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Success Factors of Smartphone from the Model Perspective of Technology Acceptance and Systems Success

기술 수용 및 시스템 성공 모형 관점에서의 스마트폰 성공 요인에 관한 연구

  • 조현 (한국과학기술원 경영대학) ;
  • 이석기 (한성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 Published : 2012.05.31

Abstract

Recently, smartphone is spreading rapidly so it will be need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user satisfaction for successful growth. In this paper, we identify the success factors of smartphone usage and verify them through the empirical analysis with real users. We select basic variables from TAM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nd Information System (IS) Success Model and add specific variable from former research about smartphone. Information acquisition, system quality, application usage purpose, security, perceived easiness, perceived playfulness and user satisfaction are selected as variables. Collected 311 surveys are used to analyze our model. The results show that all variables but security have significant influence. Application usage purpose has most influence among independent variables and perceived playfulness has most influence among mediators.

최근 스마트폰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성공적인 성장을 이루기 위해서는 사용자들의 만족에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분석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의 성공요인들을 규명하고, 실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한 실증적인 분석을 통해 규명된 요인들에 대해 검증하고자 한다. 기술 수용 모형과 정보시스템 성공 모형에 근거하여 기초적인 변수들을 선별하고, 스마트폰에 관련한 선행 연구들을 통해서 특화 변수를 채택하였다. 변수로는 정보 획득, 시스템 품질, 어플리케이션 사용목적, 보안성, 인지된 용이성과 인지된 유희성, 사용자 만족도를 선정하였다. 회수된 311건의 설문 응답을 통하여 모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보안성을 제외한 모든 변수가 정보 시스템의 성공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수들 중에서는 어플리케이션 사용목적이 가장 영향력이 컸으며 매개 변수들 중에서는 인지된 유희성이 영향력이 가장 높음을 확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손승혜, 최윤정, 황하성, "기술수용모델을 이용한 초기 이용자들의 스마트폰 채택 행동 연구", 언론과학연구, 제 55권, 제 2호, pp. 227-251, 2011년 4월.
  2. Pew Research Center, "46% of American adults are smartphone owners", 2012.
  3. 조현, 박진우, 남달우, 김상수, 김성희, "공공부문 정보의 모바일 서비스 고도화 방안에 관한 연구",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제 11권, 제 2호, pp. 173-193, 2011년 6월.
  4. 김도경, 김성철, "스마트폰의 위치기반 SNS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저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방송학보, 제 25권, 제 3호, pp. 133-166, 2011년 5월.
  5. 박인곤, 신동희, "스마트폰 이용자들의 이용과 축족, 의존도, 수용자 혁신성이 스마트폰 이용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언론과학연구, 제 10권, 제 4호, pp.192-225, 2010년 12월
  6. 황하성, 손승혜, 최윤정, "이용자 속성 및 기능적 특성에 따른 스마트 폰 중독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 25권, 제 22호, pp. 277- 313, 2011년 3월
  7. Davis, D.,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Vol. 13, No. 3, pp. 319-339, Sep. 1989.
  8. Vankatesh, V. and Davis, F., "A theoretical extension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our longitudinal field studies", Management Science, Vol. 46, No. 2, pp. 186-204, Feb. 2000.
  9. 정준구, 장기진, "실 사용자를 중심으로 한 스마트폰 수용 요인에 관한 연구", e-비즈니스 연구, 제 11권, 제 4호, pp. 361-379, 2010년 11월.
  10. 한필구, 박재석, 전병호, 강병구,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수용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 IT서비스 학회지, 제 9권, 제 3호, pp. 65-82, 2010년 9월.
  11. 오종환, 최병일, "무선인터넷의 매체 특성과 수용자의 이용 충족 연구" 언론과학연구, 제 4권, 제 1호, pp. 114-154, 2004년 4월.
  12. Moon J. W. and Kim, Y. G., "Extending the TAM for a World-Wide-Web Context", Information and Management, Vol. 38, No. 4, pp. 217-230, Feb. 2011.
  13. DeLone, W. H. and McLean, E. R., "Information system success : the quest for the dependent variable",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 3, No. 1, pp. 60-95, Jan. 1992.
  14. Seddon, P. B., "A respecification and extension of the DeLone and McLean model IS success",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 8, No. 3, pp. 240-253, Sep. 1997.
  15. Buellingen, F. and Woerter, M., "Development Perspectives, firm strategies and Applications in Mobile commerce",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 57, No. 12, pp. 1402-1408, Dec. 2004.
  16. 이석기, 조현, "사용자의 만족도에 따른 정보시스템 성공요인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기술학회 논문지, 제 9권, 제 4호, pp. 173-178, 2011 년 4월.
  17. 양일영, 이수영, "이용 동기에 기반한 스마트폰 초기 이용자 유형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 55권, 제 1호, pp. 109-139, 2011년 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