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lations of Self-Esteem,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Identity on the Nursing Students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전공만족도 및 진로정체감 간의 관계

  • Published : 2012.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nursing students' self-esteem, career identity and major satisfactio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62 nursing students attending three or four grade in Busan and Gyeongsangnam-do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from 1, September to 30, September in 2011, by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consisted of the questions about their characteristics and the major satisfaction, self-esteem and career identit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s. This stud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their self-esteem and career identity according to the positive nurses' images. And nursing student's self-esteem, major satisfaction, career identity show positive correlation. The self esteem or the major satisfaction was higher, the career identity was high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nursing career counseling to students about the nurse's job is worth. And we need to find ways to promote career identities appropriately.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전공만족도 및 진로정체감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 소재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3, 4학년 162명으로 자가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7.0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피어슨 상관계수 및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아존중감은 간호사에 대한 이미지가 긍정적일 경우, 진로정체감은 간호사에 대한 이미지가 긍정적일 경우와 입학동기가 자신이 선택한 경우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자아존중감, 전공만족도 및 진로정체감은 정적인 상관관계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서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전공만족도가 높을수록 진로정체감이 높다고 설명하였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이 간호사에 대한 이미지를 높게 지각한 것이 자아존중감과 진로정체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진로지도 시간을 통해 간호사는 가치 있고 보람된 일을 하고 전문적임을 강화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안들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정은, 김미희, 김은진, 김혜지, 엄지은, 이행아, 장누리, 장동은, 김문실, 전인숙 (2010).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간호전문직관의 관계 -일대학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이화간호학회지, 45, 29-44.
  2. 권영미, 윤은자 (2007). 간호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전공만족, 사회성, 자아존중감간의 관계, 간호행정학회지, 13(3), 285-292.
  3. 김경숙 (2011). 간호대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에 관한 연구,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3(4B), 1991-2001.
  4. 김명아, 임지영, 김숙영, 김은정, 이종은, 고유경 (2004). 간호대학생의 진로태도성숙과 영향요인, 정신간호학회지, 13(4), 383-391.
  5. 김봉환 (1997).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발달 및 이차원적 유형화,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 김정숙 (2000). 현실요법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내적 통제성,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정신간호학회지, 9(2), 209-219.
  7. 대한간호협회 (2006). KNA포커스 02: 한국갤럼․대한간호협회 간호사 이미지 여론조사, 대한간호, 11(12), 6-7.
  8. 민소영 (2006). 간호대학생의 학과 적응경험, 정신간호학회지, 15(4), 409-419.
  9. 박현숙, 배영주, 정선영 (2002).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대응방법 및 학업, 취업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정신간호학회지, 11(4), 621-631.
  10. 배정이 (1999). 간호대학생들의 정신간호학 실습 스트레스와 정신질환에 대한 인식에 관한 연구, 정신간호학회지, 8(2), 256-267.
  11. 문인오, 이경환 (2010).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진로탐색 효능감이 진로탐색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6(1), 83-91.
  12. 방경숙, 조진경 (2008). 일개 간호대학생과 졸업생의 전공 및 진로에 대한 인식, 한국간호과학회지, 14(1), 88-97.
  13. 성미혜 (2008). 여대생의 또래애착과 자아존중감 및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2(1), 84-96.
  14. 안혜경 (2006).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스트레스와 정신건강과의 관계,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8(6), 2249-2263.
  15. 안황란, 배행자 (1995). 자기이해와 가족체제 기능화 집단요법이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 변화에 미치는 영향, 정신간호학회지, 4(2), 38-59.
  16. 어용숙 (2010). 셀프리더십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정신건강 및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효과,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2(2), 893-908.
  17. 어용숙, 이경리, 최송실 (2011). 자아정체감, 자아효능감 및 부모와의 독립이 간호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3(6B), 3073-3084.
  18. 이순희, 김정아 (2006). 간호과 학생들과 비간호과 학생들의 간호사 이미지와 결정요인, 간호행정학회지, 12(1), 52-62.
  19. 이혜경 (2009). 간호대학생의 리더십 생활기술과 자기존중감의 관계, 정신간호학회지, 18(3), 278-284.
  20. 이화인 (2008). 간호대학생의 자존감 및 우울과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2(1), 97-107.
  21. 정명실 (2009).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실습수행도 및 실습만족도 간의 관계, 정신간호학회지, 18(1), 60-68.
  22. 정미현, 신미아 (2006).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전공만족과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2(2), 163-173.
  23. 정순옥 (2004). MBTI를 활용한 성장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조희, 이규영 (2006). 간호대학 학생들의 자아존중감 및 진로정체감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0(2), 170-177.
  25. 하혜숙 (2000). 대학생의 학과(학부)만족과 학교만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Barron, D., West, E., Reeves, R. (2007). Tied to the job: Affective and relational components of nurse retention, Journal of Health Services Research & Policy, 12, 46-51. https://doi.org/10.1258/135581907780318419
  27. Bloom, B. S., Bruck, M. (1971). Handbook n formative and summative evaluation of students learning, New York: McGrow-Hill Book Co.
  28. Browning, L., Ryan, C. S., Greenberg, M. S., Rolniak, S. (2006). Effects of cognitive adaptation on the expectation-burnout relationship among nurses,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29(2), 139-150. https://doi.org/10.1007/s10865-005-9028-1
  29. Harren, V. A. (1979). A model of career decision-making for college stud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4, 119-133. https://doi.org/10.1016/0001-8791(79)90065-4
  30. Holland, J. L. (1985). Making vocational choice; A theory of vocational personalities and work environments, Englewood Cliffs, N. J.; Prentice-Hall.
  31. Holland, J. L., Daiger, D. C., Power, P. G. (1980). My vocational situation, Palo Alto, CA : Counseling Psychology, Press.
  32. Hudson, W. W. (1997). The WALMYR Assessment scale scoring manual, Tallahassee. FL : V publishing Co.
  33. Tabachnick, B. G., Fidell, L. S. (2001). Using Multivariate Statistics, 4th ed. Needham heights, MA, Boston, Allyn & Bacon.
  34. Tinsley, H. L. A. (1992). Career decision making and career indecis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41, 209-211. https://doi.org/10.1016/0001-8791(92)90022-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