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lth Literacy, Disease-related Knowledge, Self-efficacy and Self-care Behavior in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당뇨병 환자의 건강정보 활용능력, 질병관련 지식, 자기효능감 및 자가간호행위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2012.12.30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levels of health literacy and to determine its impact on disease-related knowledge, self-efficacy and self-care behavior in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health literacy predicted disease-related knowledge (${\beta}=0.25$, p=0.001) and self-efficacy (${\beta}=0.42$, p<0.001), the explanatory power including self- efficacy (${\beta}=0.55$, p<0.001), health literacy (${\beta}=0.17$, p=0.012), exercise (${\beta}=.14$, p=0.022), disease-related knowledge (${\beta}=.13$, p<0.032) as the variables significantly increasing the self-care behavior was 49%. These findings show that health care providers need to pay attention to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who have inadequate health literacy. Further, interventions to improve health literacy could promote disease-related knowledge self-efficacy and self-care behavior in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본 연구는 당뇨병환자들의 건강정보활용능력, 질병관련지식, 자기효능감 및 자가간호행위 정도와 이들의 관계,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결과는 질병관련 지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건강정보 활용능력이며(${\beta}=0.25$, p=0.001), 설명력은 6%였다.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건강정보 활용능력이며(${\beta}=0.42$, p<0.001), 설명력은 17%였다. 자가간호행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자기효능감(${\beta}=0.55$, p<0.001), 건강정보활용능력$({\beta}=0.17$, p=0.012), 운동(${\beta}=.14$, p=0.022), 질병관련지식(${\beta}=.13$, p<0.032)이었으며, 설명력은 49%였다. 건강정보 활용능력은 질병관련 지식, 자기효능감 및 자가간호행위와 유의한 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향후 당뇨병 환자를 교육할 때 대상자의 수준에 맞는 건강정보 활용능력을 강화함으로써 질병관련지식, 자기효능감 및 자가간호행위를 증가시켜 합병증 예방 및 진행을 막아 건강증진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고광욱, 김태명, 최승배 (2006). 당뇨병 환자의 생활행태 및 혈당변화의 분석을 통한 효율적인 사례관리에 관한 연구 - 부산․경남 지역 환자를 대상으로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8(6), 2195-2204.
  2. 구미옥 (1992). 당뇨병 환자의 자기간호행위와 대사조절에 관한 구조모형,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서울.
  3. 김성수, 김상현, 이상엽 (2005). 의료정보이해능력(Health literacy): 한국형 측정도구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2(4), 215-227.
  4. 김수현 (2010). 노인의 자가 보고에 따른 의료정보 이해 및 활용수준, 한국노년학, 30(4), 1281-1292.
  5. 김수현, 이은주 (2008). 노인의 기능적 의료정보 이행능력이 지각된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대한간호학회지, 38, 195-203.
  6. 김영옥 (1998). 당뇨환자의 자가간호행위 영향요인분석, 대한간호학회지, 28(3), 625-637.
  7. 김정은 (2011). 건강정보 이행능력 수준과 영향요인에 대한 고찰: 대학병원 외래 방문객을 대상으로, 임상간호연구, 17(1), 732-742.
  8. 김지현, 정상아 (2009). 당뇨병 교육이 환자의 혈당 조절과 자가 관리에 미치는 영향, Diabetes & Metabolism Journal, 33(6), 518-525.
  9. 김희승 (2006). 1년간 인터넷 당뇨교육이 당뇨환자의 당화혈색소와 자가 관리 개선에 미치는 효과, 기본간호학회지, 13, 376-381.
  10. 박미연, 김경희 (2008). 노인 당뇨병환자의 스트레스 지각, 스트레스 대처 방식, 자가간호행위 및 당화혈색소와의 관계, 기본간호학회지, 15(2), 186-194.
  11. 박주영 (2010). 제 2형 당뇨병 환자의 자가관리, 당화혈색소 및 주관적 건강상태, 기초간호자연과학회지, 112, 106-113.
  12. 박지연, 전경자 (2011). 농촌 지역노인의 기능적 의료정보 이행능력 실태와 영향요인,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2(1), 75-85.
  13. 배정하 (2002). 당뇨교육 프로그램이 당뇨병 환자의 지식, 자기효능, 자가간호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일 병원을 중심으로), 스포츠과학연구논문집, 20, 39-53.
  14. 백경신 (2001). 당뇨교육프로그램이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 환자의 자가간호행위와 당 대사에 미치는 영향, 지역사회간호학회지, 12(2), 390-396.
  15. 손연정, 송은경 (2012). 고혈압 환자의 건강정보 활용능력이 질병관련 지식 및 자가간호 이행에 미치는 영향, 기본간호학회지, 19(1), 6-15.
  16. 손연정, 이윤미 (2012). 저소득층 노인 만성 심부전 환자의 자가간호이행 증진을 위한 건강정보활용능력 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4(1), 215-230.
