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luencing Factors in Binge-Drinking Intention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대학생의 폭음의도 영향요인

  • 서지영 (부산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간호학과)
  • Published : 2012.12.30

Abstract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binge-drinking intention based on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prototype/willingness model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in Korea. This cross-sectional descriptive design was used with 196 undergraduate students. Binge-drinking intention,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AUDIT), concepts of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concepts of the prototype/willingness model about bingedrinking, and willingness to communicate about binge-drinking were used.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s.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binge drinking intention and all variables except willingness to communicate. Binge-drinking intentio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ttitude, descriptive norm, prototype perceptions, and AUDIT with 91.9% of the accountability. Especially, descriptive norm was the most outstanding variable in predicting binge-drinking intention. To reduce the risk of binge-drinking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for reducing the influence of descriptive norms and changing their attitude and prototype perceptions about binge-drinking.

본 연구는 대학생의 폭음의도와 관련 변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려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전국의 대학생 196명을 대상으로 폭음의도, AUDIT,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통제, 기술규범, 지각된 원형, 폭음행위 변화를 위한 의사소통의도, 의사소통대상, 및 의사소통편의성을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 집단분류를 더미변수로 처리하여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외 기술통계와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상관분석의 결과, 폭음관련 의사소통의도를 제외한 모든 변수들과 폭음의도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선형회귀분석결과, 모형의 결정계수는 91.9%로 나타났으며, 설명변수는 단계선택법을 이용하였다. 표준화계수 ${\beta}$값으로 각 변수가 폭음의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기술규범이 폭음태도나 지각된 원형보다 폭음의도에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대학생의 폭음예방프로그램 개발 시 특히, 친구나 동료들의 폭음정도를 의미하는 기술규범에 대해 적극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유미, 현명호, 박지선 (2009). 대학생의 음주억제와 음주행동의 관계에서 음주거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4(4), 891-909.
  2. 남경아 (2009). 대학생의 문제음주정도와 사회심리적 관련요인, 정신간호학회지, 18(4), 501-511.
  3. 류미, 이민규, 신희천 (2010). 대학생의 폭음 관련 사회인지적 요인과 음주 정도의 관계-지각된 음주규준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6(1), 63-79.
  4. 박현정, 박종민 (2011). 수정 계획 행동 이론의 적용을 통한 대학생 금주 행동 의도의 사회 심리적 예측, 한국광고홍보학보, 13(4), 125-154.
  5. 심성욱, 이진우, 손영곤 (2009). 여대생 절주 캠페인 전략 수립을 위한 음주행동 영향 요인 분석: 계획된 행동 이론을 적용한 여대생 음주행동 이해, 한국광고홍보학보, 11(1), 204-247.
  6. 신임희, 임현우 (2009). 임상연구에서 엑셀을 이용한 표본수 산정, 서울: 군자출판사.
  7. 신행우 (2009). 대학생 음주규범 지각과 음주 및 음주문제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4(4), 871-890.
  8. 이해국, 이보혜, 박애란 (2011). 알코올통계백서, 알코올사업지원단.
  9. 이병욱, 이충헌, 이필구, 최종문, 남궁기 (2000). 한국어판 알코올사용장애진단검사(AUDIT: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의 개발: 신뢰도와 타당도 검사, 한국중독정신의학회지, 4(2), 83-92.
  10. 이선영, 정의철 (2012). 대학생의 문제성 음주의도 및 예방요인에 관한 연구: 계획된 행동이론, 관여도, 대인커뮤니케이션 의도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6(2), 379-404.
  11. 이원재 (2004). 대학생의 문제 음주와 관련 요인, 보건과 사회과학, 15, 223-250.
  12. 이지현 (2011). 대학생과 성인의 음주행태 비교연구, 경기도 고양시: 한국음주문화연구센터.
  13. 이학배, 최필근 (2004). 회귀그래픽 방법에서의 다중공선성,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6, 849-860.
  14. 전영민 (2009). 대학생 폭음집단에서 한국어판 변화동기척도(SOCRATES-K)의 요인구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8(3), 877-892.
  15. 정슬기 (2007). 여자 대학생의 문제음주 영향요인 분석-남자 대학생과의 비교,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27, 176-198.
  16. 정원철 (2006). 대학생의 문제성음주의 실태와 관련 심리사회적 요인, 한국사회복지학, 58(1), 347-371.
  17. 정향미, 이지원 (2007). 일 지역 대학생의 문제음주 실태와 관련요인,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9, 85-97.
  18. 조근호, 재숙희, 박애란, 이해국, 신임희, 민성호 (2009). 위험 음주자의 선별을 위한 한국어판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AUDIT-K)의 최적 절단값, 한국중독정신의학회지, 13(1), 34-40.
