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Consciousness and Model on Land for the Another use After Quarrying

채석장의 부지 활용에 대한 의식 및 모델 분석

  • Park, Jae Hyeon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College of Life Science & Natural Resources, 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박재현 (국립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Published : 2012.09.30

Abstract

The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 effective forest resources use models for an alternate use of abandoned quarry by an attitude survey. According to the result of survey, a pessimistic view due to dust, noise pollution, and forest damage was 5% higher than an affirmative view by economic benefits from the development of quarry. The 42% of the respondents preferred the alternate use of abandoned quarry and the 25% of the respondents wanted an art and cultural space. The optimum size of alternate use was 5-10 ha (43%) with the requirement of nearby residents (32%). According to the SWOT analysis for abandoned quarry, the strength factors were an effective use of land, the content development of modern industrial inheritance + cultural and art fusion, attraction for nearby city and visitors, a harmony of beauty landscape and clean environment, and a sustainable increase of domestic and foreign visitors with the 5-day-work week. The opportunity factors were the improvement of traffic networks through KTX and local highway, the creation of the new growth engines with the establishment of artistic creation belts, the providing of unique cultural and art space through grafting of tour and education, the creation of local income through stone processed goods, and the vitalization of local development through eco-city. The weakness factors were a psychological remoteness and backwardness, and the weakness of staying tour infra. The threat factors were a poor financial support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nearby quarry and a modify of legal and institutional system for the alternated use of abandoned quarry. The developed restoration models for the alternate use in abandoned quarry are classified to a sculpture park, a waterfall and lake park, a rock-climbing, a sports park + forest park, a native botanical garden, a culture and art park, a complex park, a water storage site, a water storage site to extinguish forest fire, a geriatric hospital, an agricultural facility, and a school site types etc.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alternate use in the abandoned soil and stone quarry is needed to establish facility use models with consideration of user's preference.

이 연구는 채석장 개발 후 부지에 대한 타용도 활용에 관한 의식 분석을 통하여 타용도로 전환하는 모델을 개발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산림자원을 이용 개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채석장 개발에 따른 경제적 발전 등 긍정적 측면보다 먼지, 소음, 산림훼손 등 부정적 시각이 약 5% 더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응답자 중 42%는 채석장 개발 후 타용도 전환하여 활용하는 것이 좋다고 응답하였고, 타용도 전환은 문 화예술공간으로(25%), 타용도 활용은 인근 주민의 요구도가 큰 지역(32%), 타용도 전환시 적정한 규모는 5~10 ha의 규모(43%)가 선호도가 높았다. 폐채석지에 대하여 타용도 전환시 SWOT분석 결과, 강점요인은 국토의 효율적 활용, 근대산업유산+문화예술 융합형 콘텐츠의 개발, 인근 도시 및 휴양객의 볼거리 제공, 주변의 수려한 경관과 청정한 환경과의 조화, 주 5일 근무 증가 등에 따른 국내외 관광객의 지속적 증가이었다. 기회요인으로는 새로 개설되는 고속철도 지방도 등을 통한 획기적 교통망(접근성) 개선, 예술창작벨트 조성으로 신성장동력 창출, 관광과 교육의 접목을 통한 차별화된 문화예술공간 제공, 석재 가공품 개발을 통한 지역소득 창출, 에코시티 개발 등 지역개발 활성화이다. 약점요인으로는 심리적 원거리감과 낙후성, 체류형 관광기반의 취약이라고 분석되었다. 위협요인으로는 인근 채석장과 연계하여 개발시 지속적인 재원의 지원이 불가피하고, 폐채석지의 타용도 전환요청에 따른 법적 제도적 정비가 시급하다고 분석되었다. 폐채석지의 타용도 활용을 위한 개발형 복구모델은 조각공원, 폭포공원 및 호수공원, 암벽등산장 등의 유형, 체육공원+산림공원, 자생식물공원 유형, 문화예술공원 유형, 복합공원 유형, 저류지, 산불진화 저류지 유형, 노인병원, 농업시설지, 학교부지 등 기타 시설 유형으로 분석되었다. 토석채취 이용 후 부지에 대한 타 용도 활용은 이용자의 선호도를 고려하여 활용형태에 따른 시설 모형을 설정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해양부. 2008a. 2009년도 골재수급계획. pp. 23.
  2. 국토해양부. 2008b. 제4차(2009-2013) 골재수급기본계획. pp. 20.
  3. 김성진. 1992. 지역주민참여에 의한 도시공원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5-22.
  4. 김용근, 조중희, 박태희. 2002. 도시공원 관리에 있어서 주민의 참여의식에 관한 연구 -초안산근린공원의 이용객을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6(3): 287-295.
  5. 박영규. 2009. 산지전용허가기준의 개선방안. 월간 산림과학정보 213: 8-9.
  6. 산림청. 2000. 채광.채석지의 적정복구비용 산정 등에 관한 연구. 산림청. pp. 315.
  7. 산림청. 2006. 채석허가 및 복구제도 개선방안. pp. 185.
  8. 산림청. 2008. 토석채취 허가.복구지 Monitoring 체계 마련 및 활성화 방안. pp. 238.
  9. 산림청. 2009. 토석채취.복구지 모니터링 및 토석채취허가.채석단지 지정 활성화 방안 연구. 산림청. pp. 280.
  10. 삼성에버랜드. 2002. 채광완료부지 복구설계 -라파즈한라시멘트 석회석광산 -. pp. 111.
  11. 서재철. 2009. 광주 동림동 석산 복원의 교훈. 산사랑 23: 36-39.
  12. 유기준, 김용근. 2000. 지리산국립공원 이용객 행태 및 이용관리에 대한 중요도 - 성취도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3(4): 367-374.
  13. 이준우, 신경희, 이창석. 2007. 현행 광산복구방법의 문제점과 그 개선방안. 자연환경복원포럼 자료집. pp. 309-334.
  14. 이준우, 차두송. 2008. 산림토목사업 감리제도의 효율화 방안에 관한 연구. 산림공학기술 6(3): 211-220.
  15. 조선일보. 2009. 돌 캐낸 상처 절경으로 아물다. 조선일보 5월 14일자 120판 D1.
  16. 한국건설산업연구원. 2007. 골재산업의 중장기육성방안.
  17. 한국산지보전협회. 2005. 대규모 산지훼손지 실태조사, 원인분석 및 지속가능한 산지보전을 위한 모니터링 방안. 한국산지보전협회. pp. 286.
  18. 한국산지보전협회. 2007. 산림훼손 복구지 사후관리 모니터링에 관한 연구. pp. 1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