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about Assessment on Operation Program of Local Festivals

향토지역축제 운영프로그램 평가에 관한 연구

  • Lee, Hee-Koung (Dept. of Environment Planning,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Ahn, Deug-Soo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이희경 (전북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
  • 안득수 (전북대학교 휴양 및 경관계획연구소)
  • Published : 2012.03.31

Abstract

This study aims at assessment of local festivals focused on analysis of operation program for local festivals held in Jeonbuk province. The subjects were 65 local festivals held in Jeonbuk in 2010 excluding festivals held in province, county, and town level, and those held with single purpose. Type of festivals were classified to type for residents' unity, tourism, industry, and special purpose type. The portion was industry type 36.9%, type for residents' unity 23.1% in the order. By theme, animal, plant, nature phenomenon, history, culture and tradition, special product, regional industry were classified - the portion was special product 36.9%, culture and tradition 24.6%, history 13.8%. Assessment of operation program was conducted with assessment indexes such as compliance with theme, uniqueness, diversity, effect of experience, size, educational effect, and entertainment. As a result, it appeared that because local festivals of Jeonbuk had high uniqueness, duplication of program between local festivals was very low and educational effect was comparatively high. On the other hand, because entertainment and effect of experience was very low, considerations of entertainment and effect of experience are necessary in planning of program.

본 연구는 전라북도에서 개최되는 향토지역축제의 운영프로그램 분석을 중심으로 지역축제를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2010년도에 전라북도에서 개최되는 향토지역축제 중 도, 읍면 및 마을단위에서 개최되는 축제와 단일목적형 축제를 제외한 총 65개 축제이다. 축제의 유형은 목적별로 주민화합형, 관광형, 산업형, 특수목적형으로 분류하였으며, 산업형 36.9%, 주민화합형 23.1% 순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테마별로는 동물, 식물, 자연현상, 역사, 문화와 전통, 특산물, 지역산업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으며, 특산물 36.9%, 문화와 전통 24.6%, 역사 13.8% 순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운영프로그램의 평가는 테마와의 일치성, 독특성, 다양성, 체험성, 규모성, 교육성, 오락성을 평가지표로 하여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 전라북도의 지역축제는 독특성이 매우 높아 지역축제간에 프로그램의 중복성은 아주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성도 비교적 높게 평가되었다. 반면에 오락성과 체험성은 매우 낮게 평가되어 프로그램의 기획에 있어서 오락성과 체험성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성경(2010). 경상북도 지역축제의 평가실태 분석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메타평가를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김일용(2009). 지역축제의 평가와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대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양기(2002). 지역축제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류웅걸(2008). 지역축제의 지속가능성 지표개발과 적용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류정아(2006). 한국지역축제조사평가 및 개선방안연구 총괄보고서. 문화관광부보고서.
  6. 문화관광부(1996). 한국의 지역축제.
  7. 문화관광부(2006). 문화관광축제종합평가계획 문화관광부 보고서.
  8. 문화체육관광부(2010). 문화관광축제종합평가보고서 문화체육관광부 보고서.
  9. 박근수(2001). 지역사회협력과 지역축제 기획 모형 정립에 관한 연구. 관광학연구. 25(2): 69-76.
  10. 배만규(2002). 지역축제 개최결과의 표준평가 속성 개발. 관광연구. 17(1): 175-194.
  11. 백선혜(2006). 도시문화전략 차원의 지역문화 축제 평가요소 비교분석. 관광경역학연구. 10(2): 73-100.
  12. 서정수(2002). 문화관광축제의 평가속성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서휘석, 이동기(2000). 물리적 환경이 지역축제의 만족과 재방문 및 구전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보. 34(1): 229-243.
  14. 손대현, 박상현(2000). 메가이벤트의 방문동기와 만족에 관한 연구. 관광레저연구. 12(2): 149-166.
  15. 이강욱(1998). 문화관광축제의 영향 및 운영효율화 방안(금산인산축제 사례 연구). 한국관광연구원 보고서.
  16. 이무용(2005). 서울형 축제발전 및 체계적 지원방안 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보고서.
  17. 임채숙(2006). 지역축제의 실태분석과 활성화방안: 경남 함양군을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전수철(2008). 한국축제 평가제도의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정강환(1996). 지역활성화를 위한 이벤트와 지역축제 진흥 방안. 지방행정연구. 11(3): 59-82.
  20. 제갈돈, 이곤수, 송건섭(2006). 지방정부의 지역축제 차별화전략: 축제 유형별 변수간 상호성을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18(2): 429-456.
  21. 조혜원(2008). 축제 유형화 및 활성화 전략.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06). 한국 지역축제 조사 평가 및 개선방안 연구.
  23. http://www.fich2011.org/
  24. http://www.jhanji.or.kr/
  25. http://www.pncc.or.kr/do.htm
  26. http://www.bibimbapfest.com/
  27. http://www.jjdss.or.kr/
  28. http://www.jiff.or.kr/
  29. http://www.gsbird.co.kr/
  30. http://tour.gunsan.go.kr/
  31. http://gunsanbori.co.kr/zbxe/home
  32. http://seodong.iksan.go.kr/
  33. http://gukhwa.iksan.go.kr/
  34. http://www.donghak.or.kr/fest/
  35. http://www.gujulcho.co.kr/
  36. http://www.jchf.or.kr/
  37. http://culture.jeongeup.go.kr/new/04festival/chucsan/01/
  38. http://www.heungbu.or.kr/
  39. http://www.herbfestival.or.kr/
  40. http://www.chunhyang.org/
  41. http://festival.gimje.go.kr/
  42. http://www.firefly.or.kr/
  43. http://www.jangsufestival.com/
  44. http://www.sunchanggochujangfestival.co.kr/
  45. http://chungbori.gochang.go.kr/
  46. http://bokbunja.gochang.go.kr/
  47. http://susan.gochang.go.kr/
  48. http://gochu.gochang.go.kr/
  49. http://www.mudnsports.com/
  50. http://www.gochang.go.kr/festival/
  51. cafe.daum.net/your-bbong/
  52. http://www.jeonju.go.kr/
  53. http://www.gunsan.go.kr/
  54. http://www.iksan.go.kr/
  55. http://www.jeongeup.go.kr/
  56. http://www.namwon.go.kr/
  57. http://www.gimje.go.kr/
  58. http://www.wanju.go.kr/
  59. http://www.jinan.go.kr/
  60. http://www.muju.org/
  61. http://www.jangsu.go.kr/
  62. http://www.imsil.go.kr/
  63. http://www.sunchang.go.kr/
  64. http://www.gochang.go.kr/
  65. http://www.buan.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