  19. 차동필 (2005). 폭음행위 이해: 계획행동 이론의 적용과 확장, 한국언론학보, 49(3), 346-372.
  20. 천성수, 손애리, 송창호, 박지은 (2006). 한국과 미국 대학생들 간의 음주행태 비교, 한국알코올과학회지, 7(1), 1-11.
  21. 천성수, 안보미, 김미경, 손애리 (2011). 문제음주자와 정상음주자 간의 음주태도 및 음주문제 인식 차이, 대한보건연구, 37(1), 121-130.
  22. 천성수, Rubelyn Inot, 김미경, 윤선미, 정현미, 유재현, 이상숙 (2009), 한국인의 문제음주 및 알코올사용장애 연구, 한국알코올과학회지, 10(2), 129-139.
  23. 최국렬, 사공재현 (2011). 다중회귀모형을 이용한 주가상승률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분석-코스피200을 중심으로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3, 2935-2944.
  24. 한덕웅, 이민규 (2001). 계획된 행동이론에 의한 음주운전 행동의 설명,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5(2), 141-158.
  25. Abar, C. C., Maggs, J. L. (2010). Social influence and selection processes as predictors of normative perceptions and alcohol use across the transition to college, Journal of College Student Development, 51(5), 496-508. https://doi.org/10.1353/csd.2010.0005
  26. Ajzen, I. (1991).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rganizational Behavior Human Decision Process, 50, 179-211. https://doi.org/10.1016/0749-5978(91)90020-T
  27. Conigrave, K. M., Hall, W. D., Saunders, J. B. (1995). The AUDIT questionnaire: Choosing a cut-off score, Addiction, 90, 1349-1356. https://doi.org/10.1111/j.1360-0443.1995.tb03552.x
  28. Fishbein, M., Ajen, I. (2010). Predicting and changing behavior, New York: Psychology Press.
  29. Gibbons, F. X., Gerrard, M. (1995). Predicting young adults' health-risk behavior,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9, 505-517. https://doi.org/10.1037/0022-3514.69.3.505
  30. Gibbons, F. X., Gerrard, M., Blanton, H., Russell, D. W. (1998). Reasoned action and social reaction: Willingness and intention as independent predictors of health risk,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4, 1164-1180. https://doi.org/10.1037/0022-3514.74.5.1164
  31. Ham, L. S., Hope, D. A. (2003). College student and problematic drinking: A review of the literature, Clinical Psychology Review, 23, 719-759. https://doi.org/10.1016/S0272-7358(03)00071-0
  32. Johnston, K. L., White, K. M. (2003). Binge-drinking: A test of the role of group norms i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ur, Psychology and Health, 18, 63-77. https://doi.org/10.1080/0887044021000037835
  33. Kim, J. (2006). A regression analysis of personal/household attributes' effect on commuting time,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8, 63-77.
  34. Norman, P. (2011).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binge drinking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Assessing the impact of habit strength, Addictive Behavior, 36, 502-507. https://doi.org/10.1016/j.addbeh.2011.01.025
  35. Norman, P., Armitage, C. J., Quigley, C. (2007).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binge drinking: Assessing the impact of binge drinker prototypes, Addictive Behaviors, 32, 1753-1768. https://doi.org/10.1016/j.addbeh.2006.12.009
  36. Rivis, A., Sheeran, P., Armitage, C. J. (2006). Augment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with the prototype/willingness model: Predictive validity of actor versus abstainer prototypes for adolescents' health-protective and health-risk intentions, British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1, 483-501.
  37. Saunders, J. B., Aasland, O. G., Amundsen, A., Grand, M. (1993). Alcohol consumption and related problems among primary health care patients: WHO collaborative project on early detection of persons with harmful alcohol consumption-I, Addiction, 88, 349-362. https://doi.org/10.1111/j.1360-0443.1993.tb00822.x
  38. Todd, J., Mullan, B. (2011). Us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ur and prototype willingness model to target binge drinking in female undergraduate university students, Addictive Behaviors, 36(10), 980-986. https://doi.org/10.1016/j.addbeh.2011.05.010
  39. Wechsler, H., Nelson, T. F. (2001). Binge drinking and the American college student: What's five drinks?, Psychology of Addictive Behaviors, 15(4), 287-291. https://doi.org/10.1037/0893-164X.15.4.287
  40. Woolfson, L. M., Maguire, L. (2010). Binge drinking in a sample of Scottish undergraduate students, Journal of Youth Studies, 13, 647-659. https://doi.org/10.1080/13676261003801804