1): 82-88, 2011.
  19. Dunlow N, Phillips C, Broder HL: Concurrent validity of the COHIP.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35(Supple 1): 41-49, 2007.
  20. Bos A, Hoogstraten J, Zentner A: Perceptions of Dutch orthodontic patients and their parents on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gle Orthod 80(2): 367-372, 2010. https://doi.org/10.2319/031109-141.1
  21. Geels LM et al: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children with craniofacial conditions. Cleft Palate Craniofac J 45(5): 461-467, 2008. https://doi.org/10.1597/07-046.1
  22. Bos A, Prahl C.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Dutch children with cleft lip and/or palate. Angle Orthod 81(5): 865-871, 2011. https://doi.org/10.2319/070110-365.1
  23. 김혜영: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른 구강건강실태와 구강건강행위에 관한연구-공교의료보험 피보험자를 중심으로[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 2002.
  24. 조임숙: 학교구강보건사업 및 학부모의 사회경제적 수준이 아동의 치아건강에 미친 영향 비교 연구[석사학위 논문]. 건국대학교 대학원, 서울, 2004.
  25. 한지형, 황지민: 과천시 학교구강보건실 운영 및 비운영학교 학생의 구강보건의식에 관한 비교. 치위생과학회지 8(1): 28-33, 2008.
  26. 안용순, 장종화, 이영수: 안양시 B 초등학교 학교구강보건실 운영사업이 학생구강건강에 미치는 효과. 치위생과학회지 8(4): 375-380, 2008.
  27. 최유경 등:. 대전광역시 동구 일부 학교구강보건실의 구강보건사업의 평가. 대한구강보건학회지 32(3): 386-395,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