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Growth Condition and Management of Protected Trees in Kimpo

김포시 보호수의 생육실태와 관리방안 연구

  • Doo, Chul-Eon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Sangmyung University) ;
  • Lee, Jong-Bum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Sangmyung University) ;
  • Lee, Jae-Keun (Dept.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Sangmyung University)
  • 두철언 (상명대학교 대학원 환경조경학과) ;
  • 이종범 (상명대학교 대학원 환경조경학과) ;
  • 이재근 (상명대학교 환경조경학과)
  • Published : 2012.03.31

Abstract

This study is determined by tree vigor of analyzing of each object's growth condition in Locational Characteristics and compare the result with impediment extent rate in crown area to provide the management Study about the influence of man-made structures in numbers of protected trees. 68 places where are in the list of Kimpo protected trees were researched in Natural environments, vital degree of trees, number of trees. Crown area was calculated surveying it around the directions of North, East, South and West branching out. Impediment in the area was analyzed after classified into artificial impediment like paved surface(ascon, concrete, block, etc.), a building and a breast wall and natural impediment like soil, stonework and gravel and conclusions are as follow. In analyzing of natural environments, he ground where protected trees have located is consist of 72.05 of manmade structure and artificial in all. There are many protected trees which have less space than crown area for growth suggested by Woo-kyung Sim and Se-kyun Shin in 1992. And it was analyzed that making growth space for protected trees and management of impediment are urgently needed because of that the proportion of impediment covering the crown area has increased as cities are becoming more urbanized results in transforming of trees and weakness of tree vigor. This research shows that under 20% of in crown area is tree vigor determination 1-2 grade 21-50% under is 2-3 grade, higher than 50% is 3-5 grade. More impediment have more difficulty for growing, with the management of root system of protected trees need to be under 20% of rate of land is necessary was improved. As follows are suggested about the standard of management in artificial impediment which influence the number of trees. Firstly, impediment in crown area must be restricted under 20%, but in case outside of the area is not artificial the rate could be higher considerable. Secondly, protected trees growth space secured as much as crown area and impediment must be installed outside the crown area. Thirdly, to move the protected trees, condition of growth space secure must be considered. Fourthly, to develope land, the area around protected trees should be utilized in a park, the area of impediment installation in crown area should be limited as well. Fifthly, As many shown in previous research, for the improvement of old big trees and protected trees, need the tax favor of landowner and purchase of around land, to manage, it needs the budget of local government and advice of expert. Also the study on how various kind of impediment nearby protected trees influence on them has to be continued.

본 연구는 보호수 입지지반별로 각 개체의 생육실태를 분석하여 수세종합판단을 하였고 이 결과와 수관면적 내 지장물 면적비율을 교차분석하여 보호수 수세에 미치는 영향인 인위적 지장물에 대한 관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상지는 김포시 보호수 대장에 등재된 68개소를 대상으로 생육실태분석은 자연성, 수목활력도, 수세종합판단을 실시하였으며, 수관면적은 가지가 뻗고 있는 동서남북 방향을 중심으로 실측하여 면적을 산출하였고, 수관면적 내 지장물은 인공지장물인 포장(아스콘, 콘크리트, 블록 등), 건물, 옹벽과 자연지장물인 토사(복토), 석축, 자갈 등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자연성 분석에 있어 보호수가 위치한 입지지반은 인공과 인공+준 자연지반이 전체의 72.05%로 나타났으며, 수관면적은 심우경과 신세균(1992)이 보호수 생육에 필요한 수관면적을 제시한 것에 비해 대부분 부족한 것이 많았으며, 수관면적 내 지장물 면적이 차지하는 비율은 김포시 보호수 주변이 도시화 되어감에 따라 높아지고, 수형변형과 수세쇠약으로 이어지고 있어 보호수의 생육 공간 확보와 지장물관리가 절실히 필요한 상태로 분석되었다. 이번 연구에서 수관면적에 지장물이 차지하는 면적이 20% 이하인 것이 수세판단 1-2등급, 21-50% 이하는 2-3등급, 50% 이상은 3-5등급으로 나타났다. 지장물이 많이 차지할수록 생육에 지장을 초래하고 있어, 보호수의 근계관리에 있어서 그 면적비율이 20% 이하를 유지하도록 관리하여야 함을 입증하였다. 보호수 수세에 미치는 영향인 인위적 지장물의 관리방안에 대한 기준에 대하여 다음 사항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수관면적 내 지장물은 20% 이하로 제한하되 수관면적 밖이 인공지장물이 아닌 경우에는 지장물면적이 차지하는 비율을 다소 상향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보호수 생육 공간 확보를 수관면적만큼 유지 확보하고, 지장물은 수관면적 밖으로 설치되어야 한다. 셋째, 보호수 이식에 있어 생육 공간 확보 시 입지지반 여건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넷째, 택지개발 시 보호수 주변을 공원으로 활용하고, 수관면적 내 지장물의 설치 면적은 제한하여야 한다. 다섯째, 선행연구들에서 많이 제시된 노거수, 보호수 주변의 생육환경 개선을 위해, 토지소유자의 세제해택과 보호수 주변 토지매입 등이 필요하며, 보다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지자체의 예산 확보와 전문가의 조언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또한, 보호수 주변의 지장물 종류별, 두께 등이 수목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후속 연구는 계속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용수, 임원현(1996). 도시지역 노거목의 잔존형태와 그 효용성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4(3): 14-28.
  2. 강성범(2002). SPSS로 배우는 데이터분석과 활용. 서울: 길벗.
  3. 강전유(1994). 조경수의 보호관리.
  4. 강호철, 이정환, 이광수, 사공영보(2002). 농촌지역 노거수의 생장활력 도와 주변환경에 대한 평가. 한국정원학회지. 20(4): 27-36.
  5. 나용준, 신현동, 이종규, 차병진(1999). 수목병리학. 서울: 향문사.
  6. 문화재청(2002). 천연기념물 노거수 실태조사 연구보고서.
  7. 박종민, 이정택, 변무섭(2000). 전북지역 노거수자원의 실태조사 분석에 관한연구. 한국정원학회지. 18(3): 86-96.
  8. 방광자, 이승제, 강현경(2003). 천연기념물 노거수의 생육현황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복원 녹화. 6(3): 35-45.
  9. 서정영, 이영이, 나명하, 이재근(2009). 보호수 생육환경분석을 통한 환경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3): 93-102.
  10. 심근정, 강신용, 김수봉, 김용수(1999). 농촌지역 노거수의 변천과정과 보전대책. 환경과학논집. 4(1): 1-17.
  11. 심우경, 신세균(1992). 보호수의 관리실태 및 보호대책.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0(2): 61-90.
  12. 이경준(1995). 수목생리학.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13. 이경준, 이승제, 안명회(2001). 조경수 식재관리기술.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14. 이범영, 정영진. 한국수목해충. 서울: 성안당출판.
  15. 이승제(2004). 활력도 및 생육환경 분석을 위한 노거수관리방안.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이종범(2007). 보호수 주변의 환경변화에 따른 생육실태 연구. 한경대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정근, 서정영, 이재근(2009). 노거수 환경여건 개선을 위한 은행나무와 소나무의 생육환경분석.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1): 57-65
  18. 정진철, 전경수, 장규관, 최정호(1993). 노거수 관리 실태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논문집. 12: 369-383.
  19. 한국수목보호연구회(2005). 수목보호(TreeHealth). 통권 제10호. 웃고문화사.
  20. 하태주(2003). 노거수의 생육현황과 수목외과수술 후 유합조직형성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