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Factors Influencing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of Caregivers

요양보호사의 주관적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Noh, Jun Hee (Department of Nursing, Woosuk University) ;
  • Lim, Eun Ju (Red Cross College of Nursing, Chung-Ang University(CAU)) ;
  • Hur, Jung (Department of Nursing Science, Gimcheon University)
  • 노준희 (우석대학교 간호학과) ;
  • 임은주 (중앙대학교 적십자간호대학) ;
  • 허정 (김천대학교 간호학과)
  • Published : 2012.08.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caregivers' self-esteem, social support, and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and to determine the relations among those variables,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of caregiver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215 first-rate certified caregivers through the questionnaire, and the period was from June to September in 2011. In this research, the mean score of self-esteem was $27.54{\pm}3.01$, social support, $77.50{\pm}20.50$, and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41.10{\pm}10.29$. Also, it showed the positive 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r=.347, p<.001), self-esteem and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r=.406, p<.001), and social support and subjective quality of life (r=.598, p<.001). In the mean time, it examined the factors affecting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were social support (${\beta}=.519$, p<.001) and self-esteem (${\beta}=.227$, p<.001), and explained 39.7% of the variance. As the 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e elderly is being implemented, it becomes crucial for caregivers to provide a high quality of care service to the clients as those who play an important role in nursing. Thus, in order to enhance their self-esteem, we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developing a training program for them and building a social network for the support system.

본 연구의 목적은 요양보호사의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와 주관적 삶의 질 수준을 파악하고 이 변수들 간의 관계와 주관적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함이다. 자료 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1급 요양보호사 215명으로부터 이루어졌으며, 수집 기간은 2011년 6월부터 9월까지였다. 본 연구에서 자아존중감은 $27.54{\pm}3.01$점, 사회적 지지는 $77.50{\pm}20.50$점, 주관적 삶의 질은 $41.10{\pm}10.29$점이었으며,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r=.347, p<.001), 자아존중감과 주관적 삶의 질(r=.406, p<.001), 사회적 지지와 주관적 삶의 질(r=.598, p<.001)은 각각 순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관적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변수로는 사회적 지지(${\beta}$=.519, p<.001)와 자아존중감(${\beta}=.227$, p<.001)이었으며, 이들 변인의 설명력은 39.7%였다.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시행되면서 간호업무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요양보호사가 대상자에게 질 높은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이들의 자아존중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지지체계 확보를 위한 사회적 관계망 조성에 주력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가영희 (2006). 성인의 직장-가정 갈등이 영역별 만족도와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11(2), 163-186.
  2. 고병호 (2011). 재가노인복지시설 요양보호사의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직업정체성의 조절효과, 백석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 김근식, 윤옥화 (2009). 기혼취업여성의 삶의 질 결정요인에 관한 구조적 관계분석, 한국자치행정학회, 23(2), 167-188.
  4. 김선희, 남희은, 박소진 (2012).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4), 282-291.
  5. 김혜숙, 임현우, 이지연, 조현주, 조선진, 이원철 (2007). 일부 임상간호사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가 우울 감에 미치는 영향, 대한산업의학회지, 19(2), 125-134.
  6. 남순현 (2009). 중년기 기혼여성의 성과 일에 대한 태도가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전업주부와 취업주부 비교, 인간발달연구, 16(1), 197-222.
  7. 류은정, 최소영, 강윤식 (2006). 직장여성의 사회 심리적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8(5), 1793-1806.
  8. 박금자 (2002). 중년여성의 삶의 의미와 영향요인, 여성건강간호학회지, 8(2), 232-243.
  9. 박영례 (2010). 중년여성의 D유형 성격과 자아존중감, 우울, 스트레스,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2(5), 2567-2578.
  10. 박영효, 전재균, 홍재범 (2009). 노인요양병원의 의료서비스 품질과 고객의 재이용의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1(4), 1871-1881.
  11. 박지원 (1985). 사회적 지지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2. 보건복지부 (2008). 요양보호사 교육기관 설립 및 운영 설명회, 자료집.
  13. 신경림, 변영순 (2008). 2급 노인장기요양보호사 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 성인간호학회지, 20(1), 66-83.
