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nfluence of Sediment Control Dam Dredging on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of Mountain Stream

사방댐 준설이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에 미치는 영향

  • Kim, Bong Sung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 Andong National University) ;
  • Lee, Chang Woo (Division of Forest Disaster Management,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Seo, Eul Won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 Andong National University) ;
  • Lee, Jong Eun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 Andong National University)
  • 김봉성 (안동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
  • 이창우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방재연구과) ;
  • 서을원 (안동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
  • 이종은 (안동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 Published : 2012.09.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determining the influence of Sediment Control Dam dredging on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in mountain stream of Gyeongsangbuk-do. The sediment control dams were surveyed before and after dredging from mountain streams of Yecheon, Yeongju and Bonghwa in Northern part of Gyeongsangbuk-do. Sampling was taken at upper and down from 3 experimental sites and 2 control sites during May to August 2011. The identified species before dredging were 56 belonged to 31 families, 11 orders, 6 classes and 4 phyla, but after dredging it has decreased to 51 species belonged to 27 families, 10 orders, 5 classes and 4 phyla. The microhabitat damage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occurred at experimental sites after dredging of sediment control dams led to reduction of the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Especially, upper stream of experimental sites showed the reduction of an average of 38% species. In general, species diversity indices and species richness indices decreased after dredging; however, dominance indices increased at experimental sites. In the upper stream of experimental sites, the microhabitat damaged and became pool due to dredging. Also, velocity of flow decreased and the river bed became simply due to the sedimentary matter being finer than sand and silt. As a result, composition of functional feeding groups and functional feeding groups were relatively simpler at upper stream and the degree of community differences was greater between upper and down stream. Also, Chironomidae spp., Ephemeridae spp., and Gomphidae spp. to prefer where slow velocity of flow and lentic increased in a greater rate, and the EPT/C index to indicate the balance of the community decreased.

본 연구는 사방댐의 준설이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경북북부지역 예천, 영주, 봉화의 산간계류에 위치한 사방댐을 대상으로 준설 전 후로 조사하였다. 조사는 실험수계 3곳과 대조수계 2곳의 사방댐을 기준으로 상류와 하류로 설정하여 2011년 5월부터 8월까지 이루어졌다. 실험수계에서 준설 전 4문 6강 11목 31과 56종이 출현하였으나, 준설 후 4문 5강 10목 27과 51종으로 감소하였다. 이와 같이 사방댐 준설후 발생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미소서식처 파괴는 종수 및 개체수의 감소로 이어졌으며, 특히 실험수계의 상류지점에서는 종수가 평균 38% 감소하였다. 전반적으로 준설 후 실험수계에서 종풍부도지수와 종다양도지수가 감소했지만, 우점도지수는 증가하였다. 실험수계의 상류지점에서 미소서식처의 파괴와 정수역이 형성되었으며, 유속이 감소하고 하상구조는 모래나 실트로 단순해졌다. 그에 따라 상류지점의 섭식기능군과 서식기능군의 종조성은 단순해졌으며, 상 하류 군집의 차이가 커졌다. 또한 상류지점에서는 유속이 느리거나 정수역을 선호하는 깔따구류(Chironomidae spp.), 부채장수잠자리류(Gomphidae spp.), 하루살이류(Ephemeridae spp.)의 개체수 비율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군집의 균형성을 나타내는 EPT/C 지수가 감소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감사원. 2008. 감사결과처분요구서-풍수해 예방 및 복구실태. pp. 95.
  2. 권오길, 박갑만, 이준상. 1993. 원색한국패류도감. 아카데미서적. 서울. pp. 445.
  3. 길혜경, 김동건, 정상우, 신일권, 조강현, 우효섭, 배연재. 2007. 경기도 경안천에서 소형 보의 철거 이후에 변화 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 환경생물 25(4): 385-393.
  4. 노태호, 전동준. 2004. 한국산 수서곤충류 섭식기능군 유형 및 군집 안정성 분석. 한국육수학회지 37: 137-148.
  5. 농림부. 2007. 황폐계류의 생태계보전을 위한 자연친화적 야계사방기술 개발. pp. 391.
  6. 배연재, 박선영, 윤일병, 박재홍, 배경석. 1996. 왕숙천 준설구간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변동. 한국육수학회지 29(4): 251-261.
  7. 송광래. 1995. 한국산 거머리강(환형동물문)의 분류.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57.
  8. 원두희, 권순직, 전영철. 2005. 한국의 수서곤충. (주)생태조사단. 서울. pp. 415.
  9. 윤일병. 1995. 수서곤충검색도설. 정행사. 서울. pp. 262.
  10. 윤일병, 공동수, 유재근. 1992.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에 의한 생물학적 수질평가 연구; 오탁계급치 및 지표가중치 산정을 중심으로. 환경생물 10: 24-39.
  11. 윤일병, 배연재, 이상협, 김종인, 이성진. 1992. 경안천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 경안천 자연생태계 조사연구보고서. 경기도. pp. 137-168.
  12. 이도형, 이기환, 이헌호, 마호섭, 배관호, 김종현. 2009. 황폐계류의 사방공작물 시공에 따른 저서성 대형무척추 동물상의 변화; 시공 직후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3(4): 353-364.
  13. 정광수. 2011. 한국 잠자리 유충. 자연과 생태. 서울. pp. 399.
  14. 정유경. 2011. 사방댐의 시공이 계곡생태환경 변화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79.
  15. 환경부. 2001. 제 2차 전국자연환경 조사 지침.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pp. 85-143.
  16. Allan, J.D. 1995. Stream Ecology; Structure and function of running waters. Chapman & Hall, Landon. pp. 400.
  17. Hynes, H.B.N. 1963. Imported organic matter and secondary productivity in streams. Proceedings of 16th International Congress of Zoology 4: 324-329.
  18. Hynes, H.B.N. 1970. The ecology of running waters. Liverpool University Press. Liverpool. pp. 555.
  19. Margalef, R. 1958.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General Systems 3: 36-71.
  20. McNaughton, S.J. 1967. Relationship among functional properties of California Grassland. Nature 216: 168-169.
  21. Merritt, R.W. and Cummins, K.W. 1984. An introduction to the aquatic insects of North America. 2nd ed. Kendall/ Hunt Publishing Corporation. pp. 862.
  22. Morton, J.W. 1977. Ecological effects on dredging and dredge spoil disposal: A literature review. U.S. Fish and Wildlife Service. pp. 94.
  23. Plafkin, J.L., Barbour, M.T., Porter, K.D., Gross, S.K. and Hughes, R.M. 1989. Rapid bioassessment protocols for use in streams and rivers: Benthic macroinvertebrates and fish.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Washington, D.C. pp. 181.
  24. Shannon, C.E. and Weaver, W. 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Urbana. pp. 117.
  25. Van Dolah, R.F., Calder, D.R. and Knott, D.M. 1984. Effects of dredging and open-water disposal on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 South Carolina estuary. Estuaries 7(1): 28-37. https://doi.org/10.2307/1351954
  26. Ward, J.V. 1992. Aquatic insect ecology. John Wiley & Sons, New York. pp. 456.
  27. Wilhm, J.I. 1972. Graphic and mathematical analysis of biotic communities in polluted stream. Annual Review of Entomology 17: 223-252. https://doi.org/10.1146/annurev.en.17.010172.001255
  28. Williams, D.D. and Feltmate, B.W. 1992. Aquatic insects. CBA International. Oxon, UK. pp. 3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