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aluation of Etiological Factors for Injuries at Oral and Maxillofacial Area

구강악안면부 외상발생의 역학적 평가

  • Bae, Sung-Suk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Hanseo University) ;
  • Hwang, Soon-Jung (Departmen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School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배성숙 (한서대학교 치위생학과) ;
  • 황순정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 Published : 2012.08.31

Abstract

In this study, 1,495 cases of computerized data collected as disease entities of oral and maxillofacial injuries among patient visiting S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Seoul in 2009 were analyzed and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It was found that the injury incidence in male was greater than in female (1.49:1), it occurred most frequently in the age of 7~14 years old (19.6%), and its most frequent cause was falling down (25.9%). Injuries occurred in other place including beach and open-air (24.7%) most frequently, often developed in anterior teeth (43.2%) and posterior teeth (43.1%), their incidence was relatively higher between 15:00~17:00 (10.4%) and 19:00~23:00 (7.1%) O'clock.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uses of the injury and the diagnosis based on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 falling, fall, impingement, violence, traffic accident, sports and own making accident caused most frequently lip and oral open injuries (S01.5), open fracture of tooth (S02.51), close fracture of tooth (S02.50), close fracture of mandible (S02.60), close fracture of tooth (S02.50), respectively. From the above result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general characteristics of oral and maxillofacial injuries and to consider their trends for the establishment of systematic complement policies and for the performing safety training and public relations activities.

