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Place Identity on the Vicinity of Sangsosan and Government Office of Buan-hyun by Letters Carved on the Rocks

바위글씨로 본 부안 관아와 상소산 일대의 장소정체성

  • Rho, Jae-Hyu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 Woosuk University) ;
  • Kim, Jeong-Moo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Lee, Hyun-Woo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Lee, Jung-Han (Graduate School of Landscape Architecture, Woosuk University) ;
  • Kim, Dae-Soo (Dept. of Urban Environmental Landscape, Hyechon College)
  • 노재현 (우석대학교 조경도시디자인학과) ;
  • 김정문 (전북대학교 조경학과 & 휴양 및 경관계획연구소) ;
  • 이현우 (전북대학교 조경학과 & 휴양 및 경관계획연구소) ;
  • 이정한 (우석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 김대수 (혜천대학교 도시환경조경과)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This study aimed at learning the characteristics of place identity of the Buan county hall garden and Sangsosan(上蘇山) by looking over the pattern and content of letter-engraved rocks and nearby facilities and history. Especially, we focused on the meaning and contents of the letters in Sangsosan and a Government Office of Buan engraved on rocks in order to learn what the place means. The results of our study are as follows. Buan-hyun(扶安縣)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blossomed literary culture of enjoying poetry and melody, and this was faithful realization of the concept of "Rakto(樂土)" of 'Saengubuan(生居扶安).' The grand scale letters written by Si-SooPark(朴蓍壽: 1767~1876), head of the office in the early 19th century, in the cursive style on the basis stone of the garden of Buan county building, which was the site of the office of Buan-hyun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such as 'Bongraedongcheon(蓬萊洞天)', 'Jurim(珠林)', and 'Okcheon(玉泉)' mean that "'Bongrae', the another name of Buan', is a place where Taoist hermits would live because the spring water of Seorim flows down to be Okcheon.", showing his pride of living Buan. The regions like Seorimjeong, Geumdae(琴臺), and Hyecheon(惠泉) where letters engraved on rocks are located intensively are closely related with those who communicated with Mae-ChangLee(李梅窓: 1573~1610), the slave of the government, and are local attractions and garden traces where the literary culture and scholar's spirit of Buan are well-harmonized. Most of the letters were written from the 19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showing that 4 for landscapes, 8 for Kyungseck(景色: imaginary scenry), 5 for figures, 15 for poems and 2 for others. The ratio of poems is much higher than that of poems in other regions' letters on rocks, and the keyword of the letters is Haecheon. A piece of the place identity heavily influenced by the Taois thermit ideology is revealed by the expressions of 'Bongraedongcheon', 'Sosansaho(蘇山四皓)' or 'the spring water of Haecheon' that was considered as an elixir of Taoist hermits. Seorim the forest, which had been managed after Yeon-Myeong Cho(趙然明: 1797~?), head of the office, planted trees in the 11th year of the reign of King Heonjong(1845), Seorimjeong in the forest, and rocks with engraved letters on them are proof of literary culture and the garden traces showing the characteristics and aspect of Imcheon(林泉) Garden of the office heavily influenced by the Taoist hermit ideology. Along with Naebyeon-san national park and Kyeokpo region, the center of Buan tourism, we hope that cultural heritages including rocks with engraved letters over Seorim park would become a representative cultural heritage and attraction of Buan.