  14. 신경림, 양진향 (2003). 농촌 중년여성의 삶의 질 영향요인, 대한간호학회지, 33(7), 999-1007.
  15. 안화선, 김경신 (2009). 한국과 중국 기혼취업여성의 주관적 삶의 질에 관한 비교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7(1), 127-144.
  16. 오가실 (1997). 사회적 지지 모임이 발달지연아 어머니의 부담과 안녕에 미치는 영향, 대한간호학회지, 27(2), 389-400.
  17. 오은진, 노은영 (2010). 돌봄서비스의 제도화가 여성일자리에 미치는 영향: 요양보호사와 간병인의 비교를 중심으로, 아시아여성연구, 49(2), 185-216.
  18. 원희랑, 김영란 (2010). 인간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유방암 환자의 자아존중감, 우울, 불안,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미술치료연구, 17(2), 415-442.
  19. 이강오, 윤현정 (2006). 암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자아존중감, 영적 안녕, 우울 및 삶의 질과의 상관관계, 조선의대논문집, 31(2), 85-99.
  20. 이명신 (1998). 근로자의 주관적 삶의 질과 그 영향요인,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1. 이현주 (2004). 산업재해 근로자의 삶의 질 모형,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2. 장유미, 강가영, 백정원 (2010). 케어워커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한.일 비교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50, 173-196.
  23. 조영임, 박정애 (2004). 당뇨환자가 지각한 자아존중감, 건강상태 및 삶의 질과의 관계, 동남보건대학논문집, 22(2), 47-60.
  24. 전병재 (1974). 자아존중감: 측정가능성 평가, 연세논총, 11, 107-124.
  25. 전은미, 전점이, 손경희 (2006). 도시지역 기혼여성의 지각된 스트레스 증상과 삶의 질과의 관계,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8(1), 153-166.
  26. 전혜성, 이희연 (2010). 진로개발형 중년기 여성의 주관적 행복의 영향요인 연구: 삶의 기대, 마음챙김,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아시아여성연구, 49(1), 123-160.
  27. 정은의, 노안영 (2007). 사회경제적 요인과 기혼여성 행복간 관계: 개별성-관계성의 조절효과 및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26(1), 59-82.
  28. 정여숙 (2008). 요양보호사 교육생의 주관적 삶의 질과 통제위 성격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4(1), 117-126.
  29. 최희경 (2007). 노인시설 종사자의 업무스트레스, 업무만족, 치매 및 인간중심보호 인식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59(3), 175-199.
  30. 최희경 (2008). 노인 돌봄 종사자의 소진 결정요인 연구, 한국노년학, 28(1), 157-176.
  31. Campbell, A. (1976). Subjective measures of well-being, American Psychologist, 31, 117-124. https://doi.org/10.1037/0003-066X.31.2.117
  32. Kaplan, H. B., Robbins, C., Martin, S. S. (1983). Antecedents of psychological distress in young adults: Self-rejection, deprivation of social support, and life event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24, 230-244. https://doi.org/10.2307/2136573
  33. Lehman, B. (2008). Understanding stress, immunity, and sleep disturbances in caregivers of persons with dementi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Florida.
  34. McGilton, K. S., McGillis Hall, L., Wodchis, W. P., Petroz, U. (2007). Supervisory support,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mong long-term care nursing staff,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37(7), 366-372. https://doi.org/10.1097/01.NNA.0000285115.60689.4b
  35. Motowidlo, S. J., Manning, M. R., Packard, J. S. (1986). Occupational stress: Its causes and consequences for job performanc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1(4), 618-629. https://doi.org/10.1037/0021-9010.71.4.618
  36.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37. Ryan, T., Nolan, M., Enderby, P., Reid, D. (2004). Part of the family: Sources of job satisfaction amongst a group of community-based dementia care workers, Health and Social Care in the Community, 12(2), 111-118. https://doi.org/10.1111/j.0966-0410.2004.00471.x
  38. Seybolt, D. C. (2000). Residential factors predicting community integration and quality of life for persons with serious and persistent mental illness, University Microfilms International.
  39. Westin, L., Danielson, E. (2006). Nurses' experiences of caring encounters with older people living in swedish nursing homes, International Journal of Older People Nursing, 1(1), 3-10. https://doi.org/10.1111/j.1748-3743.2006.00003.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