  17. 송미순, 구미옥, 류세앙, 김명숙 (2002). 자가간호 교육 프로그램이 지역사회 거주 당뇨노인의 자기효능, 자가 간호 및 당조절에 미치는 효과, 노인간호학회지, 4(1), 27-37.
  18. 양남희, 박재경, 정영주, 유경원, 하윤주, 김윤경 (2008). 당뇨병 환자의 가족지지와 자가간호이행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 효과, 한국가정과학회지, 11(1), 73-85.
  19. 이미라, 송미순 (2003). 당뇨 노인을 위한 자기효능증진 교육프로그램의 장기효과, 노인간호학회지, 5(1), 91-101.
  20. 이선우, 신성례 (2008). 저항운동프로그램이 제 2형 당뇨병 노인의 자가간호, 스트레스 및 당화혈색소에 미치는 효과, 성인간호학회지, 20(3), 431-442.
  21. 장해련, 김현리 (2010). 제 2형 당뇨병환자의 자가간호행위 이행과 장애수준, 임상간호연구, 16(1), 155-166.
  22. 전점이, 송갑선 (2006). 입원 당뇨병 환자 가족의 부담감과 삶의 질,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8(6), 2205-2220.
  23. 정은영, 김은영 (2011). 중.노년 여성의 골다공증에 대한 지식, 건강신념 및 자기효능감간의 관계,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3(5), 239-240.
  24. 최은진 (2007). 제 2형 당뇨병환자의 혈당조절 관련요인,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서울.
  25. Baker, D. W., Wolf, M. S., Feinglass, J., Thompson, J. A., Gazmararian, J. A., Huang, J. (2007). Health literacy and mortality among elderly persons,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167, 1503-1509. https://doi.org/10.1001/archinte.167.14.1503
  26. Berkman, N., Terry, D., McCormack, L. (2010). Health literacy; What is it?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15, 9-19.
  27. Chew, L. D., Bradley, K. A., Boyko, E. J. (2004). Brief questions to identify patients with inadequate health literacy, Family Medicine, 36, 588-594.
  28. Cho, Y. I., Lee, S. Y., Arozullah, A. M., Crittenden, K. S. (2008). Effects of health literacy on health status and health service utilization among the elderly, Social Science & Medicine, 66, 1809-1816. https://doi.org/10.1016/j.socscimed.2008.01.003
  29. Federman, A. D., Sano, M., Wolf, M. S., Siu, A. L., Halm, E. A. (2009). Health literacy and cognitive performance in older adults, Journal of American Geriatrics Society, 57, 1475-1480. https://doi.org/10.1111/j.1532-5415.2009.02347.x
  30. Kim, S., Quistberg, D. A., Love, F., Shea, J. A. (2004). Association of health literacy with self-management behavior in patients with diabetes, Diabetes Care, 27(12), 2980-2982. https://doi.org/10.2337/diacare.27.12.2980
  31.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8). 2007 National health survey: The 4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Seoul.
  32. Kripalani, S., Robertson, R., Love-Ghaffari, M. H., Henderson, L. E., Praska, J., Strawder, A., Katz, M. G., Jacobson, T. A. (2007). Development of an illustrated medication schedule as a low-literacy patient education tool,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66, 368-377. https://doi.org/10.1016/j.pec.2007.01.020
  33. Lee, Y. S. (2009). The current status of type 2 diabetes management at a university hospital, Korean Diabetes Journal, 33, 241-250. https://doi.org/10.4093/kdj.2009.33.3.241
  34. McCleary, J. V. (2011). Health literacy and its association with diabetes knowledge, self-efficay and disease selfmanagement among african American with diabetes mellitus, Association of Black Nursing Faculty Journal, 22(2), 25-32.
  35. Nutbeam, D. (2000). Health literacy as a public goal: a challenge for contemporary health education and communication strategies into the 21st century,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15(3), 259-267. https://doi.org/10.1093/heapro/15.3.259
  36. Paasche-Orlow, M. K., Wolf, M. S. (2007). The causal pathways linking health literacy to health outcomes, American Journal of Health Behavior, 31, 19-26. https://doi.org/10.5993/AJHB.31.s1.4
  37. Pignone, M., DeWalt, D. A., Sheridan, S., Berkman, N., Lohr, K. N. (2005). Interventions to improve health outcomes for patients with low literacy: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20, 185-192. https://doi.org/10.1111/j.1525-1497.2005.40208.x
  38. Schilliger, D., Grumbach, K., Piette, J., Wang, F., Osmond, D., Daher, C., Palacios, J., Sullivan, G. D. Bindman, A. B. (2002). Association of health literacy with diabetes outcomes,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88(4), 475-482. https://doi.org/10.1001/jama.288.4.475
  39. Speros, C. (2005). Health literacy: concept analysi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50(6), 633-640. https://doi.org/10.1111/j.1365-2648.2005.03448.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