옛 부안 관아(官衙)터 반석(磐石)위에, 19세기 초 현감 박시수가 쓴 초대형 초서체 바위글씨 '봉래동천(蓬萊洞天) 주림(珠林) 옥천(玉泉)'의 의미는 혜천지역의 바위글씨와 맞물려 이 일대가 곧 신선의 세계임을 반증하고 있다. 바위글씨가 집중된 상소산 아래 서림(西林)과 금대(琴臺)그리고 혜천(惠泉)등 경물 지칭의 바위글씨는 이 고장 출신으로 여류시인이자 관기(官妓)였던 이매창이 교우했던 인물들과 밀접한 관련성을 보이며, 이곳이 부안의 풍류와 선비정신이 교융(交融)된 지역 명소이자 정원 후원으로서의 역사성을 배태한 장소임을 상징한다. 이 지역 바위글씨의 대부분은 19세기부터 20세기 초반에 걸쳐 각자된 것으로, 총 34건 중 경물(景物)관련 4건, 경색(景色) 관련 8건, 인명(人名)관련 5건 그리고 시문(詩文)15건, 기타 2건 등으로 분류되었고, 전체적으로 시문의 비율이 월등히 높았으며, 시문 속 주제어의 중심에는 '상소산'과 '혜천'이 자리 잡고 있다. '봉래동천'은 물론 '소산사호(蘇山四皓)'의 표현이나 연단로에서 제조된 신선의 단약에 비견되는 '혜천의 샘물'은 신선사상의 영향이 강하게 누적되고 관성화되어 착근된 장소정체성의 단면을 보여주는 경관어휘이자 봉래동천, 주림과 옥천 바위글씨의 조합과 조응하는 것으로 이 일대가 '신선의 세계'임을 상징화하고 있다. 헌종11년(1845년)현감 조연명의 인위적인 식수 이후, 체계적으로 가꾸어온 숲인 서림과 그 숲에 조성된 정각 서림정과 주변에 산재한 '혜천 금대'등 바위글씨가 새겨진 암반 등은 신선사상이 깃든 관아(官衙)의 후원이자 임천정원(林泉庭苑)으로서의 성격과 면모를 보여주는 흔적이며, 이곳에 깃든 장소정체성의 핵심이다. 또한 낙토(樂土), 부안의 중심인 관아지역과 풍류 시회처(詩會處)로서 후원 혜천지역은 선계 동경적 아취와 상상력을 바탕으로 생활 속의 공간으로 구현 정착되어 왔음을 볼 때, '상소산과 서림'그리고 '동천과 혜천'의 관련성과 상징성이야말로 이곳 장소정체성의 본질이라 할 만하다. 내변산과 격포지역이 부안관광의 중심인 현실을 볼 때, 서림공원 일대의 바위글씨를 중심으로 한 문화유적은 부안의 대표적인 관광명소이자 부안 읍치를 대표하는 역사문화경관으로 자리매김하기를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지리정보원(2010). 한국지명유래집 전라․제주편. pp. 340-353.
  2. 김경미(2008). 한국 한시에 나타난 선가 지향성과 그 맥락. 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 41: 1-26.
  3. 김민성(1997). 매창전집 1: 이매창의 문학과 인생. 서울. 고글: pp. 112-145.
  4. 김민성(2002). 부안 땅이름. 부안문화원.
  5. 김민주(2011). 조선시대 관아 누각의 건축 특성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해경, 최기수(2007), 조선시대 인왕산 바위글씨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5(2): 167-181.
  7. 김형주(2003). 김형주의 부안이야기 1. 파주. 도서출판 밝. p. 120.
  8. 每日申報(1926). 西林公園新設扶安의 新名所. 1926년 12월 20일자. 3면.
  9. 변산문화협회(1980). 부안향토문화지. p. 44, pp. 615-651.
  10. 부안군(1932). 風勝覽覽(天)館舍公廨條.
  11. 부안군(1991). 부안군지. pp. 637-640, 987-989.
  12. 부안군․전북향토문화연구회(2000). 부안군 역사문헌 자료집: 번역․주석․원문. 전주: 신아출판사.
  13. 扶安郡繁榮會(1966). 扶安大観. 대한교과서주식회사. 서울. pp. 81-82.
  14. 부안읍지치위원회(2009). 부안읍의 역사와 문화. p. 5, pp. 312-318.
  15. 서울대규장각(2004). 전라도읍지(十). pp. 405-584.
  16. 서울대학교규장각(2004). 전라도읍지(十). 규장각자료총서: 지리지편. pp. 429-584.
  17. 서울아시아문화사간, 한국학문헌연구소편(1983). 읍지(四)전라도(1). 한국지리학총서. pp. 321-330.
  18. 신상섭, 노재현, 신병철(2009). 진안 睡仙樓를 통해 본 道家的자연관과 풍류문화.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4): 83-92.
  19. 심세진(2006). 李梅窓의 生涯와 文學: 주체적 사랑에 대한 욕망과 좌절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원광대학교박물관․부안군(2000). 부안서림공원내 금석문조사보고서.
  21. 유종국(2007). 동초 김석곤의 시세계. 정읍지역의 금석문연구: 동초 김석곤선생 금석문을 중심으로. 정읍시․(사)정부정책연구원. pp. 32-40.
  22. 이석환, 황기원(1997). 장소와 장소성의 다의적 개념에 관한 연구. 國土計劃. 32(5): 169-184.
  23. 이선(2006). 우리와 함께 살아온 나무와 꽃. 수류산방. pp. 434-442.
  24. 이용엽(2010). 蓬萊洞天과 玉泉․珠林: 부안 옥천지역 암반에 새겨진 국내에서 가장 큰 금석문 조사. 전라금석문연구. 15호: 8-9.
  25. 이혁종(2009). 傳統造景空間에서 나타난 洞天의 造營特性.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전라북도 부안군, 전북향토문화연구회(2000). 부안군 역사문헌 자료집.
  27. 전라북도, 전라문화역사학회(2010). 전라북도금석문대계. 4. 정읍․부안. pp. 390-402.
  28. 허균(2002). 한국의 정원 선비가 거닐던 세계. 서울: 다른세상.
  29. 허미자(1988), 이매창연구. 서울: 성신여자대학교 출판부.
  30. E. Relph(1976), 김덕현역(2005). 장소와 장소상실. 서울: 논형.
  31. http://blog.yahoo.com/_RHCOFVPERFUBD3A6C4DWZX2DC4/articles/544785
  32. http://buaniyagi.com/xe/530
  33. http://local.daum.net/map/index.jsp?q=%EC%84%9C%EB%A6%BC%EA%B3%B5%EC%9B%90&map_type=TY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