본 연구는 서울에 위치한 야간 응급실이 있는 S 대학병원의 2009년 1월 1일부터 2009년 12월 31까지 내원한 환자 중 구강악안면부 외상 상병명(한국질병 분류기호: S01.5, S02.40, S02.41, S02.50, S02.51, S02.60, S02.61, S03.2)으로 집계된 1,696건의 자료 중 1,495건의 전산 통계자료를 이용하여, 구강악안면 외상발생 요인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고 평가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성별 외상발생 남녀비는 1.49:1로 남자에서 더 많았고 남자가 894명(59.8%), 여자가 601명(40.2%)으로 나타났다. 2. 연령별로 외상발생은 7~14세(19.6%)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50~59세(13.7%), 60~69세(12.6%), 20~29세(11.8%), 30~39세(10.8%), 40~49세(9.6%), 6세 이하(9.4%), 70세 이상(605%), 15~19세(6.0%) 순으로 나타났다. 3. 원인별로는 넘어짐(25.9%)이 가장 많았고, 부딪힘(11.8%), 저작(11.6%), 교통사고((6.0%), 폭력(5.3%), 스포츠(2.4%), 추락(0.7%)의 순으로 나타났다. 4. 장소에 대한 분포는 등산, 해변, 야외 등 기타 장소가(24.7%) 가장 많았고, 공공장소 및 사무실(19.6%), 집(19.4%), 도로 길(13.8%), 학교 유치원 어린이 집(7.9%), 운동장(5.2%), 놀이터(3.6%)와 공원(3.6%), 그리고 계단(2.0%) 순으로 나타났다. 5. 외상발생 부위는 전치부(43.2%)와 구치부(43.1%)가 많았고, 이어 악골(9.2%), 혀, 입술 및 주위조직(2.6%), 악관절(1.9%) 순이었다. 6. 외상발생 시간은 15~19시(10.4%)와 19~23시 (7.1%)가 높게 나타났다. 발생 원인별 시간은 넘어짐의 경우 15~19시(14.7%), 추락의 경우 7~11시(27.3%), 부딪힘의 경우 15~19시(22.1%), 폭력에 의한 경우 19~23시와 23~3시(26.6%)에 각각 동일하게 높게 나타났고, 교통사고의 경우 15~19시(28.9%), 스포츠 활동의 경우 15~19시(48.6%), 저작 등에서는 19~23시(3.4%)에 높게 나타났다, 7. 외상 원인별 상병명은 넘어짐의 경우 S01.5 (입술 및 구강의 열린 상처), 추락의 경우 S02.51 (개방성 치아의 파절), 부딪힘의 경우 S02.50 (폐쇄성 치아의 파절), 폭력의 경우 S02.60 (폐쇄성 아래턱뼈의 골절), 교통사고와 스포츠, 저작 등의 경우 각각 S02.50 (폐쇄성 치아의 파절)이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구강악안면부 외상사고에 대한 역학적 특성을 이해하고 경향을 고려하여 체계적인 구강악안면부 외상사고 예방대책 및 보완정책 수립과 적극적인 안전교육 및 홍보 활동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Daly B et al.: Eseential dental public health.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pp. 35-239, 2005.
  2.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 3차년도 2009 국민건강 통계. 서울: 보건복지부.질병관리본부, 352-357, 2010.
  3. Bandura A: Social cognitive theory of self-regulation.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50: 248-287, 1995.
  4. Baranowski T, Parcel GS, Perry CL: How individuals, environments and health behavior interact: social cognitive theory. In: K.Glanz, FM. Lewis, B,K, Rimer (eds). Health behavior and health education: Theory, research, and practoce (3ed). CA: Jossey Bass, San Francisco, 165-184, 2002.
  5. Heinrich HW: Industrial accident prevention, 5th ed. McGraw-Hill, New York. pp. 27, 1980.
  6. Glendo Ulf: Aetiology and risk factors related to traumatic dental injuries. Dental Traumatology 25: 19-31, 2009. https://doi.org/10.1111/j.1600-9657.2008.00694.x
  7. 박상수, 오요원, 이흥수: 초등학생의 악안면 외상 실태와 보호자의 인식에 관한 단면조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33(2): 276-287, 2009.
  8. Guyer B, Gallagher SS, Azzara CV: Prevention of childhood injuries: evaluation of the statewide childhood injury prevention program (SCIPP). Am J Public Health 79(11): 1521-1527, 1989. https://doi.org/10.2105/AJPH.79.11.1521
  9. Delattre JP et al.: Dental injuries among schoolchildren aged from 6 to 15, in Rennes (France). Endod Dent Traumato 11(4): 186-188, 1995. https://doi.org/10.1111/j.1600-9657.1995.tb00485.x
  10. Petti S, Tarsitani G: Traumatic injuries to anterior teeth in Italian schoolchildren: prevalence and risk factors. Endod Dent Traumatol 12(6): 294-297, 1996. https://doi.org/10.1111/j.1600-9657.1996.tb00530.x
  11. Glendor U et al.: Incidence of traumatic tooth injurie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in the county of Vastmanland, Sweden. Swed Dent J 20(1-2): 15-28, 1996.
  12. Hamilton FA, Hill FJ, Holloway PJ: An investigation of dento-alveolar trauma and its treatment in an adolescent population. Part 1: The prevalence and incidence of injuries and the extent and adequacy of treatment received. Br Dent J 8; 182(3): 291-295, 1997.
  13. 김성수, 김준배, 유석천: 안면외상환자의 임상적연구. 대한구강외과학회지 9: 171-175, 1983.
  14. 소병수 등: 구강악안면 외상환자의 조직손상의 양상 및 정도에 관한 임상적 연구.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지 17(3): 264-276, 1995.
  15. 강보승 등: 응급센터에 내원한 치아외상 환자의 임상적 고찰. 대한응급의학회지 13(3): 250-255, 2002.
  16. Gregory B et al.: Consumer products and activities associated with dental injuries to children treated in United States emergency departments, 1990-2003. Dental Traumatology 25: 399-405, 2009. https://doi.org/10.1111/j.1600-9657.2009.00800.x
  17. 노희진 등: 우리나라 어린이의 생활안전 행동과 구강보건행동의 관련성. 치위생과학회지 11(4): 311-317, 2011.
  18. Nakamura T, Gross CW: Facial fracture: analysis of the ten years of experience. Arch Otolaryngol 97: 288, 1978.
  19. 김영수 등: 안면골 골절에 관한 임상적 연구.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지 16: 89-98, 1994.
  20. 류수장, 윤중호: 사고 원인별 구강악안면손상의 양상 및 정도에 관한 임상적 연구. 대한 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 17: 11-19, 1991.
  21. 박현진, 남순현, 김영진: 경북대학교 병원 소아 치과에 내원한 치아외상 환자에 대한 분석. 대한소아치과학회지 20(2): 508-515, 1993.
  22. Gabris K, Tarjan I, Rozsa N: Dental trauma in children presenting for treatment at the Department of Dentistry for Children and Orthodontics, Budapest, 1985-1999. Dent Traumatol 17(3): 103-108, 2001. https://doi.org/10.1034/j.1600-9657.2001.017003103.x
  23. 유수민, 박호원: 어린이 외상성 치아손상에 관한 연구. 치위생과학회지 4(1): 21-25, 2004.
  24. Godoy FG, Godoy FMG: Primary teeth traumatic injuries at a private pediatric dental center. Endod Dent Traumatol 3: 126-129, 1987. https://doi.org/10.1111/j.1600-9657.1987.tb00613.x
  25. Uji T, Teramoto T: Occurrence of traumatic injuries in the oromaxillary region of children in a Japanese prefecture. Endod Dent Traumatol 4(2): 63-69, 1988. https://doi.org/10.1111/j.1600-9657.1988.tb00296.x
  26. 김가영: 응급실에 내원한 소아치과 외상환자에 대한 통계적 원인분석연구. 대한치과의사협회지 37(1): 897-903, 1999.
  27. 김옥경, 손흥규: 소아의 치과 외상에 관한 연구. 대한소아치과학회지 17(1): 173-188, 1990.
  28. Oneil DW et al.: Oral trauma in children: a hospital survey. Oral Surg Oral Mcd Oral Pathol 68: 691-696, 1989. https://doi.org/10.1016/0030-4220(89)90157-6
  29. Christoffel T, Gallagher SS: Injury prevention and public health: Practical knowledge, skills, and strategies. An ASPEN Publication, Maryland, p. 49, 1999.
  30. 이주환, 노홍섭: 악안면 골절에 관한 임상적 고찰.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지 14: 89-96, 1992.
  31. 이동근, 임창준, 양회창: 안면골 골절의 임상적 고찰. 대한악안면성형외과학회지 11: 12-20, 1989.
  32. 심현구, 이의웅: 연세대학교 치과병원에 내원한 야간응급환자의 임상적 연구.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 11: 259-272, 1985.
  33. Kruger GO: Textbook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5th Ed. CV Mosby Co., St. Louis, Toronto, London, pp. 195-215, 229-254, 399-407, 19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